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의 수확후 건조, 저장, 가공, 포장, 출하 등 유통단계별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찰쌀보리 집단재배 지역인 충남논산(부적)과 전남영암(군서)에서 처리실태를 조사한 결과 수확단계에서 보리의 수확기간이 16~20일로 짧아 노동력이 집중되는 것과 범용콤바인으로 수확할 경우 쓰러진 보리를 수확하기 곤란한 점 및 크라스콤바인을 임대하여 수확할 때 무리한 작업일정에 따른 2~3%의 수확손실 발생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건조단계에서는 수분함량 변이가 큰(논산:11.8~40%, 군서 : 14.0~34.6%)시료를 같은 열풍건조기 내에서 건조하는데 따른 건조효율 저하와 건조온도를 적정온도인 5$0^{\circ}C$이하보다 다소 높은 55~7$0^{\circ}C$로 조절하는데 따른 품질저하가 우려되었다. 저장 및 유통단계에서는 건조기 또는 저장빈의 추.하곡겸용에 따른 이종곡립 혼입, 그리고 보리소비의 시기가 연중 일정치 않고 특정시기(9~10월)에 편중되는 것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보리 저장기간중 지방산도는 입고시 찰쌀보리가 7.6~8.0 KOHmg/100g, 새쌀보리 4.5 KOHmg/100g이던 것이 10 개월 저장 후에는 각각 10.1~12.0 KOHmg/100g 및 7.3 KOHmg/100g까지 증가되었으며 발아율은 품종 및 저장방법별로 입고시 51.5~61.5%이던 것이 10개월저장 후에는 47.7~59%로 낮아졌고 백도와 흡수율은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낮아져 약간의 물성 변화가 인정되었으나, 10개월 후의 식미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였다.
보리의 수확후 건조, 저장, 가공, 포장, 출하 등 유통단계별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찰쌀보리 집단재배 지역인 충남논산(부적)과 전남영암(군서)에서 처리실태를 조사한 결과 수확단계에서 보리의 수확기간이 16~20일로 짧아 노동력이 집중되는 것과 범용콤바인으로 수확할 경우 쓰러진 보리를 수확하기 곤란한 점 및 크라스콤바인을 임대하여 수확할 때 무리한 작업일정에 따른 2~3%의 수확손실 발생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건조단계에서는 수분함량 변이가 큰(논산:11.8~40%, 군서 : 14.0~34.6%)시료를 같은 열풍건조기 내에서 건조하는데 따른 건조효율 저하와 건조온도를 적정온도인 5$0^{\circ}C$이하보다 다소 높은 55~7$0^{\circ}C$로 조절하는데 따른 품질저하가 우려되었다. 저장 및 유통단계에서는 건조기 또는 저장빈의 추.하곡겸용에 따른 이종곡립 혼입, 그리고 보리소비의 시기가 연중 일정치 않고 특정시기(9~10월)에 편중되는 것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보리 저장기간중 지방산도는 입고시 찰쌀보리가 7.6~8.0 KOHmg/100g, 새쌀보리 4.5 KOHmg/100g이던 것이 10 개월 저장 후에는 각각 10.1~12.0 KOHmg/100g 및 7.3 KOHmg/100g까지 증가되었으며 발아율은 품종 및 저장방법별로 입고시 51.5~61.5%이던 것이 10개월저장 후에는 47.7~59%로 낮아졌고 백도와 흡수율은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낮아져 약간의 물성 변화가 인정되었으나, 10개월 후의 식미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problems, and find out the solution of post - Harvest related procedures for barley in Korea. Consecutive post - harvest procedures in harvesting, drying, milling, packaging and marketing methods were collaborately surveyed at Bujeok (Chungchongnamdo) a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problems, and find out the solution of post - Harvest related procedures for barley in Korea. Consecutive post - harvest procedures in harvesting, drying, milling, packaging and marketing methods were collaborately surveyed at Bujeok (Chungchongnamdo) and Kunsuh (Cholanamdo)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where Chalssalbori (waxy barley) and Ssalbori (non waxy barley) were collectively cultivated in a group farming area, respectively. An early harvesting and relatively short harvesting period within 15 to 20 days to transplanting rice plants as a succeeding crop lead to produce undergrade barley and 2 to 3% harvesting loss were considered as the problem that should be improved. In drying of barley, wide moisture content range of harvested barley among the different farmers and cultivation land was made difficult barley drying unifomly when they were dried in same dryer and drying temperature was slightely higher with 50 to 70$\^{C}$ than that of optimum temperature (under 50$\^{C}$) fer barley drying for producing the high quality barley. Dried barley packaged in ton-bag or 3P bag and put into the rectangular grain bin were stored in ambient temperature warehouse and milled for marketing through whole you.