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ADHD 아동의 우울, 불안, 공격성과 연령에 따른 부적응적 인지 특성 - 인지 오류와 귀인 편파를 중심으로 - MALADAPTIVE COGNITIONS ACCORDING TO DEPRESSION, ANXIETY, AND AGE OF CHILDREN WITH ADHD - FOCUS ON COGNITIVE ERROR AND ATTRIBUTIONAL BIAS -원문보기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발달적 측면을 고려하면서, ADHD 아동의 정신 병리(우울, 불안, 공격성) 수준과 부적응적 인지 특성(인지 오류, 귀인 편파)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병원을 내원하여 주진단이 ADHD인 40명의 아동과 아동의 어머니는 아동의 우울, 불안, 공격성과 부적응적인 인지 특성들을 평가하는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ADHD 아동의 우울과 불안, 공격성 수준과 부적응적 인지 특성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연령은 우울증에 특징적인 부적응적인 귀인 특성인 부정적인 사건에 대한 내적 안정적 귀인 경향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연령은 부정적인 사건에 대한 내적 안정적 귀인 경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ADHD 아동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부정적인 사건에 대해 내부 귀인을 하는 경향이 줄어들었으며, 이들의 우울이나 불안 증상은 부적응적인 인지 특성과 관련되기보다는 그 당시에 직면한 스트레스 사건과 연관된 것일 가능성이 있겠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발달적 측면을 고려하면서, ADHD 아동의 정신 병리(우울, 불안, 공격성) 수준과 부적응적 인지 특성(인지 오류, 귀인 편파)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병원을 내원하여 주진단이 ADHD인 40명의 아동과 아동의 어머니는 아동의 우울, 불안, 공격성과 부적응적인 인지 특성들을 평가하는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ADHD 아동의 우울과 불안, 공격성 수준과 부적응적 인지 특성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연령은 우울증에 특징적인 부적응적인 귀인 특성인 부정적인 사건에 대한 내적 안정적 귀인 경향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연령은 부정적인 사건에 대한 내적 안정적 귀인 경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ADHD 아동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부정적인 사건에 대해 내부 귀인을 하는 경향이 줄어들었으며, 이들의 우울이나 불안 증상은 부적응적인 인지 특성과 관련되기보다는 그 당시에 직면한 스트레스 사건과 연관된 것일 가능성이 있겠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pathology(depression, anxiety, aggression), maladaptive cognitions(negative cognitive errors, attributional biases), and age of children with ADHD. 40 ADHD children and their mother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depression, anxiety, aggression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pathology(depression, anxiety, aggression), maladaptive cognitions(negative cognitive errors, attributional biases), and age of children with ADHD. 40 ADHD children and their mother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depression, anxiety, aggression level and maladaptive cognitions of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maladaptive cognitions of children with ADHD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depression, anxiety, aggression level. Age was negatively related to internal stable attributions for negative events that was characteristic in depression, and had significantly effect on internal stable attributions for negative events. As age of ADHD children increased, their internal attribution for negative events reduced. It seems that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level is associated with current stress event rather than maladaptive cognitions.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pathology(depression, anxiety, aggression), maladaptive cognitions(negative cognitive errors, attributional biases), and age of children with ADHD. 40 ADHD children and their mother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depression, anxiety, aggression level and maladaptive cognitions of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maladaptive cognitions of children with ADHD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depression, anxiety, aggression level. Age was negatively related to internal stable attributions for negative events that was characteristic in depression, and had significantly effect on internal stable attributions for negative events. As age of ADHD children increased, their internal attribution for negative events reduced. It seems that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level is associated with current stress event rather than maladaptive cognitions.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발달적 측면을 고려하면서, AD HD 아동의 공존하는 정신 병리(우울, 불안, 공격성) 수준과 부적응적 인지 특성(인지 오류, 귀인 편파)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한다.
Beck의 이론에 근거하여 Leitenberg 등 15)이 만든 것으로 결과를 부정적으로 예측하고(부정적 결과예측), 사건의 결과를 매우 재앙적인 것으로 보고(재앙화), 부정적인 결과에 대해 주로 자기에게 책임을 돌리며(개인화), 전반적 상황 속에서 특히 사건의 부정적인 특징에대해 선택적으로 집중하는 경향(선택적 주의)이 있으며, 부정적인 결과를 과잉 일반화하는 특성(과잉일반화)을인지오류로 보고 이를 평가하고자 고안되었다. 피검자는평가지에 제시된 상황을 읽고 그 내용 속에 있는 아동이 반응하거나 생각한 내용이 자신의 생각과 얼마나 유사한지를 평가하도록 되어 있다(1='내가 생각하는 것과 전혀 다르다에서 5 ='내가 생각하는 것과 매우 똑같다).
