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아의 자기결정력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분석 : 유아의 자아존중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Structural Analysis of Related Variables of Self-Determination Among Preschoolers': Mediating Effect of Preschoolers' Self-Esteem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6, 2014년, pp.25 - 42  

박근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  서소정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관련된 주요 변인으로 유아의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 및 놀이성을 포함하였으며, 특히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놀이성과 자기결정력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4,5세 유아-어머니 총 337쌍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유아의 놀이성은 연구자의 현장관찰을 통해, 유아의 자기결정력, 자아존중감 및 자기조절력은 이들의 담임교사의 설문과 질문을 통해, 그리고 어머니-유아 간 조화적합성은 연구대상 어머니의 설문지를 통해 각각의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의 자기결정력은 유아의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 놀이성은 직접적으로, 어머니-유아 간 조화적합성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자기결정력과 어머니-유아 간 조화적합성 사이에서 완전 매개역할을, 자기결정력과 자기조절력, 놀이성 사이에서는 부분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riables as related to self-determination in preschoolers.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schoolers' self-determination, their playfulness, self-regulation, and self-esteem as well as goodness of fit between mother and child wer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술한 연구의 필요성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의 가소성을 바탕으로 자기결정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되는 변인들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자기결정력과 변인들과의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생애초기 유아의 자기결정력과 자아존중감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또한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연구 변인들 간의 역동적인 관계를 탐색하고, 이를 기초로 유아기 자기결정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점을 찾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주요한 제한점과 제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인간의 관계와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자기결정력과 관련된 주요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다차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유아가 자기결정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돕고, 유아기는 물론 아동기, 청소년기, 이후 평생에 걸친 삶에 긍정적인 발달을 이룰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특히 이러한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역할이 보다 중요할 것으로 기대되므로 유아가 일상적인 경험 속에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하는 이론적, 실증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유아의 자기조절력, 놀이성, 어머니-유아 간 조화적합성, 자아존중감 및 자기결정력이라는 연구변인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놀이성, 어머니-유아 간 조화적합성이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변인들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가설모형을 [그림1]과 같이 설정하였다.
  • 첫째,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인을 보다 포괄하여 체계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 놀이성에 대한 요인의 영향력만을 연구하였으나, 앞서 제시한 바와 같이 또래와의 관계나 사회성 발달에서 기인된 자아개념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경로로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나아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유아의 자기결정력과 관련된 변인들 간의 관계가 어느 정도 안정적 또는 변화하는 가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둘째, 어머니는 물론 부모의 양육에 대한 다양한 반영이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과 자기결정력의 증진 및 향상을 위한 교육적 방향 및 요소들을 살피기 위해 어머니와 유아간의 기질을 중심으로 한 구성요인들의 특성에 따른 관련성만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가정에서 주양육자의 실제적인 양육참여와 지지수준, 상호작용방식은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연성이 있기에 주요 연구변인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 상술한 연구의 필요성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의 가소성을 바탕으로 자기결정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되는 변인들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자기결정력과 변인들과의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이 함께 참여하여 유아의 자기결정력 발달을 도모한다면 유아가 보다 능률적이고 기능적인 유기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유아의 자기결정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가설 설정

