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유아의 가정놀이경험 및 놀이선호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어머니의 놀이신념, 유아의 가정놀이경험과 유아의 놀이선호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25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어머니의 놀이신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Fogle(2003)이 제작한 PPBS(The Parent Play Beliefs Scale)를 유미, 유미숙(2008)이 번안 및 수정 후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유아의 가정놀이경험 및 놀이선호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어머니의 놀이신념, 유아의 가정놀이경험과 유아의 놀이선호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25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어머니의 놀이신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Fogle(2003)이 제작한 PPBS(The Parent Play Beliefs Scale)를 유미, 유미숙(2008)이 번안 및 수정 후 요인분석을 실시한 척도와 Fogle과 Mendez(2006)이 수정·보완한 PPBS를 이한별(2008)이 번역한 척도를 동시에 참고하여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Fisher, Hirsh-Pasek, Golinkoff, & Gryfe(2008)의 연구도구를 번안한 박기희(2011)의 척도를 사용하여 놀이의 개념과 교육적 가치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추가로 사용하였다. 유아의 가정놀이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Fisher, Hirsh-Pasek, Golinkoff, & Gryfe(2008)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참고로 박기희(2011)가 번안하고 사용한 것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놀이선호를 측정하기 위하여 캐나다에서 개발된 부모용 유아놀이선호 측정도구(Finegan et al.. 1991)을 서재성, 이성균(2009)이 우리나라에 적용하여 개념적, 통계적 타당화를 검증한 것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검정, Pesrson의 상관분석, 그리고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아가 더 높은 놀이선호를 보인 가운데, 남아는 활동적이고 거친 놀이를, 여아는 조용한 놀이를 더 좋아하여, 놀이의 유형에 따른 성차가 분명하게 나타났다. 가정놀이경험에 있어서 여아가 남아보다 더 오래, 더 자주 노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둘째,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가정놀이경험은 유아의 놀이선호와 약한 상관을 보였다. 놀이의 유형별로 상관 정도가 달랐는데, 활동적 놀이선호는 어머니의 놀이 참여의 중요성과 즐거움 인식, 놀이의 효용 인식, 놀이의 교육적 가치 인식, 놀이 개념 인식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조용한 놀이선호는 유아의 놀이 빈도 및 놀이 시간, 어머니의 놀이 효용 인식 및 전체 놀이신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거친 놀이선호는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유아의 가정놀이경험 요인들과 상관이 없었다. 셋째, 유아의 놀이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 놀이선호 전체에 대해 유아의 성별, 놀이 시간, 어머니의 놀이 참여의 중요성과 즐거움 인식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놀이 유형별 선호는 예측 요인이 차별화되어, 활동적 놀이는 성별, 어머니의 놀이 참여의 중요성과 즐거움 인식이 영향을 미치고, 거친 놀이는 성별만이, 그리고 조용한 놀이는 성별, 놀이 빈도, 놀이 시간이 각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가정놀이경험이 종류별 놀이선호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유아의 놀이에서 나타나는 성차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인 놀이신념과 계량화한 가정에서의 놀이경험이 유아의 놀이선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놀이에 대해 상이한 가치 인식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는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을 위해 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유아의 가정놀이경험 및 놀이선호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어머니의 놀이신념, 유아의 가정놀이경험과 유아의 놀이선호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25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어머니의 놀이신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Fogle(2003)이 제작한 PPBS(The Parent Play Beliefs Scale)를 유미, 유미숙(2008)이 번안 및 수정 후 요인분석을 실시한 척도와 Fogle과 Mendez(2006)이 수정·보완한 PPBS를 이한별(2008)이 번역한 척도를 동시에 참고하여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Fisher, Hirsh-Pasek, Golinkoff, & Gryfe(2008)의 연구도구를 번안한 박기희(2011)의 척도를 사용하여 놀이의 개념과 교육적 가치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추가로 사용하였다. 유아의 가정놀이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Fisher, Hirsh-Pasek, Golinkoff, & Gryfe(2008)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참고로 박기희(2011)가 번안하고 사용한 것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놀이선호를 측정하기 위하여 캐나다에서 개발된 부모용 유아놀이선호 측정도구(Finegan et al.. 1991)을 서재성, 이성균(2009)이 우리나라에 적용하여 개념적, 통계적 타당화를 검증한 것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검정, Pesrson의 상관분석, 그리고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아가 더 높은 놀이선호를 보인 가운데, 남아는 활동적이고 거친 놀이를, 여아는 조용한 놀이를 더 좋아하여, 놀이의 유형에 따른 성차가 분명하게 나타났다. 가정놀이경험에 있어서 여아가 남아보다 더 오래, 더 자주 노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둘째,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가정놀이경험은 유아의 놀이선호와 약한 상관을 보였다. 놀이의 유형별로 상관 정도가 달랐는데, 활동적 놀이선호는 어머니의 놀이 참여의 중요성과 즐거움 인식, 놀이의 효용 인식, 놀이의 교육적 가치 인식, 놀이 개념 인식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조용한 놀이선호는 유아의 놀이 빈도 및 놀이 시간, 어머니의 놀이 효용 인식 및 전체 놀이신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거친 놀이선호는 어머니의 놀이신념 및 유아의 가정놀이경험 요인들과 상관이 없었다. 셋째, 유아의 놀이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 놀이선호 전체에 대해 유아의 성별, 놀이 시간, 어머니의 놀이 참여의 중요성과 즐거움 인식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놀이 유형별 선호는 예측 요인이 차별화되어, 활동적 놀이는 성별, 어머니의 놀이 참여의 중요성과 즐거움 인식이 영향을 미치고, 거친 놀이는 성별만이, 그리고 조용한 놀이는 성별, 놀이 빈도, 놀이 시간이 각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가정놀이경험이 종류별 놀이선호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는 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유아의 놀이에서 나타나는 성차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인 놀이신념과 계량화한 가정에서의 놀이경험이 유아의 놀이선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놀이에 대해 상이한 가치 인식으로 인해 어려움을 느끼는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을 위해 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play beliefs, the children's home play experiences, and their play preferences. To this end,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256 mothers and their 5-year-old children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play beliefs, the children's home play experiences, and their play preferences. To this end,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256 mothers and their 5-year-old children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To measure play beliefs of mother, this study referred to a scale PPBS(The Parent Play Beliefs Scale) that Fogle(2003) created and Yumi(2008) adapted and modified and conducted factor analysis on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PPBS that Lee Han-Byul(2008) translated and Fogle and Mendez(2006) modified and supplemented. Also, this study used a scale of Park Ki-Hee(2011) that adapted a research tool of Fisher, Hirsh-Pasek, Golinkoff, & Gryfe(2008) and used awareness of mother for the concept and educational value of play, For measurement of home play experience of infants, this study modified and supplemented what Park Ki-Hee(2011) has adapted and used with reference to a questionnaire that was used in a study by Fisher, Hirsh-Pasek, Golinkoff, & Gryfe(2008). Lastly, this study modified and supplemented a measurement tool(Finegan et al.. 1991) of infant play preference for parents which was developed in Canada to measure play preference of