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ADHD성향 유아의 미술치료를 통한 변화과정은 어떠한지, 미술치료의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ADHD성향을 보이는 6세 남아를 대상으로 예비연구와 사전·사후검사를 포함하여 2022년 2월 17일부터 2022년 5월 16일까지 주 2회 40-60분씩, 총 20회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설계에 기반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예비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참여자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여 유아의 선호매체, 적합한 연구방법과 프로그램을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초기단계, 중기단계1, 중기단계2, 종결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초기단계(1~3회기)는 ...
본 연구의 목적은 ADHD성향 유아의 미술치료를 통한 변화과정은 어떠한지, 미술치료의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ADHD성향을 보이는 6세 남아를 대상으로 예비연구와 사전·사후검사를 포함하여 2022년 2월 17일부터 2022년 5월 16일까지 주 2회 40-60분씩, 총 20회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설계에 기반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예비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참여자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여 유아의 선호매체, 적합한 연구방법과 프로그램을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초기단계, 중기단계1, 중기단계2, 종결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초기단계(1~3회기)는 라포형성을 하는 단계, 중기단계1(4~7회기)은 감정을 이완하는 단계, 중기단계2(8~14회기)는 감정을 표출하는 단계, 종결단계(15~16회기)는 마무리 하는 단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일화기록, 회기 별 녹음, 활동과정과 작품을 찍은 사진을 통해 자료를 수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한 회기별 활동일지를 통해 미술치료 회기별 내용 및 의미를 분석하며 단계별로 언어적, 정서적, 행동적, 관계적 측면을 나누어 분석하여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한 축어록을 문단마다의 의미를 코딩해 카테고리를 분류하며 주제를 만들고 재분류하여 핵심이 되는 주제를 도출하여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사전·사후 비교분석을 위한 검사도구로는 HTP그림검사, 물고기 가족화 검사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르지 않아도 모른다고 하며 부정적 감정을 행동과 언어로 간접적으로 드러냈던 ADHD성향 유아는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자리이탈을 하거나 장난감을 가지고 놀며 주의집중력의 결핍을 보이고 매체를 모두 쏟아내거나 조절하지 못하고 짜내며 쾅쾅 치며 공격성, 충동성, 과잉행동을 보이던 ADHD성향 유아는 미술치료를 통해 규칙을 지키고 조절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부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가 좋지 않을 것으로 보여졌던 ADHD성향 유아는 미술치료를 통해 관계가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넷째, HTP그림검사와 물고기 가족화 검사의 사전·사후를 비교분석한 결과, ADHD성향 유아는 미술치료를 통해 대인관계에서의 문제점이 해결된 것으로 보여지며 타인과 감정을 교류하는 것에 관한 불안감, 내면에 있던 불안정감과 부적절감이 감소된 것으로 보이며 불안을 보상하려는 욕구가 사라졌다. 또한 불안감이 사라지고 밝은 정서로 변화되었으며 부정적인 정서와 위축된 감정이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ADHD성향 유아의 미술치료를 통한 경험의 의미를 주제 분석한 결과 ADHD성향 유아는 자신의 감정을 찾았고, 매체의 여러 가지 느낌을 탐색하였으며, 미술활동에 흥미를 느꼈고, 규칙을 지키고 노력하며 수행해나가기도 하며, 연구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변화가 나타나는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연구를 통해 연구참여자에게 적합한 미술치료를 진행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참여자의 인터뷰 자료가 아닌 치료사의 관찰 자료와 미술치료 과정의 축어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유아의 미술치료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접근 방법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ADHD성향 유아의 미술치료를 통한 변화과정은 어떠한지, 미술치료의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ADHD성향을 보이는 6세 남아를 대상으로 예비연구와 사전·사후검사를 포함하여 2022년 2월 17일부터 2022년 5월 16일까지 주 2회 40-60분씩, 총 20회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설계에 기반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얻고자 예비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참여자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여 유아의 선호매체, 적합한 연구방법과 프로그램을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초기단계, 중기단계1, 중기단계2, 종결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초기단계(1~3회기)는 라포형성을 하는 단계, 중기단계1(4~7회기)은 감정을 이완하는 단계, 중기단계2(8~14회기)는 감정을 표출하는 단계, 종결단계(15~16회기)는 마무리 하는 단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일화기록, 회기 별 녹음, 활동과정과 작품을 찍은 사진을 통해 자료를 수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한 회기별 활동일지를 통해 미술치료 회기별 내용 및 의미를 분석하며 단계별로 언어적, 정서적, 행동적, 관계적 측면을 나누어 분석하여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한 축어록을 문단마다의 의미를 코딩해 카테고리를 분류하며 주제를 만들고 재분류하여 핵심이 되는 주제를 도출하여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사전·사후 비교분석을 위한 검사도구로는 HTP그림검사, 물고기 가족화 검사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르지 않아도 모른다고 하며 부정적 감정을 행동과 언어로 간접적으로 드러냈던 ADHD성향 유아는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자리이탈을 하거나 장난감을 가지고 놀며 주의집중력의 결핍을 보이고 매체를 모두 쏟아내거나 조절하지 못하고 짜내며 쾅쾅 치며 공격성, 충동성, 과잉행동을 보이던 ADHD성향 유아는 미술치료를 통해 규칙을 지키고 조절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부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가 좋지 않을 것으로 보여졌던 ADHD성향 유아는 미술치료를 통해 관계가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넷째, HTP그림검사와 물고기 가족화 검사의 사전·사후를 비교분석한 결과, ADHD성향 유아는 미술치료를 통해 대인관계에서의 문제점이 해결된 것으로 보여지며 타인과 감정을 교류하는 것에 관한 불안감, 내면에 있던 불안정감과 부적절감이 감소된 것으로 보이며 불안을 보상하려는 욕구가 사라졌다. 또한 불안감이 사라지고 밝은 정서로 변화되었으며 부정적인 정서와 위축된 감정이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ADHD성향 유아의 미술치료를 통한 경험의 의미를 주제 분석한 결과 ADHD성향 유아는 자신의 감정을 찾았고, 매체의 여러 가지 느낌을 탐색하였으며, 미술활동에 흥미를 느꼈고, 규칙을 지키고 노력하며 수행해나가기도 하며, 연구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변화가 나타나는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연구를 통해 연구참여자에게 적합한 미술치료를 진행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참여자의 인터뷰 자료가 아닌 치료사의 관찰 자료와 미술치료 과정의 축어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유아의 미술치료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접근 방법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anecdotal records, recordings by session, and photographs of activities and works. The content and meaning of each art therapy session were analyzed through the activity log for each session prepar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change process was examined b...