  • 둘째, 어머니는 물론 부모의 양육에 대한 다양한 반영이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과 자기결정력의 증진 및 향상을 위한 교육적 방향 및 요소들을 살피기 위해 어머니와 유아간의 기질을 중심으로 한 구성요인들의 특성에 따른 관련성만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관련된 주요 변인에는 무엇을 포함하였는가?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관련된 주요 변인으로 유아의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 및 놀이성을 포함하였으며, 특히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놀이성과 자기결정력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4,5세 유아-어머니 총 337쌍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의 자기 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주요 결과는 어떠하였는가? 연구대상 유아의 놀이성은 연구자의 현장관찰을 통해, 유아의 자기결정력, 자아존중감 및 자기조절력은 이들의 담임교사의 설문과 질문을 통해, 그리고 어머니-유아 간 조화적합성은 연구대상 어머니의 설문지를 통해 각각의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의 자기결정력은 유아의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 놀이성은 직접적으로, 어머니-유아 간 조화적합성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자기결정력과 어머니-유아 간 조화적합성 사이에서 완전 매개역할을, 자기결정력과 자기조절력, 놀이성 사이에서는 부분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 및 놀이성 검증 방법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재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4,5세 유아-어머니 총 337쌍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유아의 놀이성은 연구자의 현장관찰을 통해, 유아의 자기결정력, 자아존중감 및 자기조절력은 이들의 담임교사의 설문과 질문을 통해, 그리고 어머니-유아 간 조화적합성은 연구대상 어머니의 설문지를 통해 각각의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의 자기결정력은 유아의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 놀이성은 직접적으로, 어머니-유아 간 조화적합성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고현경 (2010). 만 4, 5세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자아존중감의 경향 및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권지혜 (2006).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설명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기홍, 이주리(2010).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영아의 기질 및 조화적합성이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1), 47-65. 

  4. 김난경 (2001). 유아-어머니의 기질과 조화적합성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명숙, 정대련, 이종희 (2002). 과학영재와 일반아의 창의적 사고, 인성, 환경과 과학영재의 창의적 수행에서의 성차. 아동학회지, 24(3). 1-13 

  6. 김명순, 김길숙, 박찬화 (2012). 유아용 놀이성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33(2), 69-89. 

  7. 김문혜, 강문희 (1999). 아동의 자아존중감 관련변인의 인과모형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김아영 (2002).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동기유형의 분류. 교육심리연구, 20, 243-264. 

  9. 김원경, 우남희 (2002). 아동의 창의성에 대한 심리적 관련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3(2). 1-16. 

  10. 김유미 (2004). 뇌 기반 교수-학습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42(1). 83-106. 

  11. 김혜란 (2013). 자기결정성과 자기조절학습 및 수학성취도의 관계.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노보혜, 박성연, 지연경 (2011).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학습관여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기결정동기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2(4). 83-97. 

  13. 류가애 (2009). 영재아와 일반아의 자기결정성동기와 자기조절학습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류숙렬 (2002).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전이기 경도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문은식, 김충희 (2003). 부모의 학습지원행동과 초.중학생의 학업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2). 271-288. 

  16. 문인정 (2007). 만5세 유아의 놀이성 및 환산성과 행동적 자기조절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문혁준, 신은주 (2011).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유아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과 유아 리더십과의 관계. 생활과학연구논집, 31(1), 26-53 

  18. 문현정 (2008).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문제행동(만 3.4.5세를 대상으로).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민경환, 유경 (2003). 학령전기 아동의 정서 이해의 발달: 정서원인과 정서조절에 대한 이해. 심리학회지, 12(1). 13-29 

  20. 박경자, 김송이, 권연희, 김지현 (2009).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 경기: 교문사 

  21. 박근주, 서소정 (2013). 유아의 자기결정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아의 놀이성, 자아존중감, 자기조절력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489-511. 

  22. 박성연 (2005). 부모의 양육행동 및 여아의 정서조절 능력이 여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간생활환경연구(3), 25-36. 

  23. 박은정 (2010). 부모공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배지희 (2006). 또래관계에서 유아가 사용하는 요구전략과 반응기술: 친구관계와 비친구관계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1(1), 63-84. 

  25. 배진수, 이영만 (2000).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창의력 성격과 창의성과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13(2), 5-29. 

  26. 배혜경, 김훈, 안정훈, 배새벽, 김용주, 박선미, 심재영, 박은영, 김충기 (2003). 과학 영재 교육을 위한 통합교과적-다중교수전략적 과학교육 프로그램. 영재교육연구, 13(1), 21-42. 

  27. 서소정 (2006).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에 대한 연구: 유아의 요구전략, 언어발달, 어머니의 친사회성에 대한 양육신념 및 사회화전략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1(4), 287-310. 

  28. 성선진, 이재신 (2008). 자아탄력성 및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인관관계 모형구안.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교육연구논집, 29(3). 

