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시뮬레이션 교육 적용 후 심폐소생술 지식, 수행능력 및 심폐소생술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K종합병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기본 인명 구조 자격증이 없는 자를 제외하고 60명을 표집 하여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 할당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은 실험군, 대조군에게 사전 조사 실시 후 실험군은 2015년 새로 개정된 대한심폐협회의 ‘2015년 한국 심폐소생술 지침’을 근거한 심폐소생술 과정(Basic life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시뮬레이션 교육 적용 후 심폐소생술 지식, 수행능력 및 심폐소생술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K종합병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기본 인명 구조 자격증이 없는 자를 제외하고 60명을 표집 하여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 할당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은 실험군, 대조군에게 사전 조사 실시 후 실험군은 2015년 새로 개정된 대한심폐협회의 ‘2015년 한국 심폐소생술 지침’을 근거한 심폐소생술 과정(Basic life support course for healthcare providers)으로 이론 강의, 비디오강의, 개인 실습 및 시나리오 및 팀 시뮬레이션으로 9시부터 오후 4시 동안 진행하였다. 대조군은 교육을 시행하지 않았다. 3주후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 지식 측정을 위해 본 연구자가 새로 개정된 대한심폐협회의 ‘2015년 한국 심폐소생술 지침’을 반영하여 수정 · 보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은 최향옥(2008)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심폐소생술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Cole 등(2001)에 의해 개발된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후 스트레스 측정도구(Post Code Stress Scale, PCSS)를 차동희(2014)가 한국어로 번역하여 타당도 검증 받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PC+ 20.0 for window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료에 대한 정규성 분표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Kolmogorov-Smirnov test를 이용하였고,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및 연구변수들의 동질성 검증은 independent t-test, Pearsons's chi-square test로 하였다. 연구가설 검정은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들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coefficients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1가설인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지식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는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높아 지지되었다(t=4.664, p=<.001).
2. 제2가설인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 보다 수행능력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는 심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아 지지되었다(t=4.94, p=<.001).
3. 제3가설인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 보다 심폐소생술 스트레스 점수가 더 낮을 것이다.’ 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아 지지되었다(t=5.832, p=<.001).
이상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수행능력이 유의하게 증가하며 심폐소생술 스트레스는 감소되어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폐소생술 지식, 수행능력 높이고 심폐소생술 스트레스 낮추기 위해서는 응급간호 상황과 유사한 경험을 통해 심정지 상황에서의 혼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시뮬레이션 교육이 활용되어야 할 것 이다.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 적용 후 심폐소생술 지식, 수행능력 및 심폐소생술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K종합병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기본 인명 구조 자격증이 없는 자를 제외하고 60명을 표집 하여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 할당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은 실험군, 대조군에게 사전 조사 실시 후 실험군은 2015년 새로 개정된 대한심폐협회의 ‘2015년 한국 심폐소생술 지침’을 근거한 심폐소생술 과정(Basic life support course for healthcare providers)으로 이론 강의, 비디오강의, 개인 실습 및 시나리오 및 팀 시뮬레이션으로 9시부터 오후 4시 동안 진행하였다. 대조군은 교육을 시행하지 않았다. 3주후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 지식 측정을 위해 본 연구자가 새로 개정된 대한심폐협회의 ‘2015년 한국 심폐소생술 지침’을 반영하여 수정 · 보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은 최향옥(2008)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심폐소생술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Cole 등(2001)에 의해 개발된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후 스트레스 측정도구(Post Code Stress Scale, PCSS)를 차동희(2014)가 한국어로 번역하여 타당도 검증 받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PC+ 20.0 for window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료에 대한 정규성 분표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Kolmogorov-Smirnov test를 이용하였고,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및 연구변수들의 동질성 검증은 independent t-test, Pearsons's chi-square test로 하였다. 연구가설 검정은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들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coefficients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1가설인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지식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는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높아 지지되었다(t=4.664, p=<.001).
2. 제2가설인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 보다 수행능력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는 심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아 지지되었다(t=4.94, p=<.001).