infants and verified conceptual and statistical validation. Seo Jae-sung and Lee Sung-kyoon(2009) were used to test the conceptual and statistical validation of Korean children's play preference measure for par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using SPSS 22.0 Program. Specifically, this study conducted -test, Pes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boys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play, boys liked active and rough play, girls preferred quiet play, and gender differences according to type of play were evident. In the home play experience, girls showed longer and more frequent play than boys,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ly, play beliefs of mother and home play experience of infants showed weak correlation with infant's play preference. The degree of correlation was different by type of play, and preference for active pla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wareness of importance and joy of play participation, awareness of the effect, awareness of educational value of play, and awareness of play concept of mothers. Preference for quiet pla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frequency and play time of infants and awareness of the effect and the whole play beliefs of mothers.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reference for rough play and factors of play beliefs of mother and home play experience of infants.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effect on influencing variables of play preference of infants, gender and playtime of infants and importance of play participation and pleasure perception were significant of mother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preference by play type, predictors became differentiated that gender, importance of play participation, and recognition of pleasure of mother made effect on active play, and it was identified that only gender make effect on rough play and it was that gender, play frequency, and play time had influence on quiet pla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verified the influence of play beliefs of mother and home play experience of infant on play preference by type. Also, this study deduced implications for gender difference that appear in the infant play, and identified that play beliefs, a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mother and play experience of infant in quantified family make direct effect on play preference of inf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e data of the importance of play for familie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by different value recognition of young children’s pla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play beliefs, the children's home play experiences, and their play preferences. To this end,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256 mothers and their 5-year-old children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To measure play beliefs of mother, this study referred to a scale PPBS(The Parent Play Beliefs Scale) that Fogle(2003) created and Yumi(2008) adapted and modified and conducted factor analysis on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PPBS that Lee Han-Byul(2008) translated and Fogle and Mendez(2006) modified and supplemented. Also, this study used a scale of Park Ki-Hee(2011) that adapted a research tool of Fisher, Hirsh-Pasek, Golinkoff, & Gryfe(2008) and used awareness of mother for the concept and educational value of play, For measurement of home play experience of infants, this study modified and supplemented what Park Ki-Hee(2011) has adapted and used with reference to a questionnaire that was used in a study by Fisher, Hirsh-Pasek, Golinkoff, & Gryfe(2008). Lastly, this study modified and supplemented a measurement tool(Finegan et al.. 1991) of infant play preference for parents which was developed in Canada to measure play preference of infants and verified conceptual and statistical validation. Seo Jae-sung and Lee Sung-kyoon(2009) were used to test the conceptual and statistical validation of Korean children's play preference measure for par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using SPSS 22.0 Program. Specifically, this study conducted -test, Pes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boys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play, boys liked active and rough play, girls preferred quiet play, and gender differences according to type of play were evident. In the home play experience, girls showed longer and more frequent play than boys,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ly, play beliefs of mother and home play experience of infants showed weak correlation with infant's play preference. The degree of correlation was different by type of play, and preference for active pla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wareness of importance and joy of play participation, awareness of the effect, awareness of educational value of play, and awareness of play concept of mothers. Preference for quiet pla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frequency and play time of infants and awareness of the effect and the whole play beliefs of mothers.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reference for rough play and factors of play beliefs of mother and home play experience of infants.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lative strength of the effect on influencing variables of play preference of infants, gender and playtime of infants and importance of play participation and pleasure perception were significant of mother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preference by play type, predictors became differentiated that gender, importance of play participation, and recognition of pleasure of mother made effect on active play, and it was identified that only gender make effect on rough play and it was that gender, play frequency, and play time had influence on quiet pla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verified the influence of play beliefs of mother and home play experience of infant on play preference by type. Also, this study deduced implications for gender difference that appear in the infant play, and identified that play beliefs, a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mother and play experience of infant in quantified family make direct effect on play preference of inf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e data of the importance of play for familie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by different value recognition of young children’s pla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