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방사선 조사된 닭고기에서 휘발성 조사물질을 선정하기 위하여 각 선량별(0,1,3,5,10 kGy)로 조사된 닭고기를 시료로 하여 P&T법으로 휘발성 성분을 추출한 후 GC/MS법으로 분석하였으며, 동시에 LLCE법의 단점을 보완한 상보적인 분석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P&T/GC/MS법에 의해 총 119종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이는 알데히드류(7종), 케톤류(22종), 알콜류(8종), 에스테르화합물류(30종), 탄화수소류(36종), 방향족화합물류(8종) 및 기타 화합물류(8종)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중 21종의 화합물이 LLCE법과 공통적으로 검출되었고, 나머지 98종은 P&T법 에 의해서만 검출됨으로서 LLCE법과 P&T법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더욱 폭넓은 휘발성 향기성분의 분석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P&T법에 의해 추출된 휘발성 향기 성분중 방사선 조사선량과 함량간의 회귀분석상관분석을 행한 결과 hexene, propanol 및 1,3 bis(1,1-dimethylethy)benzene 등 3종의 휘발성 화합물이 유의적인(p<0.01 또는 p<0.05) 양의 상관성 (r)0.90)을 나타내어 P&T법에 의한 닭고기의 방사선 조사 판별을 위한 표지물질로 선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elect the irradiation-induced marker components from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irradiated chicken, and complement the extraction problems of liquid continuous extraction (LLCE) method, the volatile compounds of irradiated (0,1,3,5 and 10 kGy) chicken were analyzed by Purge and Trap (P&T)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 GC/MS법으로 분석 .동정함으로서 LLCE법의 단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더욱 폭넓은 방사선 조사 판별을 위한 휘 발성 표지 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분석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Yang JS, Kim CK, Lee HJ. 1999. Detection of irradiated chicken, pork and beef by ESR spectroscopy.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606-611. 

  2. 정형욱, 핸리델린세, 권중호. 1999. 방사선 조사식품의 검지방법 연구. 식품공업 148: 55-71. 

  3. Olson DG. 1998. Irradiation of food. Food Technol 52: 56-64. 

  4. Thayer DW. 1994. Wholesomeness of irradiated foods. Food Technol 48: 132-136. 

  5. Kang LL, Kwak HJ, Lee BH, Kim KH, Byun MW, Yook HS. 1998. Genotoxcological and acute toxicological safeties of gamma irradiated beef.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775-780. 

  6.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0. Food Code. Seoul, Korea. p 1-13. 

  7. Yang JS. 1997. General survey of detection methods for irradiated foods. J Korean Nutr Soc 29: 500-507. 

  8. Nam HS, Woo SH, Ly SY, Yang JS. 2000. Identification of irradiated fishes by ESR spectroscop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425-429. 

  9. Jeong SK, Park JH, Ji ST, Park KJ, Kim HH, Hyun CK, Shin HK. 2000. Discrimination of irradiated beef using Comet as-say.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747-754. 

  10. Woo SH, Yi SD, Yang JS. 2000. Detection of irradiated agricultural products by thermoluminescence (TL).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525-530. 

  11. Chung HW, Delincee H, Kwon JH. 2000. Photostimulated luminescence-thermoluminescence application to detection of irradiated white ginseng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65-270. 

  12. Lee JW, Yook HS, Cho KH, Cha BS, Byun MW. 2001. Application of immunoassay for the detection of gammairradiated shrimp. J Korean Soc Food Aci Nutr 30: 600-604. 

  13. 양재승. 1997. 일반식품중 조사식품의 검출법. 식품과학과 산업 30: 121-130. 

  14. Ahn DU, Olson DG, Lee JI, Jo C, Wu C, Chen X. 1998. Packaging and irradiation effects on lipid oxidation and volatiles in pork patties. J Food Sci 63: 15-19. 

  15. Ahn DU, Olson DG, Jo C, Love J, Jin SK. 1999. Volatiles production and lipid oxidation in irradiated cooked sausage as related to packaging and storage. J Food Sci 64: 226-229. 

  16. Cha YJ, Kim H, Park SY, Kim SJ, You YJ. 2000. Identification of irradiated-induce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beef.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042-1049. 

  17. Cha YJ, Kim H, Park SY, Cho WJ, Yoon SS, You YJ. 2000. Identification of irradiated-induce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hick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050-1056. 

  18. Cha YJ, Kim H, Cho WJ, Jung YJ, Byun MW, Yoo YJ. 2001. Identification of irradiated-induce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irradiated pork meats. Korean J Life Science 11: 35-42. 

  19. Hites RA, Biemann K. 1970. Computer evaluation of continuously scanned mass spectra of gas chromagographic effluents. Anal Chem 42: 855-860. 

  20. Hwang KT, Park JY, Kim CK. 1997. Application of hydrocarbons as marker for detecting post irradiation of imported meat and fish.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09-115. 

  21. Patterson RLS, Stevenson MH. 1995. Irradiation-induced offodour in chicken and its possible control. British Poultry Science 36: 425-441. 

  22. Shahidi F, Rubin LJ, D'Souza LA. 1986. Meat flavor volatiles: A review of the composition, techniques of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CRC Critical Review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24: 141-243. 

  23. Ho CT, Chen Q. 1993. Lipids in food flavors. In Lipids in food flavors. Ho CT, Hartman TG, ed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p 2-14. 

  24. Tanchotikul U, Hsieh TCY. 1989.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crayfish waste. J Food Sci 54: 1515-1520. 

  25. Borenstein B, Bunnell RH. 1966. Carotenoids: properties, occurrence and utilization in foods. Food Res 15: 195-276. 

  26. Pippen EL, Mecchi EP, Nonaka M. 1969. Origin and nature of aroma in fat of cooked poultry. J Food Sci 34: 436-442. 

  27. Jo C, Ahn DU. 2000. Production of volatile compounds from irradiated oil emulsion containing amino acids or proteins. J Food Sci 65: 612-616. 

  28. Watanabe K, Sato Y. 1971. Some alkyl-substitued pyrazines and pyridines in the flavor components of shallow fried beef. J Agric Food Chem 19: 1017-1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