타당도를 보여 주었다 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울과 불안 수준에 대해 아동의 자기 보고와 부모의 평가의 상관을 조사하였다. 우울 수준은 아동의 자기 보고와 부모의 평가 간의 상관이 유의미하였으므로(=.
영역으로 남아 있다.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우울, 불안, 공격성 같은 정서와 행동 문제, 그리고 발달에따른 인지적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아동과부모의 평가치를 모두 포함시켰다. 우울 수준의 경우 부모와 아동의 평가치가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합산하여사용하였으나, 아동의 불안 수준에 대한 자기 보고 측정치와 어머니의 평가치는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아 아동의 자기 보고만을 사용하였다.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된 IAR 척도는 총 20문항으로구성되었으며, 자신의 성공과 실패의 원인에 대해 각 문항마다 네 가지 귀인 요인 즉, 능려 노려 과제난이도, 운 요인의 순위를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이 네 가지 귀인 요인 중 능력 요인은 내적 안정적 귀인, 노력 요인은내적 불안정적 귀인, 과제난이도는 외적 안정적 귀인, 운요인은 외적 불안정적 귀인으로 구분하였다.
실시 방법은 각 문항에서 제시한 내용에 대해 가장 적합한 답이라고 생각되는 순으로 네 가지 요인에 대해 1 점에서 4점까지 순위를 매기게 하였으며, 채점 방법은 1 순위로 평정한 요인의 점수는 4점, 2순위는 3점, 3순위는 2점, 4순위는 1점을 부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공경험에 대해 운 요인에 귀인하는 정도를 긍정적 사건에대한 외적 불안정적 귀인(external unstable attribution for positive outcome ; EPU) 점수로, 실패 경험에 대해능력 요인에 귀인하는 정도를 부정적 사건에 대한 내적안정적 귀인(internal stable attribution for negative outcome ;ISN) 점수로 사용하였다.
문제 행동 목록에는 경험적으로 가장 핵심적인 증상들을 문항으로 묶어, 신체 증상, 위축, 불안/우울, 사회적미성숙, 사고문제, 주의 집중문제 비행, 공격성 등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의 공격성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공격성을 평가하는 20문항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4개의 타당도 척도와 11 개의 임상 척도를 포함하는 255개의 진위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불안과 우울 수준에대한 어머니의 평가를 포함시키기 위해 불안 척도(22문항)와 우울 척도(23문항)만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참가한 모든 아동은 우울, 불안 수준을 평가하는 아동용 척도들과 인지 오류와 귀인 편파를 평가하는 척도들을 실시하였다. 어린 아동의 경우 도움이 필요하면 연구자들이 보충 설명을 해주면서 실시하였다.
어린 아동의 경우 도움이 필요하면 연구자들이 보충 설명을 해주면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참가한 모든 아동의 어머니는 아동의 우울, 불안, 공격성 수준을 평가하는 검사지를 실시하였다. 어머니가 하는 검사지는 10분 정도가 소요되었고, 아동이 하는 검사지는 2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01) 이 둘을 합산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불안 수준은 아동의 자기 보고와 부모의 평가 간의 상관이 유의미하지 않았으므로 아동의 자기 보고 평가치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공격성 수준은 부모의 평가가 일반적으로 타당한 측정치로 간주되므로 이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불안 수준은 아동의 자기 보고와 부모의 평가 간의 상관이 유의미하지 않았으므로 아동의 자기 보고 평가치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공격성 수준은 부모의 평가가 일반적으로 타당한 측정치로 간주되므로 이를 사용하였다.
