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죽음교육의 목적과 필요성을 살펴보고, 불교 죽음명상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고찰한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학을 통해 죽음교육의 정의와 목적을 살펴본다. 둘째, 불교의 생사관과 죽음명상의 개념을 이해한다. 셋째, 죽음교육을 위한 죽음명상의 활용가능성을 고찰한다. 연구 문제의 고찰을 위해 죽음학과 죽음교육의 탄생과 배경, 필요성과 효과성 및 국내 죽음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국내 죽음학과 죽음교육의 역사는 서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고, 죽음교육은 주로 노인층을 대상으로 1회성 교육으로 그치고 있으며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공교육 영역에서의 죽음교육은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노인층 대상 죽음교육도 주로 신앙의 영역에서 종교적교리와 연계하여 이뤄지고 있으며 공교육에서 다루기에 적절한 콘텐츠가부족한 실정이다. 초기불교와 티벳불교의 죽음관련 수행에서 죽음명상의 개념을 도출한 연구물들은 본고에서 죽음명상의 정의를 정립하는데 있어 중요하고 기본적인 자료가 되었다. 죽음명상은 시신의 부패과정을 관찰하는 부정관(不淨觀), 죽음에 대한 마음챙김(마음 알아차림)인 사념(死念), 죽음에 대하여 상기하는 사상(死想)의 세 가지로 추출되었다. 이 개념을 바탕으로 죽 음명상의 활용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해 청소년 대상 죽음명상 프로그램인 MDBDE 연구사례를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 프로그램은 학교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죽음교육을 실시하는 것을 전제로 수립되었으므로 앞으로 죽음명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있어 하나의 ...
본고는 죽음교육의 목적과 필요성을 살펴보고, 불교 죽음명상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고찰한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학을 통해 죽음교육의 정의와 목적을 살펴본다. 둘째, 불교의 생사관과 죽음명상의 개념을 이해한다. 셋째, 죽음교육을 위한 죽음명상의 활용가능성을 고찰한다. 연구 문제의 고찰을 위해 죽음학과 죽음교육의 탄생과 배경, 필요성과 효과성 및 국내 죽음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국내 죽음학과 죽음교육의 역사는 서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고, 죽음교육은 주로 노인층을 대상으로 1회성 교육으로 그치고 있으며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공교육 영역에서의 죽음교육은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노인층 대상 죽음교육도 주로 신앙의 영역에서 종교적교리와 연계하여 이뤄지고 있으며 공교육에서 다루기에 적절한 콘텐츠가부족한 실정이다. 초기불교와 티벳불교의 죽음관련 수행에서 죽음명상의 개념을 도출한 연구물들은 본고에서 죽음명상의 정의를 정립하는데 있어 중요하고 기본적인 자료가 되었다. 죽음명상은 시신의 부패과정을 관찰하는 부정관(不淨觀), 죽음에 대한 마음챙김(마음 알아차림)인 사념(死念), 죽음에 대하여 상기하는 사상(死想)의 세 가지로 추출되었다. 이 개념을 바탕으로 죽 음명상의 활용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해 청소년 대상 죽음명상 프로그램인 MDBDE 연구사례를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 프로그램은 학교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죽음교육을 실시하는 것을 전제로 수립되었으므로 앞으로 죽음명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있어 하나의 이정표가 될 만하다고 보았다. 이 외에도 죽음명상을 기반으로 한 <동사섭 자아초월 죽음명상> , <삶과 죽음에 대한 통찰명상>, <수면수행> 등의 기본 원리와 절차를 살펴보았다. 죽음명상이 학교와 사회에서 평생교육의 교육과정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은 다음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죽음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첫째, 불교 죽음명상은 보편성을 갖고 있다. 보편성은 공교육(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교육과정에서 기본적인 조건이 된다. 둘째, 지속성을 갖고 있다. 죽음교육은 무의식에 억압되어있는‘죽음현저성’을 의식의 수면 위로 끌어올리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명상은 특성상 장소와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죽음 현저성을 지속시킨다. 셋째, 교육대상자의 연령층과 활용범위를 확장하고 기존 심리치료 프로그램과 통합,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넷째, 특정한 종파가 아닌, 삶의 태도로서 종교성을 기를 수 있다. 다섯째, 한국인의 생사관을 바탕으로 접근성이 수월하다. 앞으로 죽음명상은 현대 사회에 맞게 재구성되고 재해석되어야 하며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뒤따라야할 것이다. 또한 죽음명상 지도의 역량을 키워나가는 것이 활용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가 됨을 강조하면서 앞으로 죽음명상이 전 연령층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본고는 죽음교육의 목적과 필요성을 살펴보고, 불교 죽음명상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고찰한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학을 통해 죽음교육의 정의와 목적을 살펴본다. 둘째, 불교의 생사관과 죽음명상의 개념을 이해한다. 셋째, 죽음교육을 위한 죽음명상의 활용가능성을 고찰한다. 연구 문제의 고찰을 위해 죽음학과 죽음교육의 탄생과 배경, 필요성과 효과성 및 국내 죽음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국내 죽음학과 죽음교육의 역사는 서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고, 죽음교육은 주로 노인층을 대상으로 1회성 교육으로 그치고 있으며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공교육 영역에서의 죽음교육은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노인층 대상 죽음교육도 주로 신앙의 영역에서 종교적교리와 연계하여 이뤄지고 있으며 공교육에서 다루기에 적절한 콘텐츠가부족한 실정이다. 초기불교와 티벳불교의 죽음관련 수행에서 죽음명상의 개념을 도출한 연구물들은 본고에서 죽음명상의 정의를 정립하는데 있어 중요하고 기본적인 자료가 되었다. 죽음명상은 시신의 부패과정을 관찰하는 부정관(不淨觀), 죽음에 대한 마음챙김(마음 알아차림)인 사념(死念), 죽음에 대하여 상기하는 사상(死想)의 세 가지로 추출되었다. 이 개념을 바탕으로 죽 음명상의 활용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해 청소년 대상 죽음명상 프로그램인 MDBDE 연구사례를 상세히 살펴보았다. 이 프로그램은 학교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죽음교육을 실시하는 것을 전제로 수립되었으므로 앞으로 죽음명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에 있어 하나의 이정표가 될 만하다고 보았다. 이 외에도 죽음명상을 기반으로 한 <동사섭 자아초월 죽음명상> , <삶과 죽음에 대한 통찰명상>, <수면수행> 등의 기본 원리와 절차를 살펴보았다. 죽음명상이 학교와 사회에서 평생교육의 교육과정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은 다음의 다섯 가지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죽음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첫째, 불교 죽음명상은 보편성을 갖고 있다. 보편성은 공교육(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교육과정에서 기본적인 조건이 된다. 둘째, 지속성을 갖고 있다. 죽음교육은 무의식에 억압되어있는‘죽음현저성’을 의식의 수면 위로 끌어올리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명상은 특성상 장소와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죽음 현저성을 지속시킨다. 셋째, 교육대상자의 연령층과 활용범위를 확장하고 기존 심리치료 프로그램과 통합, 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 넷째, 특정한 종파가 아닌, 삶의 태도로서 종교성을 기를 수 있다. 다섯째, 한국인의 생사관을 바탕으로 접근성이 수월하다. 앞으로 죽음명상은 현대 사회에 맞게 재구성되고 재해석되어야 하며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뒤따라야할 것이다. 또한 죽음명상 지도의 역량을 키워나가는 것이 활용가능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가 됨을 강조하면서 앞으로 죽음명상이 전 연령층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