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정부산물로부터 분리한 보리 폴리페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Barley Polyphenol Extract (BPE) Separated from Pearling By-produc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4 no.5 = no.165, 2002년, pp.889 - 892  

석호문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서미숙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김흥만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안명수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영택 (경원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리 도정부산물은 맥강과 배아 획분으로부터 항상화 효능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폴리페놀성 물질(barley polyphenol extract: BPE)을 분리하고 이들 획분을 linoleic acid를 사용한 모델계와 옥배유를 기질로 한 유지의 자동산화를 통하여 이들의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였다. TBA가 측정결과 bran III의 BPE는 ${\alpha}-tocopherol$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고, 다른 획분 특히 bran I과 배아 획분의 경우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지의 자동산화에 대한 BPE의 항산화효과를 과산화물가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저장 초기 10일에서 15일 까지는 첨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alpha}-tocopherol$ 및 BHT와 유사하거나 다소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나 저장 20일 이후부터는 첨가농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40\;meq/kg{\cdot}oil$에 도달하는 기간을 유도기간으로 정하고 유도기간에 따른 상대적 항산화효과(RAE)를 측정한 결과 bran I과 배아 획분의 BPE를 0.02% 첨가시 RAE값은 각각 128 및 126이었고 0.1% 첨가시에는 135 및 133으로서 첨가량의 변화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BHT의 126보다 높게 측정되어 이들 획분은 향후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rley bran and germ fractions were collected during pearling process. Barley polyphenol extract (BPE) was separated from the pearling fractions, and its antioxidative activity was determined through linoleic acid model system and lipid autoxidation model using corn oil as a substrate. At 0.02% ad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리를 식용으로 하기 위해 도정 등의 처리를 할 때 부산물로 얻어지는 맥강 및 배아 획분으로부터 폴리페놀 추출물을 얻고 이들의 항산화성을 리놀산을 사용한 모델계 및 옥배유의 저장 중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첨가효과를 BHT, α-tocophenol, 및 L-ascorbic acid 등의 항산화제와 비교 검토하여 보리 폴리페놀 추출물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Y.J. The subject of lipid nutrition and improvement. Food Sci. Ind. 23: 13-30 (1990) 

  2. Kim, D.H. Rancidity of Edible Oil. Korea University Press, Seoul (1994) 

  3. Kinsella, J.E. Food lipids and fatty acid: Importance in food quality, nutrition, and health. Food Technol. 42: 124-144 (1988) 

  4. Shahi, F. and Wanasundara, P. Phenolic antioxidants. Crit. Rev. in Food Sci. Nutr. 32: 67-103 (1992) 

  5. Giese, J. Antioxidants: Tolls for preventing lipids oxidation. Food Technol. 50: 73-78 (1996) 

  6. Omaye, S.T., Reddy, K.A. and Cross, C.E. Effect of butylated hydroxytoluene and other antioxidants in mouse lung metabolism. J. Toxicol. Environ. Health 56: 829- 836 (1977) 

  7. Kasuga, A., Aoyagi, Y. and Sugahara, T. Antioxidant activities of edible plants.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5: 828-834 (1988) 

  8. Shin, D.W. Research trends in natural antioxidants. Food Sci. Ind. 30: 14-21 (1997) 

  9. Fukuda, Y., Osawa, T., Namiko, M. and Ozaki, T. Studies on antioxidative substances in sesame seed. Agiic. Biol. Chem. 49: 301-306 (1985) 

  10. Lee, Y.J.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 of various solvent extract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Ph.D.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998) 

  11. Cho, S.Y., Han, Y.B. and Shin, K.H. Screening for antioxidants activity of edible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33-137 (2001) 

  12. Dziedzic, S.Z. and Hudson, B.J.F. Hydroxy isoflavones as antioxidants for edible oils. Food Chem. 11: 161-166 (1983) 

  13. Dziedzic, S.Z. and Hudson, B.J.F. Polyhydroxy chalcones and flavanones as antioxidants for edible oil. Food Chem. 12: 205-212 (1983) 

  14. Miura, K. and Nakatani, N. Antioxidative activity of flavonoids from Thyme. Agric. Biol. Chem. 53: 3043-3045 (1989) 

  15. Kanno, H., Usuki, R. and Kaneda, T. Antioxidative effect of oryzanol on thermal oxidation of oils.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32: 170-173 (1985) 

  16. Hayes, R.E., Bookwalter, G.N. and Bagley, E.B. Andoxidant activity of soybean flour and derivatives-A review. J. Food Sci. 42: 1527-1532 (1977) 

  17. Naim, M., Gestether, B., Zilkah, S., Birk, Y. and Bondi, A. Soybean isoflavones characterization, determination and antifungal activity. J. Agric. Food Chem. 22: 806-810 (1974) 

  18. Pratt, D.E. and Birac, P.M. Source of antioxidants activity of soybeans and soy products. J. Food Sci. 44: 1720-1722 (1979) 

  19. Daniels, D.G.H. Antioxidants in oats, Effects of phenolic acids. J. Sci. Food Agric. 14: 385-390 (1963) 

  20. Jung, S.O.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antioxidative materials from defatted rice bran. M.S. thesis, Korea Univ., Seoul (1990) 

  21. Taga, M.S., Miller, E.E. and Prett, D.E. Chia seeds as a source of natural lipid antioxidants. J. Am. Oil Chem. Soc. 61: 928-931 (1984) 

  22. Tateyama, C., Ohta, M. and Uchiyama, 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flower petal extracts.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44: 640-646 (1997) 

  23. Tateyama, C., Honma, N., Namiki, K. and Uchiyama. T.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various flower petals.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44: 290-299 (1997) 

  24. Seog, H.M., Seo, M.S., Kim, S.R., Park, Y.K. and Lee, Y.T. Characteristics of barley polyphenol extract (BPE) separated from pearling by-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75-779 (2002) 

  25. Tamagawa, K., lizuka, S., Fukushima, S., Endo, Y. and Komiyama, Y. Antioxidative activity of polyphenol extracts from barley bran.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44: 512-515 (1997) 

  26. Tamagawa, K, Fukushima, S., Kobori, M., Shinmoto, H and Tsushida, T. Proanthocyanidins from barley bran potentiate retinoic acid-induced granulocytic and sodium butyrate-induced monocytic differentiation of HL60 cells. Biosci. Biotechnol. Biochem. 1483-1487 (1998) 

  27. Mitsuda, H., Yasumoto, K. and Iwami, K. Antioxidative action of indole compounds during the autoxidation of linoleic acid. Nippon Eiyo Shokuryo Gakkaishi 49: 210-217 (1996) 

  28. AOCS.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3rd ed.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Illinois, USA (1978) 

  29. Ahn, M.S. Effects of reaction temperature, time and presence of organic acids or their salts on the antioxidants activity of caramelization mixtures. Ph.D. theses, Korea University, Seoul (1984) 

  30. Kong, Y.J., Kang, T.S., Lee, M.K., Park, B.K and Oh, D.H.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des of solvent fractions of Quercus mongolic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338-343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