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 유아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 상황과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교사들의 경험하는 다양한 스트레스는 보육 및 교육의 질에 매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조건이 된다. 이를 위하여 직장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중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상황을 경험하고 있는 보육교사 5명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개인별 3-4회에 걸친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전사되고 Hill의 ABC-X모델을 차용하여 분석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스트레스 상황과 과정에 대한 학계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의 근무여건을 개선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최초의 스트레스 원(A) 상황이 발생한 시점부터 현재 직면한 스트레스 상황인 위기(X)까지 인과적 과정상에서: 연구문제 1. 직장어린이집 보육 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원(A)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직장어린이집 보육 교사들은 스트레스 원(A)을 어떻게 인지(C)하 는가? 연구문제 3.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이 스트레스 원(A)에서 활용하는 자원(B) 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4. 직장어린이집 보육 교사들의 위기(X)상황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 가?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원(A)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발생하고 있었다. 보육교사들은 역할 인식 및 수행의 차이로 인해 동료교사와 스트레스 원(A)을 경험하고 있었다. 동료교사와 역할인식 및 수행에서 차이를 경험하게 될 경우 보육교사들은 동료의 업무까지 떠맡게 되는 상황으로 전이되고 있었다. 또한, 보육교사들은 지도 및 교수방법의 차이로 인해 동료교사와 스트레스 원(A)을 경험하고 있었다. 동료교사와의 일관성 없는 보육 및 교육태도는 영·유아의 사회적 기술 및 지식습득과정에서 혼란을 야기시키고 있었다. 다음으로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 갈등의 누적으로 인해 스트레스 원(A)을 경험하고 있었다.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 이전에 미처 해결하지 못한 스트레스 원(A) 상황에서 새로운 스트레스 원(A) 상황에 직면하게 되면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더 큰 스트레스적 상황을 유발하고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 경험한 스트레스 원(A)상황으로 인해 다음과 같이 동료교사에 대해 인지(C)하고 있었다. 먼저,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 반복되는 스트레스 원(A)상황으로 인해 동료교사를 부정적으로 자각하고 있었다.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의 범위를 자신과 직접적인 교류가 있는 대상으로 한정 짓고 있었고 효과적인 직무를 위해서는 동료교사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고 하였다. 다음으로, 동료교사와 반복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 원(A)상황은 스트레스 누적으로 인하여 동료교사와의 관계발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의 관계를 공적인 관계와 사적인 관계로 구분 짓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에게 지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호 협력할 수 있는 협력자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었고, 동료교사의 ...
본 연구는 영 유아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 상황과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교사들의 경험하는 다양한 스트레스는 보육 및 교육의 질에 매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조건이 된다. 이를 위하여 직장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중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상황을 경험하고 있는 보육교사 5명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개인별 3-4회에 걸친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전사되고 Hill의 ABC-X모델을 차용하여 분석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스트레스 상황과 과정에 대한 학계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의 근무여건을 개선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최초의 스트레스 원(A) 상황이 발생한 시점부터 현재 직면한 스트레스 상황인 위기(X)까지 인과적 과정상에서: 연구문제 1. 직장어린이집 보육 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원(A)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직장어린이집 보육 교사들은 스트레스 원(A)을 어떻게 인지(C)하 는가? 연구문제 3.