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aste of stored barley were fairly maintained until May next yea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problems, and find out the solution of post - Harvest related procedures for barley in Korea. Consecutive post - harvest procedures in harvesting, drying, milling, packaging and marketing methods were collaborately surveyed at Bujeok (Chungchongnamdo) and Kunsuh (Cholanamdo)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where Chalssalbori (waxy barley) and Ssalbori (non waxy barley) were collectively cultivated in a group farming area, respectively. An early harvesting and relatively short harvesting period within 15 to 20 days to transplanting rice plants as a succeeding crop lead to produce undergrade barley and 2 to 3% harvesting loss were considered as the problem that should be improved. In drying of barley, wide moisture content range of harvested barley among the different farmers and cultivation land was made difficult barley drying unifomly when they were dried in same dryer and drying temperature was slightely higher with 50 to 70$\^{C}$ than that of optimum temperature (under 50$\^{C}$) fer barley drying for producing the high quality barley. Dried barley packaged in ton-bag or 3P bag and put into the rectangular grain bin were stored in ambient temperature warehouse and milled for marketing through whole you.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aste of stored barley were fairly maintained until May next yea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 에서는 수확 후 건조, 저장, 가공, 출하 등 보리의 유통단계별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찰쌀보리 집단 재배 지역인 충남 논산(부적농협)과 새쌀보리재배지역인 전남 영암(군서농협)에서 보리의 수확 후 관리현황을 조사한 결과로서 이에 보고 한다.
제안 방법
보리의 수확 후 관리 실태는 1999년 6월에 충청남도 논산군 부적면찰 쌀보리 집단 재배 지역과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새쌀보리 집단 재배 지역에서 수확, 건조, 저장, 가공 및 유통 등 단계별 수확 후 처리 실태를 현지에서 직접 조사하였으며 저장보리의 품질은 다음해 5월까지 현지의 농협창고에 저장된 시료를 채취하여 이화학 성분, 식미 등을 1〜2개월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발아율은 petridish에 여과지를 깔고 보리 100립씩을 넣은 후 증류수를 10ml를 넣고 뚜껑을 닫아 상온에서 4-5일 발아시킨 후 발아된 곡립의 백분율로 표시하였으며, 백도는 Kett 광전지 백도계로 측정하였고 보리밥의 식미는 5점 평점 법으로 종합식미를 조사 하였다.
또한 수확된 보리의 수분 함량 분포가 농가별, 필지별로 다양하여 11.8〜40%의 범위를 보였는데 이에 따라 다양한 수분 함량을 가진 보리를 동일건조기내에서 건조할 때 건조 효율 및 건조 보리의 품위 저하가 우려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맥 겸용으로서 보리저장은 벼 수확시까지만 사용하고 그 이후에는 톤백으로 옮겨저장하는데 이에 따라 추곡(벼)에 보리가 혼입될 우려가 있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고 군서지역에 있어서는 보리 건조 후 수매전까지 30여일 동안 3P대에 담아 농가의 창고, 가루, 헛간 등에 보관하는 데 따른 쥐 피해 등이 우려되었다. 가공 및 유통에 있어서 가공 방법은 2지역 모두 18회 순환 도정 방식으로 도정율을 73%로 조정하고 있었고 포장 방법은 부적농협은 11g, 군서농협은 1, 3kg의 소포장 단위로 하고 있었으며, 판매에 있어서는 논산부적 농협의 경우는 자체 및 농협체인망을 이용하는 데 비해 군서농협은 자체 연쇄점과 백화점, 상인 등 다양한 판매방식을 적용하고 있었는데 유통상의 문제점은 가공보리쌀의 판매량이 년중 일정치 않고 9〜10월에 편중되는 것이었다.
입고 시 지방산도는 찰쌀보리가 저장방법별로 7.6〜8.0 KOH mg/100g으로서 새쌀보리의 4.5 KOH mg/100g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찰쌀보리의 품종 특성에 따른 결과로 생각되었으며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지방산도는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여 저장 10개월 후 인 익년 5월에는 찰쌀보리 10.1-12.0 KOH mg/100g, 새쌀보리가 7.3 KOH mg/100g까지 증가되었으나 지방산도의 증가량으로 볼 때 증가 폭은 그다지 큰 편은 아닌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보리를 다음해 5월까지 조곡으로 저장하면서 도정하여 출하하면 보리쌀의 품질 측면에서 별 문제가 없을 것이다.
