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밀 arabinoxylan의 면역세포 활성화 작용
Immune Cell Stimulating Activity of Wheat Arabinoxyla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4 no.3 = no.163, 2002년, pp.510 - 517  

최은미 (연세대학교 생물산업소재연구센타) ,  임태수 (연세대학교 생물소재공학과) ,  이혜림 (연세대학교 생물소재공학과) ,  황재관 (연세대학교 생물산업소재연구센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밀 배아에서 제조된 arabinoxylan(A1: low MW, A2: medium MW, A3, high MW)의 면역세포 활성화 작용을 invitro에서 마우스 비장 림프구와 복강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밀 arabinoxylan으로 처리된 마우스 비장 림프구의 생존능을 살펴보았을 때 50, $100\;{\mu}g/mL$ 농도에서 A3이 비장 림프구의 생존을 증가시켰고 비장 림프구에 $10\;{\mu}g/mL$ LPS를 첨가하여 활성화된 상태에서 $20\;{\mu}g/mL$ arabinoxylan을 처리한 결과 A1과 A3이 대조군에 비해 비장 림프구의 생존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p<0.05).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의 생존율 관찰한 결과 $10{\sim}100\;{\mu}g/mL$ 농도에서 A1과 A3은 대식세포의 생존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p<0.05). 대식세포의 암세포 살해능을 살펴보았을 때 $5\;{\mu}g/mL$ 농도의 A3이 암세포독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phagocytic index를 측정한 결과 arabinoxylan을 $2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 효과를 나타내어 밀 arabinoxylan이 대식세포의 식세포 작용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p<0.05). 또한 arabinoxylan은 대식세포의 lysosomal phosphatase와 myeloperoxidase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p<0.05) NO 생성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H_2O_2$의 양을 측정한 결과, arabinoxylan은 유의적인 $H_2O_2$ 생성 증가를 나타내었고(p<0.05), NBT 환원법으로 대식세포의 $O_2$ 생성 지표를 측정하였을 때, arabinoxylan은 유의적으로 대식세포의 NBT 환원을 증가시켰다(p<0.05).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밀 arabinoxylan의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는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lysosomal enzyme 및 반응성산소종(ROI)의 생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s of wheat arabinoxylan on mouse spleen lymphocytes and peritoneal macrophages were examined in vitro. Among three wheat arabinoxylans (A1: low MW, A2: medium MW, A3: high MW), A3$(50{\sim}100\;{\mu}g/mL)$ increased the viability of spleen lymphocytes up to $114{\sim}125%$ of the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대식세포가 이물질이나 LPS와 같은 mitogen의 자극을 받아 활성화되면 이물질을 탐식하여 lysosomal enzyme인 phosphatase를 생성하여 이물질을 분해한다. 따라서 대식세포의 lysosomal phosphatase를 측정하여 밀 arabinoxylan이 mitogen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Fig.
  • 이에 본 연구에서는 in vitro에서 마우스 비장 림프구와 복강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밀 배아에서 분리된 arabinoxylan의 면역세포 활성화 활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ee, H.Y. and Lee, H.S. Stimulatory effect of Korean red-ginseng extract on the proliferation and cellular activity of lymphocytes. Korean J. Ginseng Sci. 22: 60-65 (1998) 

  2. Kim, K.H., Lee, I.R., Jung, I.S., Chung, H.Y. and Yun, Y.S. The pattern of cytokine mRNA expression induced by polysacchaiide from Panax ginseng C.A. Meyer. J. Ginseng Res. 22: 324-330 (1998) 

  3. Han, M.D., Lee, E.S., Kim, Y.K., Lee, J.W., Jeong, H. and Yoon, K.H. Production of nitric oxide in Raw 264.7 macrophages treated with Ganoderan, the $\beta$ -glucan of Ganoderma lucidum. The Korea J. Mycology 26: 246-255 (1998) 

  4. Adams, G.A. Constitution of a hemicellulose from wheat bran. Can. J. Chem. 33: 56-67 (1955) 

  5. Ring, S.G. and Selvedran, R.R. Isolation and analysis of cell wall material from beeswing bran (Triticum aestivum). Phytochemistry 19: 1723-1730 (1980) 

  6. Ghoneum, M. Enhancement of human killer cell activity by modified arabinoxylan from rice bran (MGN-3). Int. J. Immunotherapy 14: 89-99 (1998) 

  7. Saiki, I. and Fidler, I.J. Synergistic activation of recombinant mouse interferon- and muramyl dipeptide of tumoricidal proper-ties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J. Immunol. 135: 684-688 (1984) 

  8. Klimetzek, V. and Remold, H.G. The murine bone marrow mac-rophage, a sensitive indicator cell for murin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and a new method for their harvest. Cell Immun. 53: 257 (1980) 

  9. Tubaro, A., Florio, C., Luxich, E., Vertua, R., Loggia, R.D., and Yasumoto, T. Suitability of the MTT-based cytotoxicity assay to detect okadaic acid contamination of mussels. Toxicon 34: 965-974 (1996) 

