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는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인해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의사소통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초등 국어과 교육에서는 이와 관련된 교육 방안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실정이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은 신매체 중 하나인 SNS를 익숙하게 사용하며 이전과는 다른 소통 방식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정보의 무비판적 수용, 유해성이 있는 정보의 게시, 불건전한 언어 표현 생산 등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현 초등 수준의 교육과정에서는 신매체와 관련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교육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들은 해당 문제 상황들을 수동적으로 맞닥뜨린 채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고는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초등학생들에게 현대 사회에 부합하는 의사소통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구안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의 소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언어 현상 및 문제 상황에 대한 분석이 필요했으며, 교육과정에서 실현되고 있는 매체 교육의 미흡한 점을 찾아내어 교육적 필요 및 보완의 지점이 요구되는 부분을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먼저, 초등학생들의 SNS 매체 사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 조사와 사례 분석을 실시한 후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여 매체교육의 문제점을 확인했다. 이후 학습자 실태 분석의 시사점과 교육과정 및 ...
현대사회는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인해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의사소통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초등 국어과 교육에서는 이와 관련된 교육 방안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실정이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은 신매체 중 하나인 SNS를 익숙하게 사용하며 이전과는 다른 소통 방식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정보의 무비판적 수용, 유해성이 있는 정보의 게시, 불건전한 언어 표현 생산 등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현 초등 수준의 교육과정에서는 신매체와 관련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교육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들은 해당 문제 상황들을 수동적으로 맞닥뜨린 채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고는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초등학생들에게 현대 사회에 부합하는 의사소통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구안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의 소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언어 현상 및 문제 상황에 대한 분석이 필요했으며, 교육과정에서 실현되고 있는 매체 교육의 미흡한 점을 찾아내어 교육적 필요 및 보완의 지점이 요구되는 부분을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먼저, 초등학생들의 SNS 매체 사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 조사와 사례 분석을 실시한 후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여 매체교육의 문제점을 확인했다. 이후 학습자 실태 분석의 시사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결과의 문제점과 대안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SNS 매체 교육을 위한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각 요소에 대한 학습 내용을 선정하였다. 앞선 사례 분석을 통해 확인한 소통 구조를 토대로 수용과 생산 측면에서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선정한 교육 내용을 적용하여 모형의 실제를 제시했다. 이상의 연구내용을 구체적으로 정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매체 환경 변화에 따른 시대적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 SNS 교육방안 구안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후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매체 교육과 SNS 관련 논의를 살피고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둘째, SNS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초등학생들이 매체 소통 과정에서 직면하는 문제점과 현상을 찾아내기 위해 설문조사와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경기도 소재의 H초등학교의 5, 6학년 8개 반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사례분석은 학생들의 SNS 실제 사용 사례를 수집하여 전달, 수용, 생산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등학생들에게 SNS가 익숙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생활 속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복합양식성의 이해 및 표현, 비판적 수용, 언어 규범 및 언어 사용 예절과 관련된 태도, 생산자로서의 올바른 태도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현 교육과정에서 실현되고 있는 매체 관련 성취기준과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결과 확인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매체 특성에 따른 읽기 방법 성취기준 반영, 실제성 있는 교육 자료 활용, 자연스러운 언어활동 과정에서 수행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활동의 제시, 매체 특성을 고려한 학습활동에 적합한 매체 활용의 제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교수학습 모형 설계의 원리를 실제성의 원리, 통합성의 원리, 온․오프라인 결합의 원리, 상호작용의 원리의 네 가지로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기존의 국어과 매체 교수학습 모형과 관련된 연구들의 논의를 살펴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했다. 