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이 스트레스 원(A)에서 활용하는 자원(B) 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4. 직장어린이집 보육 교사들의 위기(X)상황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 가?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원(A)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발생하고 있었다. 보육교사들은 역할 인식 및 수행의 차이로 인해 동료교사와 스트레스 원(A)을 경험하고 있었다. 동료교사와 역할인식 및 수행에서 차이를 경험하게 될 경우 보육교사들은 동료의 업무까지 떠맡게 되는 상황으로 전이되고 있었다. 또한, 보육교사들은 지도 및 교수방법의 차이로 인해 동료교사와 스트레스 원(A)을 경험하고 있었다. 동료교사와의 일관성 없는 보육 및 교육태도는 영·유아의 사회적 기술 및 지식습득과정에서 혼란을 야기시키고 있었다. 다음으로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 갈등의 누적으로 인해 스트레스 원(A)을 경험하고 있었다.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 이전에 미처 해결하지 못한 스트레스 원(A) 상황에서 새로운 스트레스 원(A) 상황에 직면하게 되면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더 큰 스트레스적 상황을 유발하고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 경험한 스트레스 원(A)상황으로 인해 다음과 같이 동료교사에 대해 인지(C)하고 있었다. 먼저,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 반복되는 스트레스 원(A)상황으로 인해 동료교사를 부정적으로 자각하고 있었다.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의 범위를 자신과 직접적인 교류가 있는 대상으로 한정 짓고 있었고 효과적인 직무를 위해서는 동료교사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고 하였다. 다음으로, 동료교사와 반복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 원(A)상황은 스트레스 누적으로 인하여 동료교사와의 관계발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의 관계를 공적인 관계와 사적인 관계로 구분 짓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에게 지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호 협력할 수 있는 협력자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었고, 동료교사의 모델링을 통해 성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드러내고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 경험하는 스트레스 원(A) 상황에서 다음과 같은 자원(B) 요인을 활용하고 있었다. 먼저 맥락적 자원(B) 요인은 긴 보육시간, 보육과 행정업무처리시간 공존 등의 직장어린이집의 근무 환경과 경력과 입사시기에 결정되는 위계, 연령별 일률적인 학급운영 강조, 역할 분담의 어려움, 자유로운 이직의 직장어린이집 조직문화로 나타났으며, 이는 스트레스 원(A) 상황과 부적응(X-2)을 복합적으로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개인적 자원(B) 요인은 성격, 교수 효능감, 교육관, 아동관, 사회적 지지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개인적 자원(B) 요인에서 동료교사의 자원(B)요인과 차이가 있거나 부재할 경우 스트레스 원(A) 상황과 부적응(X-2)을 복합적으로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처전략 자원(B) 요인은 타협전략 자원, 경쟁전략 자원, 회피전략 자원, 포기전략 자원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 직면한 스트레스 원(A) 상황에서 적응(X-2) 하고자 타협, 회피, 포기전략을 사용하였으나 동료교사가 영·유아권리존중을 하지 않는다는 판단이 들 때, 경쟁전략을 사용하여 스트레스 원(A) 상황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들이 동료교사와 관계에서 나타난 위기(X)는 적응(X-1)과 부적응(X-2)으로 구분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 적응(X-1)보다는 부적응(X-2)상황을 더욱 많이 경험하고 있었으며, 보육교사들이 경험한 부적응(X-2)은 학급운영에서의 혼란, 소통의 단절, 선임교사 역할행동 무시, 학습된 무력감, 심리적 소진, 이직 갈등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부적응(X-2)은 대부분 겉으로 드러나고 있지 않았으나, 부적응(X-2)상황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 새로운 스트레스 원(aA)상황으로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 유아 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 상황과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교사들의 경험하는 다양한 스트레스는 보육 및 교육의 질에 매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조건이 된다. 이를 위하여 직장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중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상황을 경험하고 있는 보육교사 5명을 대상으로 2017년 10월부터 2018년 3월까지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개인별 3-4회에 걸친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전사되고 Hill의 ABC-X모델을 차용하여 분석되었다. 