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와서 한국 문학작품이 언어, 문학, 문화를 총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어 교육적 가치가 높은 교육 자료로 점차 인정받기 시작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언어학자들이 언어 교육 연구의 초점을 언어 자체에 맞추고 문학 작품을 정적이고 난해한 언어로 간주하며, 작품에서 나타난 언어의 형식이 아주 문학적이고 추상적이어서 실제생활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형식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견해로 인해 많은 교사들은 외국어 수업현장에서 작품 중의 실생활에서 별로 쓰지 않은 언어 표현에 대해 가르쳐줄 필요가 없으며 문...
최근에 와서 한국 문학작품이 언어, 문학, 문화를 총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어 교육적 가치가 높은 교육 자료로 점차 인정받기 시작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언어학자들이 언어 교육 연구의 초점을 언어 자체에 맞추고 문학 작품을 정적이고 난해한 언어로 간주하며, 작품에서 나타난 언어의 형식이 아주 문학적이고 추상적이어서 실제생활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형식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견해로 인해 많은 교사들은 외국어 수업현장에서 작품 중의 실생활에서 별로 쓰지 않은 언어 표현에 대해 가르쳐줄 필요가 없으며 문학적 색체를 강하게 풍기고 있는 작품에 대해 감상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학 작품을 사용하면 만족할 만한 학습 효과를 절대 얻을 수 없을 것이라고 잘못 인식하게 된다. 또한 많은 교사들이 외국어 교육에 필요한 것은 문학과 관련된 요소가 아니라 무역, 관광, 비즈니스, 광고 등과 같은 중립적이고 기능적인 소재임을 확고히 믿고 있다. 그 결과 문학작품의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눈에 띄게 많아지고 있음에도 외국어 수업에서 문학작품이 여전히 '차별'을 받고 있다.
하지만 언어라는 것은 오랜 세월에 걸쳐 대중이 보편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생긴 산물이다. 문학작품의 접근을 교수요목에서 완전히 제외시키면 오히려 많은 문제들을 일으킬 수 있다. 문학 작품 자체를 좋아하는 일부 학생들 이외에도, 많은 학습자들이 실제사회에서의 목표 언어 문화권 화자들의 언어적 습관과 가치관, 사고방식 및 문화적 특징을 이해하고 익히는 것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때 문학 작품 속에서 한국인의 삶, 한국인의 가치관, 그리고 사회 구성원들 간의 다양한 의사소통 방식이 잘 구현되어 있어 학습자들에게 참고할 만한 언어 자료가 될 수 있으며 학습자들이 문학 학습을 통하여 사회적으로 일반화된 목표언어의 특정한 격식, 그리고 문화적 특성에 대해 점차적으로 이해하고 익숙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언어 능력과 목표언어에 대한 독해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참고할 만한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문학을 활용한 한국문화 및 한국어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문학수업에 대한 요구와 기대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국내 대학에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41.6%의 응답자만 한국문학의 학습 경험이 있었는데 80.56%의 학습자가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문학 수업의 개설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문학을 통해 단순한 언어지식 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에 대한 학습도 희망했다. 그 다음 문화적 측면과 언어적 측면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고 여러 학자들이 문학 교육 시 작품 선택의 기준에 대한 견해를 고찰하여 이를 바탕으로 아동 시점의 현대 단편 소설 <사랑손님과 어머니>를 선정해서 활용하여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실제적인 한국문화 및 한국어 교육 방안을 작성하였다.
<사랑손님과 어머니>를 활용하여 작성한 이 교육 방안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며 난이도가 비교적 높은 한국인의 정신문화에 대해 자연스럽게 접근하여 이해하는 동시에 학습자의 언어 능력 및 독해력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이기도 하다.
최근에 와서 한국 문학작품이 언어, 문학, 문화를 총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어 교육적 가치가 높은 교육 자료로 점차 인정받기 시작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언어학자들이 언어 교육 연구의 초점을 언어 자체에 맞추고 문학 작품을 정적이고 난해한 언어로 간주하며, 작품에서 나타난 언어의 형식이 아주 문학적이고 추상적이어서 실제생활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형식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견해로 인해 많은 교사들은 외국어 수업현장에서 작품 중의 실생활에서 별로 쓰지 않은 언어 표현에 대해 가르쳐줄 필요가 없으며 문학적 색체를 강하게 풍기고 있는 작품에 대해 감상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학 작품을 사용하면 만족할 만한 학습 효과를 절대 얻을 수 없을 것이라고 잘못 인식하게 된다. 또한 많은 교사들이 외국어 교육에 필요한 것은 문학과 관련된 요소가 아니라 무역, 관광, 비즈니스, 광고 등과 같은 중립적이고 기능적인 소재임을 확고히 믿고 있다. 그 결과 문학작품의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가 눈에 띄게 많아지고 있음에도 외국어 수업에서 문학작품이 여전히 '차별'을 받고 있다.
