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 목적은 암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국내 연구논문을 분석 평가하여 선행연구의 단점을 보완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 전남대학교 보건연구 정보센타, KoreaMed 및 의학연구정보센타의 DB Bank를 검색하여 '삶의 질'과 '암'이라는 용어가 포함된 논문 31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논문을 암 부위, 삶의 질 정의에 대한 개념적 영역(domains), 사용된 독립변수(예측변수), 연구설계(단면적/종적연구), 측정의 주체(자가측정/대리측정), 사용된 도구(단일도구/일련의 도구 세트), 질문지 번역과정(번역-역번역), 신뢰도, 타당도, 점수계산방법, 및 연구결과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31편의 연구논문 중 약 반이 여러 종류의 암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삶의 질의 정의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에서 다차원적으로 정의하였다. 연구설계는 약 30%의 논문만이 종적연구설계를 하여 삶의 질 변화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삶의 질 측정도구로는 거의 전 연구에서 환자가 직접 측정하는 질문지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도구의 선택에 있어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은 편이다. 또한 외국에서 개발된 질문지를 번역하여 사용할 때 번역-역번역 과정을 통해 한글로 번역한 도구는 하나도 없었다. 측정된 삶의 질 계산방법은 전부 전통적인 방법인 평균이나 합으로 계산하였다. 연구에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검정되었던 변수들은 다양하지 않았다. 결론 : 앞으로 암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국내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치료과정에 따른 삶의 질 변화 파악을 위한 종적 연구설계의 시도와 신뢰도와 타당도가 수립된 적절한 측정도구의 사용, 그리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에 대한 반복적 연구 및 새로운 변수 파악을 위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and evaluate prior studies published in Korea on the cancer-related quality of life, in order to make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Materials and Methods : A total of 31 studies were selected from three different databases. The sel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를대상으로 삶의 질을 평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연구자들은 향후 진행할 방사선 치료를 받는 유방암 환자들의 삶의 질 연구를 위한 선행연구로서 국내에서 시행된 암환자의 삶의 질 관련 연구결과를 종합 . 분석할 필요가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암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국내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방사선 치료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ristopher JLM, Alan DL, CoIin DM, CIaudia S. The gIobal burden of disease 2000 project : Aims, methods and data sources. Global programe on evidence for health policy discussion WHO Nov. 2001 

  2. U.S. Department of HeaIth and Human Services, PubIic HeaIth Service, NationaI Institutes of HeaIth. Quality of Iife assessment in cancer clinical trials. Report of the Workshop on Quality of Life Research in CIinical Trials. Bethesda, MD. 1990 

  3. King C, Haberman M, Berry D, et aI. Quality of life and the cancer experience : The state-of-the-knowledge. Oncol Nurs Forum 1997;24:27-41 

  4. Grant MM, Rivera LM (Eds.). Evolution of quality of life in oncology and oncology nursing. In King CR, Hinds PS. Quality of life. Sudbury, Massachusettes : Jones and Bartlett 1998:3-22 

  5. Lee EO, Lim NY, Park HA. Nursing/medical research and statical analysis. Seoul : Sumunsa 1998 

  6. MeKeon R. Introduction to Aristotle. New York : Modern Library 1947 

  7. WorId HeaIth Organization. Chronicle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1, (1/2), 1947:13 

  8. CampeII A. The sense of well being in America. New York : McGraw-Hill 1981 

  9. Johnson JR, TempIe R.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requirements for approval of new anticancer therapies. Cancer Reports 1985;69:1155-1157 

  10. Osoba D. Lessons learned from measur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ncology. J Clini Oncol 1994;12:608-616 

  11. Korean Ministry of HeaIth and WeIfare. Annual report of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program. 2001 

  12. Berzon RA. Understanding and using health-related quality of Iife instruments within cIinical research ctudies. In Staquet MJ, Hays RD, Fayers PM (Eds.). Quality of Iife assessment in cIinical traIs (2nd. ed.). NY : Oxford Press. 1999:3-15 

  13. Ferrans CE. QuaIity of Iife as an outcome of cancer care. In Yarbro CH, Froggle MH, Goodman M, Groenwald SL (EDs.). Cancer Nursing : Principles and practice (5th ed.). Sudbury, Massachusetts : Jones and Bartlett 2000;243-258 

  14. CeIIa DF, TuIsky DS, Gray G.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scale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eneral measure. J Clini Oncol 1993;11:570-579 

  15. CeIIa DF, TuIsky DS. QuaIity of Iife in cancer : definition, purpose, and methods of measurement. Cancer Invest 1993;327-336 

  16. Ferrans CE. Development of a quality of Iife index for patients with cancer. Oncol Nurs Forum 1990;17(3, Suppl):15-21 

  17. FerreII BR, Dow KH, Grant M. Measure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 cancer survivos. Qual Life Res 1995;4:523-531 

  18. CeIIa DF. QuaIity of Iife : Concepts and definition. Journal Pain Symptom Manage 1994;9:186-192 

  19. PearIman R, UhImann R. Quality of life in chronic disease : perceptions of elderly patients. J Gerontol 1988;43(2):25-30 

  20. Shumaker SA, Anderson RT, Czajkowski SM. Pstchological tests and scales. In SpiIker B (Ed.).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 cIinical trials. New Yotk : Raven press 1990;95-113 

  21. SpiIker B. Introduction. In SpiIker B (Ed.). Quality Iite assessment in cIinical triaIs. New York : Raven press 1990;3-9 

  22. Ware J, Sherbourne C. The MOS Short-form General Health Survey (SF-36). Med Care 1992;30:473-483 

  23. Bergner M. Bobbitt RA, Carter WB, GiIson BS. The sickness impact profile; Development and final revision of a health status measure. Med Care 1981;19:787-806 

  24. Aaronson NK, Ahmedzai S, Bergman B, et aI.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OL-V30 : A quality-of-Iife instrument for use in international trials in oncology. J Natl Cancer Inst 1993;85:365-376 

  25. MeIzack R. The McGiII Pain Questionnaire : Major properties and scoring methods. Pain 1975;1:277-299 

  26. Ro YJ. Study on quality of Iife of middle aged adults dwelling in Seoul. Doctoral dissertation : Yonsei University 1988 

  27. Warnecke RB, Ferrans CE, Johnson TP. Measuring quality of life in cuIturally diverse populations. Journal of National Cancer Inst Monogr 1996;20:29-38 

  28. Scientific Advisory Committee of the Medical Outcomes Trust. Assessing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struments : Attributes and review criteria. Qual Life Res 2002;11:193-205 

  29. GiII TM, Feinstein AR. A critical appraisal of the quality of quality-of-Iife measurements. JAMA 1994;27(2):619-626 

  30. FerreII BR. Development of a quality of Iife index for patients with cancer. Oncol Nurs Forum (suppl.) 1990;17(3):21-23 

  31. Trauer T, Mackinnon A. Why are we weighting? The role of important rating in quality of Iife measurement. Qual Life Res 2001;10:579-5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