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리의 제맥과정 중 Arabinoxylan의 용해성 변화
Changes in Solubility of Barley Arabinoxylans during Malt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2, 2008년, pp.1684 - 1687  

엄혜선 (경원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이영택 (경원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리를 침맥한 후 5일 동안 발아하는 제맥과정 중에 arabinoxylan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제맥과정 중 초기에 불용성인 보리의 arabinoxylan은 발아과정 중에 가용화됨에 따라 수용성 arabinoxylan의 함량이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발아중인 보리의 수용성 arabinoxylan 부분은 $21^{\circ}C$ 추출온도에 비해 $45^{\circ}C$의 추출온도에서 보다 높은 함량 으로 나타났다. 발아시간에 따라 적절히 변형된 맥아(96시간 발아)와 덜 변형된 맥아(60시간 발아)를 선발하여 변형정도 에 따른 두 가지 맥아에 대하여 당화온도별로($45{\sim}75^{\circ}C$) 당 화 후 맥즙의 arabinoxylan 함량을 분석하였다. 당화온도를 $45^{\circ}C$에서 $75^{\circ}C$를 증가시킴에 따라 맥즙에 용출되어져 나오는 arabinoxylan의 함량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의 당화조건에서 적절히 변형된 맥아로부터 얻은 맥즙과 덜 변형된 맥아로부터 얻은 맥즙 간의 arabinoxylan 함량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rleys at different malting stages from steeping to 5 day germination were investigated for soluble, insoluble, and total arabinoxylans at three different extraction temperatures of 21, 45 and $65^{\circ}C$. Slight differences in total arabinoxylan levels in barleys were observed dur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보리의 제맥과정 중에 맥아 arabinoxylan 의 수용성, 불용성 및 총 arabinoxylan 함량을 분석하고 발아 기간에 따른 맥아의 변형정도가 당화온도별 맥즙 arabinoxylan의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맥아에 존재하는 arabinoxylan은 어떤 문제점을 야기시키는가? 보리 arabinoxylan의 일부는 세포벽으로부터 가용화 되어지지만 arabinoxylan을 분해하는 효소들이 종종 발아과정 후기에 늦게 생성됨에 따라(6,7) arabinoxylan이 전 양조 과정을 통해 분해되지 않고 여전히 높은 함량으로 남아 최종 맥주제품에 남게 될 수 있다. 맥아에 존재하는 arabinoxylan은 β-glucan과 함께 맥주 양조 시 맥즙수율을 떨어뜨리고 높은 점도로 인해 맥즙과 최종 맥주의 여과를 어렵게 하며 맥주에서 haze 형성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9). 제맥과정 중에서 맥아 세포벽의 변형정도는 당화 시에 맥즙수율에 영향을 미치며 맥즙과 최종적으로 맥주의 β-glucan 및 arabinoxylan의 함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보리의 세포벽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보리의 배유 세포벽에는 β-glucan(~70%)과 arabinoxylan(~20%), 그리고 호분층 세포벽에는 arabinoxylan(~65%)과 β-glucan(~25%)의 이들 두 가지 다당류가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세포벽 물질은 미량의 cellulose, glucomannan, 단백질, acetyl group, phenolic constituents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 보리는 약 4~8%의 총 arabinoxylan 함량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 함량은 유전 및 환경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맥아시료의 당화 온도에 따라 arabinoxylan 함량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적절히 변형된 맥아와 덜 변형된 맥아를 45oC에서 당화시켜 제조한 맥즙에서 arabinoxylan 함량이 각각 728, 663 mg/L로 적절히 변형된 맥아에서 그 함량이 높았으며, 이는 적절히 변형된 맥아에서 활성화된 solubilase complex에 의해 가용화된 arabinoxylan의 함량이 높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당화온도가 55, 65, 75oC로 증가함에 따라 적절히 변형된 맥아로부터 얻은 맥즙의 arabinoxylan 함량은 각각 561, 557, 522 mg/L였다. 당화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맥즙의 arabinoxylan 함량이 낮은 것은 높은 당화온도에서 solubilase complex의 일부가 그 활성을 잃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덜 변형된 맥아로부터 얻은 맥즙의 arabinoxylan 함량은 각각 518, 516, 534 mg/L로 적절히 변형된 맥아로부터 얻은 맥즙과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Fincher GB. 1975. Morpholog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barley endosperm cell walls. J Inst Brew 81: 116-122 