  10. Yoshida, T, Sakai, M., Kitao, T, Khil, S.M., Araki, S., Saitoh, R., Inpno, T. and Inglis, V. Immunomodulatory effects of the fer-mented products of chicken egg, EF203, o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Aquaculture 109: 209-214 (1993) 

  11. Burstone, M.S. and Kalpow, L.S. Cytochernical demonstration of acid phosphatase in hematopoietic cells in healthy and in various hematological disorder using azo dye technique. J. Histochem. Cytochem. 12: 805 (1964) 

  12. Pinegin, B.V., Butakov, A.A. and Shelcina, T.L. Complex of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fimctional activity of phagocyting cells. pp. 146-154 In: Ecological Immunology. Khaitov, R.M., Pinegin, B.V. and Istamov, H.I. (eds.). Moscow: VNIRO. (1995) 

  13. Kang, N.S., Moon, E.Y., Cho, C.G. and Pyo, S. Immunomodulating effect of garlic com-ponent, allicin, on murine peritoneal mac-rophages. Nutr. Res. 21: 617-626 (2001) 

  14. Munoz, M., Cedeno, R., Rodriguez, J., van der Knaap, W.P.W., Mialhe, E. and Bachere, E. Measurement of reacdve oxygen intermediate production in haemocytes of penaeid shhmp, Penaeus vannamei. Aquaculture 191: 89-107 (2000) 

  15. Kim, K.H., Jung, I.S., Chung, H.Y, Jo, S.K. and Yun, Y.S. Pre-clinical evaluadon of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Korea red-ginseng as an antineoplastic immunostimulator. Korean J. Ginseng Sci. 21: 78-84 (1997) 

  16. De Duve, C. and Wattiaux, R. Functions of lysosome. Ann. Rev. Physiol. 28: 435 (1966) 

  17. Nathan, C.F. and Hibbs, J.B. Jr. Role of nitric oxide synthesis in macrophage antimicrobial activity. Current Opinion Immunol. 3: 65-70 (1991) 

  18. Klebanoff, S.J. Phagocytic Cells: Production of Oxygen Metabo-lism in Inflammation; Basic Principles and Clinical Correlates. pp. 391-444 (eds.) Gallin, J.I., Goldstein, I.M. and Snyderman, R. Raven Press, New York. (1988) 

  19. Bao, X., Duan, J., Fang, X. and Fang, J. Chemical modifications of the (1 $\rightarrow$ 3)- $\alpha$ -D-g1ucan from spores of Ganoderma lucidum and investigation of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immu-nological activity. Carbohydrate Research 336: 127-140 (2001) 

  20. Zhang, L.N., Zhang, M., Zhou, Q., Chen, J.H. and Zeng, F.B. Solution properties of antitumor sulfated derivative of $\alpha$ -(1 $\rightarrow$ 3)-D-glucan from Ganoderma lucidum. Biosci. Biotechnol. Biochem. 64: 2172-2178 (2000) 

  21. Yamada, H. and Kiyohara, H. Complement activating polysaccha-rides from medicinal herbs. pp. 161-202. In: Immunomodulating Agents from Plants. Wagner, H. (ed.). Basel: Birkhauser (1999) 

  22. Zhao, J.F., Kiyohara, H., Yamada, H., Takemoto, N. and Kawa-mura, H. Heterogeneity and characterization of mitogenic and anticomplementary pectic polysaccharides from roots of Glycyrrhiza uratensis Fisch et DC. Carbohydrate Research 219: 149-172 (1991) 

  23. Matsumoto, T., Cyong, J.C., Kiyohara, H., Matsui, H., Abe, A., Hirano, M., Danbara, H. and Yamada, H. The pectic polysaccha-ride from Bupleurum falcatum L. enhances immune complexes binding to peritoneal macrophages through Fc receptor expres-sion. Int. J. Immunopharmacolo. 15: 683-693 (1993) 

  24. Shin, K.S., Kiyohara, H., Matsumoto, T. and Yamada, H. Rham- nogalacturonan II from the leaves of Panax ginseng C.A. Mayer as a macrophage Fc receptor expression-enhancing polysaccha-ride. Carbohydrate Research 300: 239-249 (1997) 

  25. Matsumoto, T. and Yamada, H. Regulation of immune complexes binding of macrophages by pectic polysaccharide from Bupteu-rum falcatum L.: pharmacological evidence for the requirement of intracellular calcium/calmodulin on Fc receptor up-regulation by bupleuran 2IIb. J. Pharm. Pharmacol. 47: 152-156 (1995) 

  26. Rasmussen, L.T. and Selhelid, R. The modulatory effect of lipo-proteins on the release of interleukin 1 by human peritoneal mac-rophages stimulated with -1,3-polyglucose derivatives. Scand. J Immunol. 29: 477-484 (1989) 

  27. Burger, R.A., Torres, A.R., Warren, R.P., Caldwell, V.D. and Hughes, B. Echinacea-induced cytokine production by human macrophages. Int. J. Immunpharmacol. 19: 371-379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