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과정 실행 주체인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함에 있어 질 높은 유아교육의 실현과 선진화, 그리고 2020년 시행 예정인 개정누리과정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실행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누리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지원방안은 어떠한가, 셋째, 개정누리과정 인식에 대한 교사지원방안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의 연구 절차는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양적 연구는 누리과정 실행정도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
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과정 실행 주체인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함에 있어 질 높은 유아교육의 실현과 선진화, 그리고 2020년 시행 예정인 개정누리과정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실행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누리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지원방안은 어떠한가, 셋째, 개정누리과정 인식에 대한 교사지원방안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의 연구 절차는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양적 연구는 누리과정 실행정도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t-검증을 실시하였고, Excell 20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통해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질적 연구는 유아교사의 누리과정 실행에 따른 지원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사와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3차까지 실시하고 그에 따른 의견을 범주화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결과를 결합하여 교사지원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 5개 영역 실행에 대한 교사지원방안에서 신체운동·건강은 체육 전담교사의 지원과 신체활동 도구의 지원을 요구하고 있으며, 사회관계는 핵심 개념의 용어 정리와 일상생활에 중심의 다양한 활동을 요구하고 있다. 의사소통은 통합적 활동을 위한 교사교육과 다양한 의사소통 활동 사례를 요구하고, 예술경험은 이해력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교사 지원과 대체 수업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자연탐구는 교사의 재교육과 다양한 활동 제시 그리고 적용하기 용이한 용어 제시를 요구하고 있다. 둘째, 누리과정 실행을 위한 전반적인 교사지원방안은 유아, 교사, 원장, 부모, 행정으로 범주화되어 제시하였다. 유아 지원은 유아발달단계에 대한 교사교육과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사지원방안 적용을 요구하고, 교사지원은 누리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자가 평가표 지원, 유치원·어린이집을 통합한 교사교육의 일원화, 누리과정 교육 전담 기구 마련을 요구하였다. 원장지원은 누리과정 적용을 위한 원장의 재교육과 원장 재교육의 주기적 실시와 의무화를 요구하고, 부모지원은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연계강화를 위한 협의회를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행정지원은 유아기관 선택에 있어 활용하고 있는 시스템 변화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다. 셋째, 개정누리과정 인식에 대한 교사지원방안은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위해 대·소그룹활동 축소와 자유놀이 강화를 강조하고, 국가수준 교육과정으로서 구성 체계 확립을 위해 누리과정 실행의 충실성을 주장하고 있다. 내용 구성의 간략화와 현장 자율성 확대를 위해 유아들의 기본 교육권 보장을 강조하고, 교사의 누리과정 실행력 지원을 위해 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탐색한 누리과정의 안정적 실행을 위한 교사지원방안이 교육현장에 적용된다면, 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고, 이에 질 높은 유아교육 실현이 이루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연구의 진행은 유아교육기관에 소속된 모든 유아, 부모, 교사, 원장에게 도움을 줄 수 있기에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누리과정 실행 주체인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함에 있어 질 높은 유아교육의 실현과 선진화, 그리고 2020년 시행 예정인 개정누리과정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실행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누리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지원방안은 어떠한가, 셋째, 개정누리과정 인식에 대한 교사지원방안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의 연구 절차는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양적 연구는 누리과정 실행정도가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t-검증을 실시하였고, Excell 20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Borich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통해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질적 연구는 유아교사의 누리과정 실행에 따른 지원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교사와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3차까지 실시하고 그에 따른 의견을 범주화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결과를 결합하여 교사지원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 5개 영역 실행에 대한 교사지원방안에서 신체운동·건강은 체육 전담교사의 지원과 신체활동 도구의 지원을 요구하고 있으며, 사회관계는 핵심 개념의 용어 정리와 일상생활에 중심의 다양한 활동을 요구하고 있다. 의사소통은 통합적 활동을 위한 교사교육과 다양한 의사소통 활동 사례를 요구하고, 예술경험은 이해력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교사 지원과 대체 수업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자연탐구는 교사의 재교육과 다양한 활동 제시 그리고 적용하기 용이한 용어 제시를 요구하고 있다. 둘째, 누리과정 실행을 위한 전반적인 교사지원방안은 유아, 교사, 원장, 부모, 행정으로 범주화되어 제시하였다. 유아 지원은 유아발달단계에 대한 교사교육과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사지원방안 적용을 요구하고, 교사지원은 누리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자가 평가표 지원, 유치원·어린이집을 통합한 교사교육의 일원화, 누리과정 교육 전담 기구 마련을 요구하였다. 원장지원은 누리과정 적용을 위한 원장의 재교육과 원장 재교육의 주기적 실시와 의무화를 요구하고, 부모지원은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연계강화를 위한 협의회를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행정지원은 유아기관 선택에 있어 활용하고 있는 시스템 변화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다. 셋째, 개정누리과정 인식에 대한 교사지원방안은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위해 대·소그룹활동 축소와 자유놀이 강화를 강조하고, 국가수준 교육과정으로서 구성 체계 확립을 위해 누리과정 실행의 충실성을 주장하고 있다. 