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anecdotal records, recordings by session, and photographs of activities and works. The content and meaning of each art therapy session were analyzed through the activity log for each session prepar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change process was examined by dividing linguistic, emotional, behavioral, and relational aspects by stage. In additio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meaning of the art therapy experience was examined by coding the meaning of each paragraph to classify categories, creating a topic, and deriving a key topic by reclassifying it. HTP picture test and fish familyization test were used as inspection tools for pre- and post-mortem comparison analysis. Through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HD-oriented infant, who indirectly expressed his negative emotion through behavior and language, saying he didn't know even if he knew, was able to express his emotions through art therapy. Second, ADHD-oriented infant, who was away from his seat, playing with toys, showing a lack of attention, and was unable to pour out or control all the media, and was aggressive, impulsive, and hyperactivity, tried to follow and control the rules through art therapy. Third, ADHD-oriented infant, whos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peers was not expected to be good, showed improved relationships through art therapy.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e- and post-mortem of the HTP picture test and the fish family test, ADHD-oriented infant seem to have solved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art therapy, and anxiety about exchanging emotions with others, and his desire to compensate for them has disappeared. In addition, anxiety disappeared, turned into bright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and shrinking emotions seem to have been resolved.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aning of ADHD-oriented infant’s experiences through art therapy, ADHD-oriented infant found his emotions, explored various feelings of the media, was interested in art activities, followed rules, tried, and experienced changes through interaction with researchers. This study can be significant in that it laid the foundation for art therapy suitable for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open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approaches to researchers who want to understand the art therapy experience of infants by actively utilizing the therapist's observation data and the art therapy process, not the participants' interview data.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anecdotal records, recordings by session, and photographs of activities and works. The content and meaning of each art therapy session were analyzed through the activity log for each session prepar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the change process was examined by dividing linguistic, emotional, behavioral, and relational aspects by stage. In addition,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meaning of the art therapy experience was examined by coding the meaning of each paragraph to classify categories, creating a topic, and deriving a key topic by reclassifying it. HTP picture test and fish familyization test were used as inspection tools for pre- and post-mortem comparison analysis. Through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HD-oriented infant, who indirectly expressed his negative emotion through behavior and language, saying he didn't know even if he knew, was able to express his emotions through art therapy. Second, ADHD-oriented infant, who was away from his seat, playing with toys, showing a lack of attention, and was unable to pour out or control all the media, and was aggressive, impulsive, and hyperactivity, tried to follow and control the rules through art therapy. Third, ADHD-oriented infant, whos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peers was not expected to be good, showed improved relationships through art therapy. Fourth,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e- and post-mortem of the HTP picture test and the fish family test, ADHD-oriented infant seem to have solved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art therapy, and anxiety about exchanging emotions with others, and his desire to compensate for them has disappeared. In addition, anxiety disappeared, turned into bright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and shrinking emotions seem to have been resolved.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aning of ADHD-oriented infant’s experiences through art therapy, ADHD-oriented infant found his emotions, explored various feelings of the media, was interested in art activities, followed rules, tried, and experienced changes through interaction with researchers. This study can be significant in that it laid the foundation for art therapy suitable for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open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approaches to researchers who want to understand the art therapy experience of infants by actively utilizing the therapist's observation data and the art therapy process, not the participants' interview data.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