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임파워링 리더십, 잡 크래프팅, 직원몰입, 적응수행 간 구조적 관계 Examining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mpowering Leadership, Job Crafting, Employee Engagement and Adaptive Performance원문보기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 잡 크래프팅, 직원몰입, 적응수행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구성원의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잡 크래프팅과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는...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 잡 크래프팅, 직원몰입, 적응수행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구성원의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잡 크래프팅과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는 직원 337명의 설문응답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잡 크래프팅, 직원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이 있었으나, 적응수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잡 크래프팅은 직원몰입과 적응수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직원몰입은 적응수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잡 크래프팅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적응수행의 관계에서,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원몰입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직원몰입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적응수행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임파워링 리더십과 적응수행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과 직원몰입의 이중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 잡 크래프팅, 직원몰입, 적응수행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리더의 임파워링 리더십이 구성원의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잡 크래프팅과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는 직원 337명의 설문응답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잡 크래프팅, 직원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이 있었으나, 적응수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잡 크래프팅은 직원몰입과 적응수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직원몰입은 적응수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잡 크래프팅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적응수행의 관계에서,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원몰입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직원몰입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적응수행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임파워링 리더십과 적응수행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과 직원몰입의 이중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job crafting, employee engagement and adaptive performance to provide relevant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HRD). A total of 337 complete responses from employees in v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job crafting, employee engagement and adaptive performance to provide relevant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HRD). A total of 337 complete responses from employees in various industries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data analysis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empowering leadership is positively related with job crafting and employee engagement. However, empowering leadership is not directly or significantly related with adaptive performance. In addition, job crafting enhances employee engagement and adaptive performance, and employee engagement enhance adaptive performance. With regard to the mechanisms of these relationships, job crafting and employee engagement acted as significant mediator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both theory and practical were suggested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job crafting, employee engagement and adaptive performance to provide relevant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HRD). A total of 337 complete responses from employees in various industries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data analysis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empowering leadership is positively related with job crafting and employee engagement. However, empowering leadership is not directly or significantly related with adaptive performance. In addition, job crafting enhances employee engagement and adaptive performance, and employee engagement enhance adaptive performance. With regard to the mechanisms of these relationships, job crafting and employee engagement acted as significant mediator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both theory and practical were suggested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