이러한 노력은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스트레스 상황과 과정에 대한 학계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의 근무여건을 개선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최초의 스트레스 원(A) 상황이 발생한 시점부터 현재 직면한 스트레스 상황인 위기(X)까지 인과적 과정상에서: 연구문제 1. 직장어린이집 보육 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원(A)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직장어린이집 보육 교사들은 스트레스 원(A)을 어떻게 인지(C)하 는가? 연구문제 3.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이 스트레스 원(A)에서 활용하는 자원(B) 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4. 직장어린이집 보육 교사들의 위기(X)상황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 가?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원(A)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발생하고 있었다. 보육교사들은 역할 인식 및 수행의 차이로 인해 동료교사와 스트레스 원(A)을 경험하고 있었다. 동료교사와 역할인식 및 수행에서 차이를 경험하게 될 경우 보육교사들은 동료의 업무까지 떠맡게 되는 상황으로 전이되고 있었다. 또한, 보육교사들은 지도 및 교수방법의 차이로 인해 동료교사와 스트레스 원(A)을 경험하고 있었다. 동료교사와의 일관성 없는 보육 및 교육태도는 영·유아의 사회적 기술 및 지식습득과정에서 혼란을 야기시키고 있었다. 다음으로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 갈등의 누적으로 인해 스트레스 원(A)을 경험하고 있었다.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 이전에 미처 해결하지 못한 스트레스 원(A) 상황에서 새로운 스트레스 원(A) 상황에 직면하게 되면 스트레스가 누적되어 더 큰 스트레스적 상황을 유발하고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 경험한 스트레스 원(A)상황으로 인해 다음과 같이 동료교사에 대해 인지(C)하고 있었다. 먼저,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 반복되는 스트레스 원(A)상황으로 인해 동료교사를 부정적으로 자각하고 있었다.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의 범위를 자신과 직접적인 교류가 있는 대상으로 한정 짓고 있었고 효과적인 직무를 위해서는 동료교사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고 하였다. 다음으로, 동료교사와 반복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 원(A)상황은 스트레스 누적으로 인하여 동료교사와의 관계발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의 관계를 공적인 관계와 사적인 관계로 구분 짓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에게 지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상호 협력할 수 있는 협력자로서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었고, 동료교사의 모델링을 통해 성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드러내고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 경험하는 스트레스 원(A) 상황에서 다음과 같은 자원(B) 요인을 활용하고 있었다. 먼저 맥락적 자원(B) 요인은 긴 보육시간, 보육과 행정업무처리시간 공존 등의 직장어린이집의 근무 환경과 경력과 입사시기에 결정되는 위계, 연령별 일률적인 학급운영 강조, 역할 분담의 어려움, 자유로운 이직의 직장어린이집 조직문화로 나타났으며, 이는 스트레스 원(A) 상황과 부적응(X-2)을 복합적으로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개인적 자원(B) 요인은 성격, 교수 효능감, 교육관, 아동관, 사회적 지지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개인적 자원(B) 요인에서 동료교사의 자원(B)요인과 차이가 있거나 부재할 경우 스트레스 원(A) 상황과 부적응(X-2)을 복합적으로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대처전략 자원(B) 요인은 타협전략 자원, 경쟁전략 자원, 회피전략 자원, 포기전략 자원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 직면한 스트레스 원(A) 상황에서 적응(X-2) 하고자 타협, 회피, 포기전략을 사용하였으나 동료교사가 영·유아권리존중을 하지 않는다는 판단이 들 때, 경쟁전략을 사용하여 스트레스 원(A) 상황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들이 동료교사와 관계에서 나타난 위기(X)는 적응(X-1)과 부적응(X-2)으로 구분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보육교사들은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 적응(X-1)보다는 부적응(X-2)상황을 더욱 많이 경험하고 있었으며, 보육교사들이 경험한 부적응(X-2)은 학급운영에서의 혼란, 소통의 단절, 선임교사 역할행동 무시, 학습된 무력감, 심리적 소진, 이직 갈등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부적응(X-2)은 대부분 겉으로 드러나고 있지 않았으나, 부적응(X-2)상황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언제든 새로운 스트레스 원(aA)상황으로 나타날 수 있다.
This study is about the conflicts between teacher at the work places. Five teachers at the work places who experienced stressful situations in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were interviewed from October 2017 to March 2018. The inerviews were recored, transcribed and analysised using Hill's ABC-X...