3. 제3가설인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 보다 심폐소생술 스트레스 점수가 더 낮을 것이다.’ 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아 지지되었다(t=5.832, p=<.001).
이상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수행능력이 유의하게 증가하며 심폐소생술 스트레스는 감소되어 심폐소생술 시뮬레이션 교육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폐소생술 지식, 수행능력 높이고 심폐소생술 스트레스 낮추기 위해서는 응급간호 상황과 유사한 경험을 통해 심정지 상황에서의 혼란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시뮬레이션 교육이 활용되어야 할 것 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ion training on knowledge, practical skill and stres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linical nurses. This study was based o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6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ion training on knowledge, practical skill and stres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linical nurses. This study was based o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60 Seoul K hospital nurses who had Basic Life Support certificates. Half of them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half were in the control group. After a pre-research o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linical training based on the ‘2015 Korea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 The training included theory lecture, video lecture, personal practice and scenario based team simulation. It was conducted from 9am to 4pm. There was no training program for the control group. A post-research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fter 3 weeks. The researcher newly devised a tool reflecting the‘2015 Korea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to assess the knowledge level of participants and applied Choi Hang Ok’s(2008) tool for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actical skill test. To evaluate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tress level, 'Post Code Stress Scale(PCSS)' developed by Cole etc.(2001) was used. This tool was translated to Korean by Cha dong hee(2014) and its validity to be utilized a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tress measurement tool was verifi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PC+ 20.0 for windows program. Kolmogorov-Smirnov test was done to verify the presence of normality distribution for data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s's chi-square test were used for verify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ory verification was assessed by independent t-test.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tools was calculated with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The results ware as follows:
1. Researh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ion training program has higher knowledge sc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since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t=4.664, p=<.001).
2. Researh hypothesis 2 The experimental group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ion training program has higher practical skill sc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since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t=4.94, p=<.001).
3. Researh hypothesis 3 The experimental group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io training program has low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tress sc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since it was significantly low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t=5.832, p=<.001).
The research ends up with a conclusion tha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ion training is effective a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knowledge, practical skill and the stress level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imulation training must be done constantly to increase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n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of clinical nurses and to decrease the stress levels for them. This simulation program should be practically applied with experiences similar to the real emergency nursing situations to avoid further chaos when clinical nurses confront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ion training on knowledge, practical skill and stres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linical nurses. This study was based o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60 Seoul K hospital nurses who had Basic Life Support certificates. Half of them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half were in the control group. After a pre-research o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clinical training based on the ‘2015 Korea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 The training included theory lecture, video lecture, personal practice and scenario based team simulation. It was conducted from 9am to 4pm. There was no training program for the control group. A post-research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fter 3 weeks. The researcher newly devised a tool reflecting the‘2015 Korea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to assess the knowledge level of participants and applied Choi Hang Ok’s(2008) tool for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actical skill test. To evaluate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tress level, 'Post Code Stress Scale(PCSS)' developed by Cole etc.(2001) was used. This tool was translated to Korean by Cha dong hee(2014) and its validity to be utilized a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tress measurement tool was verifi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PC+ 20.0 for windows program. Kolmogorov-Smirnov test was done to verify the presence of normality distribution for data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s's chi-square test were used for verify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ory verification was assessed by independent t-test.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tools was calculated with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The results ware as follows:
1. Researh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ion training program has higher knowledge sc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since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t=4.664, p=<.001).
2. Researh hypothesis 2 The experimental group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ion training program has higher practical skill sc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since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t=4.94, p=<.001).
3. Researh hypothesis 3 The experimental group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io training program has low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tress sc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since it was significantly low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t=5.832, p=<.001).
The research ends up with a conclusion tha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imulation training is effective a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knowledge, practical skill and the stress level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imulation training must be done constantly to increase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n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of clinical nurses and to decrease the stress levels for them. This simulation program should be practically applied with experiences similar to the real emergency nursing situations to avoid further chaos when clinical nurses confront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