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인적자원에 대한 기대와 열망이 높고 크다. 그중에서도 앞으로 사회 구성원으 로 역할을 할 청소년에게 많은 지원을 해 오고 있다. 청소년은 누구에게나 사회·경제적 수 준에 관계없이 고른 기회를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부모의 사회 적·경제적 수준 차이가 기회나 교육에서 격차를 만들고 이것이 다시 사회적·경제적 격차 를 대물림, 재생산한다는 점은 지속적으로 지적된 바 있다.
이 연구는 사회·경제적 수준 차이가 문화자본의 격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면, 이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
우리나라는 인적자원에 대한 기대와 열망이 높고 크다. 그중에서도 앞으로 사회 구성원으 로 역할을 할 청소년에게 많은 지원을 해 오고 있다. 청소년은 누구에게나 사회·경제적 수 준에 관계없이 고른 기회를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부모의 사회 적·경제적 수준 차이가 기회나 교육에서 격차를 만들고 이것이 다시 사회적·경제적 격차 를 대물림, 재생산한다는 점은 지속적으로 지적된 바 있다.
이 연구는 사회·경제적 수준 차이가 문화자본의 격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면, 이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미디어 리터러시가 ‘아비투스적 문화자본’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고 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명분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17~18세 사이의 고등학생과 학교를 다니지 않지만 같은 연령대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여전히 사회·경제적 수준 차이가 지식 격차, 정보 격차를 만 들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동시에 미디어를 제대로 이용할 수 있다면 이 간극 을 좁힐 수도 있다는 가능성도 함께 볼 수 있었다.
더불어 급변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면 교육 기회에서 취약 계 층이면서 사회·경제적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청소년에게 먼저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는 시사점도 발견하였다.
우리나라는 인적자원에 대한 기대와 열망이 높고 크다. 그중에서도 앞으로 사회 구성원으 로 역할을 할 청소년에게 많은 지원을 해 오고 있다. 청소년은 누구에게나 사회·경제적 수 준에 관계없이 고른 기회를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부모의 사회 적·경제적 수준 차이가 기회나 교육에서 격차를 만들고 이것이 다시 사회적·경제적 격차 를 대물림, 재생산한다는 점은 지속적으로 지적된 바 있다.
이 연구는 사회·경제적 수준 차이가 문화자본의 격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면, 이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미디어 리터러시가 ‘아비투스적 문화자본’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고 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명분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17~18세 사이의 고등학생과 학교를 다니지 않지만 같은 연령대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여전히 사회·경제적 수준 차이가 지식 격차, 정보 격차를 만 들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동시에 미디어를 제대로 이용할 수 있다면 이 간극 을 좁힐 수도 있다는 가능성도 함께 볼 수 있었다.
더불어 급변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절대적으로 필요하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면 교육 기회에서 취약 계 층이면서 사회·경제적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청소년에게 먼저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는 시사점도 발견하였다.
South Korea has high expectations and aspirations for human resources.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has provided significant support to youth who will act as social members in the future. Contrary to our hope that equal opportunities should be given to youth regardless of their parent's socioeconom...
South Korea has high expectations and aspirations for human resources.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has provided significant support to youth who will act as social members in the future. Contrary to our hope that equal opportunities should be given to youth regardless of their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variances in the socioeconomic levels generate gaps in opportunities or education. Additionally, it has been constantly pointed out that the divides in opportunities or education transmit and reproduce social and economic dispar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if the socioeconomic differences also affect the gaps in cultural capital, media literacy can function as 'habitus cultural capital' as a substitute to resolving the issues, justifying the need for education.
This study discovered that socioeconomic discrepancies still resulted in knowledge and information gap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high school students aged 17 ~ 18 and youth of the same age group who did not attend school. At the same time, it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closing the disparities through using the media efficiently.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youth is critical i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media environment,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prioritizing youth who are vulnerable in terms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have relatively low socioeconomic status.
South Korea has high expectations and aspirations for human resources.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has provided significant support to youth who will act as social members in the future. Contrary to our hope that equal opportunities should be given to youth regardless of their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variances in the socioeconomic levels generate gaps in opportunities or education. Additionally, it has been constantly pointed out that the divides in opportunities or education transmit and reproduce social and economic dispar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if the socioeconomic differences also affect the gaps in cultural capital, media literacy can function as 'habitus cultural capital' as a substitute to resolving the issues, justifying the need for education.
This study discovered that socioeconomic discrepancies still resulted in knowledge and information gap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high school students aged 17 ~ 18 and youth of the same age group who did not attend school. At the same time, it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closing the disparities through using the media efficiently.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for youth is critical i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media environment,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prioritizing youth who are vulnerable in terms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have relatively low socioeconomic statu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