2) 우울, 불안, 공격성 수준과 인지적 변인들 간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3) 중 다 회귀 분석 : 인지적 변인들과 연령과 우울, 불안, 공격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아동기 우울증이 귀인 유형5), 인지적 왜곡6)과 관련된다는 연구들이있으나 이러한 인지 특성들이 우울과만 특수한 연관성을 갖는지 불안과도 관계가 있는지, 관계가 있다면 어떤차이를 가지는지 분명하지 않다. 예를 들면, Ostander 등。은 정신과 외래에 내원한 64명의 7~18세 아동과청소년을 대상으로 다양한 정신 병리와 부적응적 인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우울 증상과 부정적인사건에 대한 내적 안정적 귀인은 우울과만 특수한 관련이 있으며, 부정적 인지 오류는 우울과 불안 모두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 11월부터 20이년 7월까지 서울소재 대학병원 한 곳과 경기도 소재 대학병원 한 곳의신경정신과를 방문하여 소아 정신과 의사와 심리학적 진단 평가에 의해 주 진단이 ADHD인 40명의 아동이 포함되었다. 지능 수준이 80 미만인 경계선 지능과 정신 지체 아동은 제외되었다.
지능 수준이 80 미만인 경계선 지능과 정신 지체 아동은 제외되었다. 여아는 1명, 남아는 39명이었고연령 범위는 만 9세에서 16세였다.
이론/모형
본 연구에서는 배주미(2000)가 번역하여 사용한 것을 실시하였으며 배주미의 연구에서 Cronbach a는 .87 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귀인 유형 척도는 성공과 실패 상황에 대한 귀인 성향을 측정할 수 있도록 Crandall 등이만든 귀인 유형 척도(Intellectual Achievement Reson- sibility :IAR)를 이미리가 수정한 도구 중 일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IAR 척도는 총 20문항으로구성되었으며, 자신의 성공과 실패의 원인에 대해 각 문항마다 네 가지 귀인 요인 즉, 능려 노려 과제난이도, 운 요인의 순위를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2점, 4순위는 1점을 부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공경험에 대해 운 요인에 귀인하는 정도를 긍정적 사건에대한 외적 불안정적 귀인(external unstable attribution for positive outcome ; EPU) 점수로, 실패 경험에 대해능력 요인에 귀인하는 정도를 부정적 사건에 대한 내적안정적 귀인(internal stable attribution for negative outcome ;ISN) 점수로 사용하였다. 김연희 16)의 연구에서 성공 상황에 대한 Cronbach a는.
이 척도는 Kovacs와 Beck이 만든 성인 우울 검사 (BDI)의 아동용 수정판으로, 조수철이 번역하고 표준화한 '한국형 소아 우울 척도'이다. 한국형 소아 우울 척도는 만 8~13세 아동을 위한 것이며 27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성능/효과
ADHD 아동의 우울과 불안, 공격성 수준과 부적응적인지 특성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기분장애를 동반한 ADHD 집단이 그렇지 않은 ADHD 집단에 비해 더 많은 부적응적인 인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입증했던 Schmidt 등 9)의 연구나 정신과 외래에내원한 다양한 아동을 대상으로 우울과 불안 수준과 부적응적인 인지 특성의 관련성을 입증한 Ostrander 등7) 의 연구에서와는 다른 결과이다.
예를 들면, Ostander 등。은 정신과 외래에 내원한 64명의 7~18세 아동과청소년을 대상으로 다양한 정신 병리와 부적응적 인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우울 증상과 부정적인사건에 대한 내적 안정적 귀인은 우울과만 특수한 관련이 있으며, 부정적 인지 오류는 우울과 불안 모두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이렇게 우울 특정성이 나타나지 않는 이유는 우울-불안의 상관이 높고그 두 가지 정서 장애 간의 분화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Hosa 등8)의 연구에서 ADHD 남아들이 긍정적인사건에 대해 내적 귀인을 하지만 부정적 사건에 대해서는 비임상 통제 집단에 비해 개인적 책임감을 덜 갖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ADHD 아동이 사건에 대한 지각을 긍정적으로 왜곡하는 경향, 즉 긍정적인 사건은 내적 요인들에, 부정적인 사건은 외적 요인들에 더 자주 귀인하는 경향은 우울 증상을 통계적으로 통제했을 때 더욱 극단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존하는 우울증상의 존재가 ADHD 소년들이 자신의 능려 행동 문제들, 자기가치(self-worth)를 보다 현실적으로 보게 한다는 것을 암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IAR 척도는 총 20문항으로구성되었으며, 자신의 성공과 실패의 원인에 대해 각 문항마다 네 가지 귀인 요인 즉, 능려 노려 과제난이도, 운 요인의 순위를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이 네 가지 귀인 요인 중 능력 요인은 내적 안정적 귀인, 노력 요인은내적 불안정적 귀인, 과제난이도는 외적 안정적 귀인, 운요인은 외적 불안정적 귀인으로 구분하였다.