내용 구성의 간략화와 현장 자율성 확대를 위해 유아들의 기본 교육권 보장을 강조하고, 교사의 누리과정 실행력 지원을 위해 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탐색한 누리과정의 안정적 실행을 위한 교사지원방안이 교육현장에 적용된다면, 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고, 이에 질 높은 유아교육 실현이 이루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연구의 진행은 유아교육기관에 소속된 모든 유아, 부모, 교사, 원장에게 도움을 줄 수 있기에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program among infant teachers, how difficult it is to implement, and how to support the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for realizing and advancing quality infant education and for establishing a stable revision of the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s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program among infant teachers, how difficult it is to implement, and how to support the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for realizing and advancing quality infant education and for establishing a stable revision of the curriculum, which is scheduled to take effect in 2020, in presenting support measures for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implementing the Nuri program. Thu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research issues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Nuri program implemented? and How about suppor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program? As such, this study explored teacher support measures based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program, it utiliz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provide more logical and reasonable results. The research procedures are as follows. Frist, Quantitative research conducted technical statistics and response t-verification using the spss 20.0 program of the data collected after the survey to find out how well the Nuri program was implemented, and Using the excell 2010 Program, Borich demands are also presented using the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Second, Qualitative research shows support measur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program for infant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quantitative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to conduct the third round of focus group interviews for infants and expert groups, categorizing opinions accordingly and presenting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in combination with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Frist, Support measures based on the implementation of five areas of Nuri program are presented by area. Second, Support measures for difficulties caused by the overall implementation of Nuri program are presented in categories of infants, teachers, principals, parents, and administration, Lastly, A measure to support teachers' awaren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vision nuri program was proposed. Therefore, if the support measures for the stable implementation of the Nuri program explored in this study are applied to the training site, it will be of practical help to teachers, and quality infant education will be realized. Therefore, such a study would be meaningful for all infants, parents and teachers who are using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program among infant teachers, how difficult it is to implement, and how to support the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for realizing and advancing quality infant education and for establishing a stable revision of the curriculum, which is scheduled to take effect in 2020, in presenting support measures for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implementing the Nuri program. Thu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research issues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Nuri program implemented? and How about support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program? As such, this study explored teacher support measures based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program, it utiliz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provide more logical and reasonable results. The research procedures are as follows. Frist, Quantitative research conducted technical statistics and response t-verification using the spss 20.0 program of the data collected after the survey to find out how well the Nuri program was implemented, and Using the excell 2010 Program, Borich demands are also presented using the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Second, Qualitative research shows support measur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program for infant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quantitative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to conduct the third round of focus group interviews for infants and expert groups, categorizing opinions accordingly and presenting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in combination with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Frist, Support measures based on the implementation of five areas of Nuri program are presented by area. Second, Support measures for difficulties caused by the overall implementation of Nuri program are presented in categories of infants, teachers, principals, parents, and administration, Lastly, A measure to support teachers' awaren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vision nuri program was proposed. Therefore, if the support measures for the stable implementation of the Nuri program explored in this study are applied to the training site, it will be of practical help to teachers, and quality infant education will be realized. Therefore, such a study would be meaningful for all infants, parents and teachers who are using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