하지만 언어라는 것은 오랜 세월에 걸쳐 대중이 보편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생긴 산물이다. 문학작품의 접근을 교수요목에서 완전히 제외시키면 오히려 많은 문제들을 일으킬 수 있다. 문학 작품 자체를 좋아하는 일부 학생들 이외에도, 많은 학습자들이 실제사회에서의 목표 언어 문화권 화자들의 언어적 습관과 가치관, 사고방식 및 문화적 특징을 이해하고 익히는 것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때 문학 작품 속에서 한국인의 삶, 한국인의 가치관, 그리고 사회 구성원들 간의 다양한 의사소통 방식이 잘 구현되어 있어 학습자들에게 참고할 만한 언어 자료가 될 수 있으며 학습자들이 문학 학습을 통하여 사회적으로 일반화된 목표언어의 특정한 격식, 그리고 문화적 특성에 대해 점차적으로 이해하고 익숙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언어 능력과 목표언어에 대한 독해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참고할 만한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문학을 활용한 한국문화 및 한국어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문학수업에 대한 요구와 기대를 확인하기 위해 먼저 국내 대학에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41.6%의 응답자만 한국문학의 학습 경험이 있었는데 80.56%의 학습자가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문학 수업의 개설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문학을 통해 단순한 언어지식 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에 대한 학습도 희망했다. 그 다음 문화적 측면과 언어적 측면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고 여러 학자들이 문학 교육 시 작품 선택의 기준에 대한 견해를 고찰하여 이를 바탕으로 아동 시점의 현대 단편 소설 <사랑손님과 어머니>를 선정해서 활용하여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실제적인 한국문화 및 한국어 교육 방안을 작성하였다.
<사랑손님과 어머니>를 활용하여 작성한 이 교육 방안은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며 난이도가 비교적 높은 한국인의 정신문화에 대해 자연스럽게 접근하여 이해하는 동시에 학습자의 언어 능력 및 독해력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이기도 하다.
Recently, many linguistics focus their linguistic education studies on the language itself. They consider the literary works very static and difficult to understand. They also assert that the form of the language in the works is very literary and abstract and very different from the form of language...
Recently, many linguistics focus their linguistic education studies on the language itself. They consider the literary works very static and difficult to understand. They also assert that the form of the language in the works is very literary and abstract and very different from the form of language used in daily life. Because of these point of view, many teachers think that it is not necessary to teach the literary expressions that were not well used in daily life and that the time to appreciate the works which have very strong literary atmosphere is not enough, so it is misunderstood that if these literary works are used, they cannot have satisfactory study effect. In addition, many teachers believe that what necessary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not elements related to literature, but neutral and functional materials like trade, tourism, business and advertisement. Accordingly, literary works have been discriminated in the foreign language course.
However, language generated by being used by the public universally over many years. If the approach of literary works is excluded from the syllabus, it will cause problems. Except some students who like literary works, many learners are interested in understanding and mastering the linguistic habits, values, way of thinking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s. Koreans’ life, Koreans’ values and various communication ways of members of society in the literary works were well implemented and materials that are worth referring for the learners. The learners gradually understand and get familiar with the specific form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ly generalized language through literary study. Furthermore, it is helpful in the effective improvement of the understanding of the target language and learners’ general language proficiency.
Accordingly, this study is aimed to explore the Korean culture and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s using practical and effective literature, which can be well referred in the Korean teaching site. For this, this paper conducted a survey taking the learners who are studying in domestic university so as to identify their demand and expectation of Korean culture course. As for the results, 41.6% respondents had experience of learning about Korean culture and 80.56% respondents reflected their demand of opening culture courses for foreign learners. In addition, they hoped that they can learn not only the linguistic language but also Korean culture through the literature. In the aspect of culture and language, the necessity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was examined. Several scholars’ viewpoint on the standard of works selecting in literature education were studied. Based on this, modern short story The Sarang Guest and Mother from a child’s viewpoint was selected and used. Practical teaching methods of Korean culture and Korean taking advanced learners as subjects were proposed.
The teaching method using The Sarang Guest and Mother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can approach and understand naturally Koreans’ moral culture of which the level of difficulty is relatively high by arousing Korean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and improve learners’ language ability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Recently, many linguistics focus their linguistic education studies on the language itself. They consider the literary works very static and difficult to understand. They also assert that the form of the language in the works is very literary and abstract and very different from the form of language used in daily life. Because of these point of view, many teachers think that it is not necessary to teach the literary expressions that were not well used in daily life and that the time to appreciate the works which have very strong literary atmosphere is not enough, so it is misunderstood that if these literary works are used, they cannot have satisfactory study effect. In addition, many teachers believe that what necessary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not elements related to literature, but neutral and functional materials like trade, tourism, business and advertisement. Accordingly, literary works have been discriminated in the foreign language course.
However, language generated by being used by the public universally over many years. If the approach of literary works is excluded from the syllabus, it will cause problems. Except some students who like literary works, many learners are interested in understanding and mastering the linguistic habits, values, way of thinking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s. Koreans’ life, Koreans’ values and various communication ways of members of society in the literary works were well implemented and materials that are worth referring for the learners. The learners gradually understand and get familiar with the specific form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ly generalized language through literary study. Furthermore, it is helpful in the effective improvement of the understanding of the target language and learners’ general language proficiency.
Accordingly, this study is aimed to explore the Korean culture and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s using practical and effective literature, which can be well referred in the Korean teaching site. For this, this paper conducted a survey taking the learners who are studying in domestic university so as to identify their demand and expectation of Korean culture course. As for the results, 41.6% respondents had experience of learning about Korean culture and 80.56% respondents reflected their demand of opening culture courses for foreign learners. In addition, they hoped that they can learn not only the linguistic language but also Korean culture through the literature. In the aspect of culture and language, the necessity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was examined. Several scholars’ viewpoint on the standard of works selecting in literature education were studied. Based on this, modern short story The Sarang Guest and Mother from a child’s viewpoint was selected and used. Practical teaching methods of Korean culture and Korean taking advanced learners as subjects were proposed.
The teaching method using The Sarang Guest and Mother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can approach and understand naturally Koreans’ moral culture of which the level of difficulty is relatively high by arousing Korean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and improve learners’ language ability and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