This study is about the conflicts between teacher at the work places. Five teachers at the work places who experienced stressful situations in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were interviewed from October 2017 to March 2018. The inerviews were recored, transcribed and analysised using Hill's ABC-X Model. These efforts are important to improve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stress situation and process experienced by the nursery teachers and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nursery teachers in the work plac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he causal process from the time of the first stressor (A) to the crisis (X): The main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essors (A) experienced by the child care teachers occurred in the following three types.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d peer teachers and stress sources (A) due to differences in role perception and performance. In the case of a difference in peer teacher and role perception and performance, the child care teachers were transferred to a situation where they were taken over by their peers. In addition, the child care teachers were experiencing the fellow teachers and the stress source (A)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teaching and teaching methods. Inconsistent childcare and educational attitudes with fellow teachers were causing confusion in the social skills and knowledge acquisition process of young and infants. Second, the teachers were experiencing the stress circle (A) due to the accumulation of conflict with their peers. Child care teachers faced a new stressor (A) situation in a stressed circle (A) situation that they had not been able to solve with their fellow teachers. Second, the child care teachers perceived (C) their fellow teachers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were negatively aware of their fellow teachers because of repeated stress (A) situations with fellow teachers. Child care teachers limited the scope of fellow teachers to those with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m and that positive relationships should be formed with fellow teachers for effective jobs. Next, the stressor (A) situation which repeatedly experienced with the peer teacher wa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the relationship with peer teacher because of stress accumulation. Child care teachers have distinguished their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by public relations and personal relationships. Finally, the child care teachers were expected to play a role as cooperators who could give and take support to their fellow teachers, and they showed their desire to grow through modeling of fellow teachers. Third, child care teachers were using the following resource (B) factors in the stress source (A) experience with peer teachers. First, the contextual resource (B) factor was based on the work environment of the day care center such as long child care time, the coexistence of child care and administration work hours, the hierarchy determined by the career and the timing of employment, the uniform class operation emphasis by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was a factor that facilitated the combination of the stress circle (A) situation and maladjustment (X-2). Finally, coping strategy resource (B) factors were compromise strategy resource, competitive strategy resource, avoidance strategy resource, and abandonment strategy resource, Teachers used compromise, avoidance, and abandonment strategies to adapt (X-2) in the context of a stressor (A) confronting their fellow teachers. However, when they feel that fellow teachers do not respect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A). Finally, the crisis (X) in child care teachers'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was divided into adaptation (X-1) and maladjustment (X-2). This maladjustment (X-2) was not exposed most of the time, but the maladjustment (X-2) situation is persistent so that it can appear at any time as a new stressor (aA) situation.
This study is about the conflicts between teacher at the work places. Five teachers at the work places who experienced stressful situations in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were interviewed from October 2017 to March 2018. The inerviews were recored, transcribed and analysised using Hill's ABC-X Model. These efforts are important to improve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stress situation and process experienced by the nursery teachers and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nursery teachers in the work plac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he causal process from the time of the first stressor (A) to the crisis (X): The main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essors (A) experienced by the child care teachers occurred in the following three types.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d peer teachers and stress sources (A) due to differences in role perception and performance. In the case of a difference in peer teacher and role perception and performance, the child care teachers were transferred to a situation where they were taken over by their peers. In addition, the child care teachers were experiencing the fellow teachers and the stress source (A)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teaching and teaching methods. Inconsistent childcare and educational attitudes with fellow teachers were causing confusion in the social skills and knowledge acquisition process of young and infants. Second, the teachers were experiencing the stress circle (A) due to the accumulation of conflict with their peers. Child care teachers faced a new stressor (A) situation in a stressed circle (A) situation that they had not been able to solve with their fellow teachers. Second, the child care teachers perceived (C) their fellow teachers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were negatively aware of their fellow teachers because of repeated stress (A) situations with fellow teachers. Child care teachers limited the scope of fellow teachers to those with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m and that positive relationships should be formed with fellow teachers for effective jobs. Next, the stressor (A) situation which repeatedly experienced with the peer teacher wa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the relationship with peer teacher because of stress accumulation. Child care teachers have distinguished their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by public relations and personal relationships. Finally, the child care teachers were expected to play a role as cooperators who could give and take support to their fellow teachers, and they showed their desire to grow through modeling of fellow teachers. Third, child care teachers were using the following resource (B) factors in the stress source (A) experience with peer teachers. First, the contextual resource (B) factor was based on the work environment of the day care center such as long child care time, the coexistence of child care and administration work hours, the hierarchy determined by the career and the timing of employment, the uniform class operation emphasis by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is was a factor that facilitated the combination of the stress circle (A) situation and maladjustment (X-2). Finally, coping strategy resource (B) factors were compromise strategy resource, competitive strategy resource, avoidance strategy resource, and abandonment strategy resource, Teachers used compromise, avoidance, and abandonment strategies to adapt (X-2) in the context of a stressor (A) confronting their fellow teachers. However, when they feel that fellow teachers do not respect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A). Finally, the crisis (X) in child care teachers'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was divided into adaptation (X-1) and maladjustment (X-2). This maladjustment (X-2) was not exposed most of the time, but the maladjustment (X-2) situation is persistent so that it can appear at any time as a new stressor (aA) situ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