바와 같다. 입고 시 발아율은 저장방법별로 찰쌀보리가 52.5-61.5%, 새 쌀보리가 51.5%로 낮았는데 보리의 발아율이 이렇게 낮은 원인은 건조 온도가 높았던 데 따른 결과로 생각되었는데 이는 후작물인 벼이앙을 위한 조기 수확, 수확 시 우천 등 기후조건 열악 등과 맞물려 15〜16일 동안의 짧은 기간 동안에 수확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조시 건감율을 높이기 위해 건조온도를 다소 높게 조절한 결과로 보인다.
보리의 저장기간 별 발아율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지속적으로 감소되어 저장 11개월후 인 익년 5월에 찰쌀보리는 입고 시보다 2.5~5.5% 감소한 48.0〜59.0%였고 새쌀보리는 입고 시보다 3.8% 감소한 47.7%였는데 저장 방법에 따른 발아율은 큰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보리의 저장방법별 가열 흡수율을 조사한 결과는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저장 중 성분의 변화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본 시험의 결과로 보아 찰쌀보리는 저장익년 5월에도 가열흡수율이 300% 이상을 나타내어 조리특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고 시 식미를 품종별로 5점 평정법에 의해 조사한 결과찰쌀보리가 4.8〜4.9로 새 찰보리의 4.0보다 높았는데 이는찰쌀보리가 전분 특성이나 흡수율 등 보리밥의 식미에 관여하는 이화학 특성이 일반 메보리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보리의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보리밥의 식미는 다소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나 10개월 저장 후에도 찰쌀보리가 4.
0보다 높았는데 이는찰쌀보리가 전분 특성이나 흡수율 등 보리밥의 식미에 관여하는 이화학 특성이 일반 메보리보다 우수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보리의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보리밥의 식미는 다소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나 10개월 저장 후에도 찰쌀보리가 4.0-4.2, 일반 보리가 3.7의 식미 점수를 나타내어식미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리를 원맥 상태로 저장하면서 가공 출하할 경우 1년까지는 대체로 양호한 식미 상태가 유지되어 품질 면에서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보리의 수확 후 건조, 저장, 가공, 포장, 출하 등 유통단계별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자 찰쌀보리 집단재배 지역인 충남 논산(부적)과 전남 영암(군서)에서 처리실태를 조사한 결과 수확 단계에서 보리의 수확기간이 16-20 일로 짧아 노동력이 집중되는 것과 범용콤 바인으로 수확할 경우 쓰러진 보리를 수확하기 곤란한 점 및 크라스콤바인을임대하여 수확할 때 무리한 작업 일정에 따른 2~3%의 수확손실 발생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건조단계에서는 수분함량 변이가 큰 (논산 : 11.
하곡겸용에 따른 이종곡립 혼입, 그리고 보리소비의 시기가 연중 일정치 않고 특정시기(9〜10월)에 편중되는 것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보리 저장기간 중 지방산도는 입고 시 찰 쌀보리가 7.6 ~8.0 KOHmg/lOOg, 새쌀보리 4.5 KOHmg/lOOg이던 것이 10 개월 저장 후에 는 각각 1Q 1~ 12.0 KOHmg/lOOg 및 7.3 KOHmg/ 100g까지 증가되었으며 발아율은 품종 및 저장 방법별로 입고 시 51.5〜61.5%이던 것이 10개월저장 후에는 47.7 〜 59%로 낮아졌고 백도와 흡수율은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낮아져 약간의 물성 변화가 인정되었으나, 10개월 후 의 식미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였다.
그러나 저장 방법에 따른 가열 흡수율 감소율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다만 품종적 성분 특성의 차이에 따라 찰쌀보리의 가열 흡수율이 일반 메보리 품종인 새 쌀보리보다 높게 나타났다.
참고문헌 (9)
조재영., 1976, 전작, 향문사
한국농산물 저장 유통학회., 1998, 농산물 저장 유통기술 핸드북, 송현종합문화사. 57-74
한판주, 한동석., 1969, 대맥의 저장중 온습도가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시험, 농공이용연구소보. 806-837
황종진, 손영구., 1996, 보리용도 다양화를 위한 가공 이용기술,보리의 생산성 향상과 품질고급화 방안, 호남농업 시험장 심포지움 자료. 67-92
Lee, Y, T., 1992, $\beta$ -glucan from hull-less barley ; Isolation, chemical and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and utilization as a food gum, Ph.D. dissertation, North Dakota State Univ. USA.
농촌진흥청., 2001, 식량작물 중장기 연구계획. 75-80
농림부.,1999, 농림통계연보
박문웅,박의호., 2000, 식량작물학Ⅱ,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91-165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