교수학습 모형을 수용과 생산으로 나누고, 생산 모형을 언어 사용, 텍스트 생산으로 설정하여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했으며, 구안한 모형에 교육 내용을 적용하여 모형의 실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사회의 매체 발달에 따른 의사소통 변화에 부합하여 초등국어과에서 요구되는 매체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밝혔다. 둘째, SNS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학생들의 실제적 언어생활을 설문조사와 사례 수집을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현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실현되고 있는 매체 교육의 미흡한 부분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초등학생들을 위한 SNS 교육 내용을 추출하여 제시했다. 다섯째, SNS 매체 텍스트의 수용, SNS에서의 언어 사용, SNS의 복합양식 텍스트 생산을 위한 세 가지의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여섯째, 교수학습 모형에 활동 내용을 적용한 모형의 실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현대사회는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인해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의사소통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초등 국어과 교육에서는 이와 관련된 교육 방안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실정이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은 신매체 중 하나인 SNS를 익숙하게 사용하며 이전과는 다른 소통 방식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정보의 무비판적 수용, 유해성이 있는 정보의 게시, 불건전한 언어 표현 생산 등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현 초등 수준의 교육과정에서는 신매체와 관련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교육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들은 해당 문제 상황들을 수동적으로 맞닥뜨린 채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고는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초등학생들에게 현대 사회에 부합하는 의사소통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구안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의 소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언어 현상 및 문제 상황에 대한 분석이 필요했으며, 교육과정에서 실현되고 있는 매체 교육의 미흡한 점을 찾아내어 교육적 필요 및 보완의 지점이 요구되는 부분을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먼저, 초등학생들의 SNS 매체 사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 조사와 사례 분석을 실시한 후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여 매체교육의 문제점을 확인했다. 이후 학습자 실태 분석의 시사점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결과의 문제점과 대안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SNS 매체 교육을 위한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각 요소에 대한 학습 내용을 선정하였다. 앞선 사례 분석을 통해 확인한 소통 구조를 토대로 수용과 생산 측면에서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선정한 교육 내용을 적용하여 모형의 실제를 제시했다. 이상의 연구내용을 구체적으로 정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매체 환경 변화에 따른 시대적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 SNS 교육방안 구안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후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매체 교육과 SNS 관련 논의를 살피고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둘째, SNS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초등학생들이 매체 소통 과정에서 직면하는 문제점과 현상을 찾아내기 위해 설문조사와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경기도 소재의 H초등학교의 5, 6학년 8개 반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사례분석은 학생들의 SNS 실제 사용 사례를 수집하여 전달, 수용, 생산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등학생들에게 SNS가 익숙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생활 속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복합양식성의 이해 및 표현, 비판적 수용, 언어 규범 및 언어 사용 예절과 관련된 태도, 생산자로서의 올바른 태도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현 교육과정에서 실현되고 있는 매체 관련 성취기준과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결과 확인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매체 특성에 따른 읽기 방법 성취기준 반영, 실제성 있는 교육 자료 활용, 자연스러운 언어활동 과정에서 수행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활동의 제시, 매체 특성을 고려한 학습활동에 적합한 매체 활용의 제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교수학습 모형 설계의 원리를 실제성의 원리, 통합성의 원리, 온․오프라인 결합의 원리, 상호작용의 원리의 네 가지로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기존의 국어과 매체 교수학습 모형과 관련된 연구들의 논의를 살펴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했다. 교수학습 모형을 수용과 생산으로 나누고, 생산 모형을 언어 사용, 텍스트 생산으로 설정하여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했으며, 구안한 모형에 교육 내용을 적용하여 모형의 실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사회의 매체 발달에 따른 의사소통 변화에 부합하여 초등국어과에서 요구되는 매체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밝혔다. 둘째, SNS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학생들의 실제적 언어생활을 설문조사와 사례 수집을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현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실현되고 있는 매체 교육의 미흡한 부분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초등학생들을 위한 SNS 교육 내용을 추출하여 제시했다. 다섯째, SNS 매체 텍스트의 수용, SNS에서의 언어 사용, SNS의 복합양식 텍스트 생산을 위한 세 가지의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여섯째, 교수학습 모형에 활동 내용을 적용한 모형의 실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