1) 우울 불안, 공격성 수준 평가 : 어린 아동의 경우 내면화 문제에 대한 자기 보고 능력에 제한점이 있으며 아동과 부모 보고를 함께 사용한 선행 연구는 자기 보고나 어머니 보고를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좋은 수렴, 변별 타당도를 보여 주었다 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울과 불안 수준에 대해 아동의 자기 보고와 부모의 평가의 상관을 조사하였다.
모두 부적응적인 인지 특성을 나타내는 세 가지 변인들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오히려 ADHD 아동의 연령은 부정적인 사건을 내적 안정적 요인(능력)에귀인하는 경향(ISN)과 부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34, p<.05).
즉, 아동의 연령과 부정적인 사건에 대해 외적이고 안정적인 요인(과제난이도)에 귀인하는 경향과 (=.31, p=.06) 부정적인 사건에 대해 내적이고 불안정적인 요인(노력)에 귀인하는 경향(=.32, p=.05)은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또한 긍정적인 사건에 대해 내적이고 안정적인 요인(능력)에 귀인하는 경향은 연령과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
06). 우울 수준과 긍정적인 사건에 대해 외적이고 불안정한 요인(운)에 귀인하는 경향이 정적인 관계를(=.31, p=.06), 우울과 긍정적인 사건에 대해 내적이고 안정적인 요인(능력)에 귀인하는 경향은 부적인 관계를 나타냈다(=-.31, p=.06).
본 연구에 참가한 ADHD 아동의 귀인 특성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 본 결과, 그들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긍정적인 사건에 대해서도 내적 안정적 귀인을 하는 특성이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긍정적인 사건에 대해서든부정적이 사건에 대해서든 자기 내부 원인이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나이가 듦에 따라 줄어드는 것 같다.
본 연구에서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에 의미있게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오직 연령뿐이었다. 우울이나 불안 중에서는 우울 수준이 긍정적이 사건에 대해 외적 불안정적 특성에 귀인하는 부적응적인 인지 특성과 관련되는 경향성을 보였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유의미한 수준은아니었다.
종합해서 보면, 정서적 괴로움은 ADHD 아동의 인지특성에 별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같다. 이들이 우울이나 불안 증상은 부적응적인 인지 특성과 관련되기보다는그 당시에 직면한 스트레스 사건과 연관된 것일 가능성이 있겠다.
후속연구
즉, ADHD 아동은 우울한 아동과는 달리 부정적인 사건의원인을 내부 귀인 하지 않으며 단지 일상 생활에서 경험하는 좌절 사건에 대한 반응으로써 우울이나 불안 증세를 나타내는 듯하다. 이러한 예측을 검증하기 위해서는우울 증상을 동반한 ADHD 아동과 우울증을 일차적으로 갖는 아동의 인지적 특성과 생활 스트레스와의 연관성을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겠다.
산만하고 충동적인 행동으로 인해 부정적인 피드백을많이 받고 좌절을 경험하기 쉬운 ADHD 아동이 청소년기와 성인기에 이르러 비행 행동이나 반사회적 성격 특성을 갖는 비율이 높다는 최근 연구들을 보더라도 이들이 많은 생활 스트레스 사건을 거치면서 어떤 경로를 통해 어떤 인지적 특성을 형성하게 되는지를 탐색하는 연구는 인지 치료적 개입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첫째, 표집의 범위가병원을 내원한 아동으로 제한되었으므로 병원을 찾지 않은 ADHD 아동을 포함한 전체 ADHD 아동 집단에 본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문제가 있다. 임상 집단과지역 사회 집단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는연구들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자료 수집 방법상의 제한점이다. 어린 아동일수록 자기 보고 평가치들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떨어지는것은 물론이고 주의 산만한 행동이 두드러지는 아동의경우 부모도 아동의 우울과 불안 증상 같은 내현화 문제를 간과하기 쉬울 것이다.
우울 수준의 경우 부모와 아동의 평가치가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합산하여사용하였으나, 아동의 불안 수준에 대한 자기 보고 측정치와 어머니의 평가치는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아 아동의 자기 보고만을 사용하였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특히 아동의 불안 수준을 보다 정확히 평가할 수있는 정교화된 도구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이 사용하고 있는 약물의 영향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약물의 효과를 통제하거나 약물이 우울, 불안, 공격성 수준과 인지 적 특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겠다.
약물의 영향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약물의 효과를 통제하거나 약물이 우울, 불안, 공격성 수준과 인지 적 특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겠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