  2. Lethonen M, Aikasalo R. 1987. Pentosans in barley varieties. Cereal Chem 64: 133-134 

  3. Henry RJ. 1986. Genetic and environmental variation in the pentosan and ${\beta}$ -glucan contents of barley and their relation to malting quality. J Cereal Sci 4: 269-277 

  4. Henry RJ. 1988. The carbohydrates of barley grains-a preview. J Inst Brew 94: 71-78 

  5. Bamforth CW. 1994. ${\beta}$ -Glucan and ${\beta}$ -glucanases in malting and brewing: practical aspects. Brew Dig 69: 12-21 

  6. Banik M, Li CD, Langridge P, Fincher GB. 1997. Structure, hormonal regulation, and chromosomal location of genes encoding barley (1→4)- ${beta}$ -xylan endohydrolases. Mol Gen Genet 253: 599-608 

  7. Voragen AGJ, Schols HA, Marius J, Rombouts FM, Angelino SAGF. 1987. Non-starch polysaccharides from barley: structural features and breakdown during malting. J Inst Brew 93: 202-208 

  8. Bamforth CW. 1982. Barley $\beta$ -glucans: their role in malting and brewing. Brew Dig 3: 22-35 

  9. Coote N, Kirsop BH. 1976. A haze consisting largely of pentosan. J Inst Brew 82: 34 

  10. Edney MJ, LaBerge DE, Langrell DE. 1998. Relationships among the $\beta$ -glucan contents of barley, malt, malt congress extract, and beer. J Am Soc Brew Chem 56: 164-168 

  11. Han JY, Schwarz P. 1996. Arabinoxylan composition in barley, malt, and beer. J Am Soc Brew Chem 54: 216-220 

  12. Li Y, Lu J, Gu G, Shi Z, Mao Z. 2005. Studies on water-extractable arabinoxylans during malting and brewing. Food Chem 93: 33-38 

  13. American Society of Brewing Chemists. 1992. Methods of Analysis. 8th ed. Malt-4. The ASBC, St. Paul, MN 

  14. European Brewery Convention. 1998. Analytica-EBC. 5th ed. Fachverlag Hans Carl, Nurnberg, Germany 

  15. Blakeney AB, Harris PJ, Henry RJ, Stone BA. 1983. A simple and rapid preparation of alditol acetates for monosaccharide analysis. Carbohyd Res 113: 291-299 

  16. Douglas SG. 1981. A rapi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entosans in wheat flour. Food Chem 7: 139-145 

  17. Bamforth CW, Kanauchi M. 2001. A simple model for the cell wall of the starchy endosperm in barley. J Ins Brew 107: 235-240 

  18. Kuntz RJ, Bamforth CW. 2007. Time course for the development of enzymes in barley. J Inst Brew 113: 196-205 

  19. Aman P, Graham H. 1987. Analysis of total and insoluble mixed-linked ( $1{\to}3$ ),( $1{\to}4$ )- $\beta$ -D-glucans in barley and oats. J Agric Food Chem 35: 704-709 

  20. Izydorczyk MS, Macri LJ, MacGregor AW. 1998. Structur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arley non-starch polysaccharides II. Alkali-extractable B-glucans and arabinoxylans. Carbohydr Poly 35: 249-258 

  21. Lee YT. 2008. Effects of malt modification on ${\beta}$ -glucan solubility and beer viscos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360-363 

  22. Wang J, Zhang G, Chen J, Wu F. 2004. The changes of ${\beta}$ -glucan content and ${\beta}$ -glucanase activity in barley before and after malting and their relationships to malt qualities. Food Chem 86: 223-22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