  29. 성수현 (2008).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서주현 (2009).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지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1. 성은현 (2005). 자아존중감,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 아동학회지, 26(1), 217-228. 

  32. 심승원 (2006).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공격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안정하, 조옥귀 (2005). 아동이 지각한 주용한 타인의 기대, 아동의 공격성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인문논총, 15, 55-74. 

  34. 양명희 (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5. 양명희, 이경아 (2012).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의 관련성: 변화추이 및 인과적 방향성 검토. 교육과학연구, 43(2), 175-195. 

  36. 예보은 (2010). 학령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유주희 (2009).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윤진, 김정민 (1991). 인간발달과 기질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10(1), 43-60. 

  39. 이미봉 (2004). 자기결정동기와 자기조절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이미화 (2009). 인터넷 중독 예방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완화와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이순복, 김문숙 (2011). 어머니의 역할지능 및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0(2), 171-186. 

  42. 이정란 (2003). 유아의 자기조절력 구성요인 및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3. 이정화, 최인수, 이수련 (2010). 유아의 인지수준에 따른 협동학습의 효과: 사회적 능력과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2), 17-34. 

  44. 임지현 (2007), 자기결정성 수준에 따른 동기유형과 학업성취, 학업유능감, 자기조절학습 능력과의 관련성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장유진, 이강이 (2011). 유아의 기질, 유아-어머니 조화적합성이 유아의 자기지각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2(3), 59-76. 

  46. 정향미, 안민순 (2009).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문제행동, 모-아 기질 부조화와의 관계. 아동간호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7(6). 

  47. 정희선, 박성연 (2010). 가정분위기 및 또래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1(1), 19-33. 

  48. 최미경 (2010). 아동과 어머니의 조화적합성 및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아동학회지, 31(5), 151-165. 

  49. 최병연 (2009). 초등영재와 일반아동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 분석. 영재교육, 8(2), 85-104. 

  50. 최현미 (2011).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외적변인에 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1. 한동욱 (2009).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조화적합성과 유아의 정서지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2. 황미영 (2008). 어머니의 통제유형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조화적합성이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3. Carolyn, S., & Bonnie, E. C. (1997). Stress, coping, and resilience in children and youth. The Social Service Review, 71(2), 231-256. 

  54. Chess, S., & Thomas, A. (1999). Goodness of fit clinical application from infancy through adult life. Philadelphia, PA: Brunner/mazed. 

  55. Davis, G. A., & Rimm, S. B. (200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Boston: Allyn and Bacon. 

  56.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c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 227-268. 

  57. Diane, R. N., & Ruble, D. N. (1986). The acquisition of self-knowledge: A self-socialization perspective. In Eisenberg, N. (Ed.), Contemporary topic in development psychology, 243-270. New York: Wiley. 

  58. Kopp, C. B. (1982). Antecedent of self-regulation: A development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214. 

  59. Noom, J. N. (1999). Adolescent autonomy: Characteristics and correlates. Delft: Eburon. 

  60. Seo, S. (2003). Mathernal self-efficacy, quality of parenting, and child developmental outcomes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from Early Head Start. Unpublished doctoral dissc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East Lansing. MI. 

  61. Shaffer, D. (2000).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4th Ed.), Pacific Grove, CA: Brooks-Cole. 

  62. Sternbege, R. J. (2003). The developmental of creativity as a decision making process. In Sawyer, R. K., John-Steiner, V., Moran, S., Stenberg, R. J., Feldman, D. H., Nakamura, J., & Csikszcntmihalyi, M.(Eds,). Creativity and development (pp.91-138).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63. Windle, M., & Lerner, R. M. (1986). The "Goodness of fit" model of temperament-context relations: Interaction or correlation? In J. V. Lerner & R. S. M. Lerner (Eds,). Temperament and social intervention in infants and children. CA: Jossey-bass. 

  64. Wolman, J., Campeau, P. L., Dubois, P. A., Mithaug, D. E., & Stolarski, V. S. (1994). AIR self-determination scale and user guide. Palo Alto, CA: American Institutes for Research.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