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티렌 현탁 중합반응에서 폭주반응 해석
Analysis of Runaway Reaction at Styrene Suspension Polymerization 원문보기

산업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v.17 no.3, 2002년, pp.81 - 89  

박형일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신석주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이헌창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장서일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김태옥 (명지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unaway reaction was analyzed experimently and theoretically at the batch styrene suspension polymerization process. In the experiments, the reaction temperature with time was measured at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risk of the runaway reaction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폭주반응 현상을 해석하였다. 그리고 실험에서 얻은 매개변수들과 반응속도론을 바탕으로 모사를 통해 조업 및 설계조건의 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P. E. Noland and J. A. Barton, 'Accidents in the Chemical Industry due to Thermal-Runaway Chemical Reactions,' J. Hazard. Materials, Vol. 14, pp. 233-239, 1987 

  2. D. W. Smith, 'Runaway Reactions and Thermal Explosion,' Chem. Eng., Vol. 13, pp. 79-84, 1982 

  3. T. Uchida, M. Surianayanan, M. Wakakura, and H. Tomioka., 'Hazards of Radical Polymerizations : Thermokinetic Inivestigation of Styrene PoIymeri-zation Methods,' J. Chem. Eng. Japan, Vol. 31, No. 6, pp. 960-968, 1998 

  4. J. A. Barton and P. E. Noland, 'Incidents in the Chemical Industry due to Thermal-Runaway Chemical Reactions, Hazards X : Process Safety in Fine & Speciality Chemical Plants,' IChemE Symp. No. 115, pp. 3-18, 1989 

  5. K. Plantkowsld, and K. H. Reichert, 'Short Stopping of Runaway Methyl Methacrylate Polymerizations,' Chem. Eng. Tech., Vol. 22, pp. 1035-1038, 1999 

  6. U. Kammel, S. Schuter, A. Steiff, and P. M. Weinspach, 'Control of Runaway Polymerization Reactions by Injection of Inhibiting Agents - a Contribution to the Safety of Chemical Reactors,' Chem. Eng. Sci., Vol. 51, PP. 2253-2259, 1996 

  7. C. B. Jeon, T. Y. Jin, and S. T. Ahn, 'Current Techniques and Development Trends in General Purpose Polystyrene,' Polymer Sci. and Tech., Vol. 3, No. 5, pp. 392-405, 1992 

  8. S. Nemeth, and F. C. Thyrion, 'Study of the Riuna-way Characteristics of Suspension Polymerization of Styrene,' Chem. Eng. Tech., Vol. 18, pp. 315-323, 1995 

  9. H. G. Yuan, G. Kalfas, and W. H. Ray, 'Suspen-sion Polymerization,' J. Macromol. Sci.-Rev. Macromol. Chem. Phys. C31, No. 2-3, pp. 215-299, 1991 

  10. G. Kalfas and W. H. Ray, 'Modeling and Experimental Studies of Aqueous Suspension Polymerization Processes. 1. Modeling and SimuIations,' Ind. Eng. Chem. Res., VoL 32, No. 9, pp. 1822-1830, 1993 

  11. G. Kalfas, H. G., Yuan, and W. H. Ray, 'Modeling and Experimental Studies of Aqueous Suspension Polymerization Processes. 2. Experiments in Batch Reactors,' Ind. Eng. Chem. Res., Vol. 32, No. 9, pp. 1831-1838, 1993 

  12. A. W. Hui and A. E. Hamielec, 'Thermal Polymerization of Styrene at High Conversions and Temperatures. An Experimental Study,' J. Appl. Polymer Sci., Vol. 16, pp. 749-769, 19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