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깨 재배조건에 따른 생육과 품질
Growth and Seed Quality as Affected by Growing Condition in Sesam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47 no.6, 2002년, pp.443 - 447  

김동관 (전남농업기술원) ,  국용인 (동신대학교 생물자원산업화지원센터) ,  천상욱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명화 (전남대학교 생물공학연구소) ,  이주철 (전남대학교 생물공학연구소) ,  김명석 (전남농업기술원) ,  박규철 (전남농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참깨 재배조건에 따른 생육과 수량 및 품질 차이를 구명하고자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닐하우스 재배가 노지 재배에 비해 개화기가 빠른 반면 성숙기가 늦어 생식생장기간이 길었다. 또한 경장과 착삭부위장이 매우 길었다 한편 주당삭수가 많고 천립중이 무거워 수량이 57%가량 많았다. 2. 비닐하우스 재배에서는 6월 8일 파종구가 5월 9일 파종 구에 비해 착삭부위장이 길었다. 그리고 주당삭수가 많고 천립중이 무거웠다. 또한 착삭 상단부위 등숙율이 높고 착삭 중, 하단부위 천립중이 무거우나 수량은 비슷하였다. 3. 노지 재배에서는 5월 9일 파종구가 6월 8일 파종구에 비해 유효분지수와 주당삭수가 많았다. 그러나 착삭 상, 중단부위의 등숙율이 낮고 천립중이 가벼워 수량은 비슷하였다. 4. 종실의 $L^*$값은 재배조건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a^*$값은 비닐하우스 재배에서 높았으나 $b^*$값은 노지 재배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파종기간 색차($\Delta E^*{ab}$)는 노지 재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비닐하우스 재배에서는 수용성 성분인 세사미놀 배당체 함량이 높고, 노지 재배에서는 세사민과 세사몰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the growth, grain yield, and seed quality of sesame plant according to seeding date between P,E. vinyl-house and outdoor cultures. Reproductive growth period in vinyl-house culture was shorter than in outdoor culture. Stem length and capsu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종실의 세 사민과 세사몰린 함량은 참깨를 곱게 갈아 n-hexane으로 3회 반복 추출한 후 분석시료로 사용하였고, 세사미놀 배당체(Sesaminol-triglucoside) 함량 즉정을 위해 탈지된 박에 80% 에탄올로 3회 반복 추출한 후 Sep-pack 처리 후 3가지 성분 모두 Table 2의 조건으로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성분의 함량은 HFLC를 이용해서 정제하고 NMR로 구조를 확인한 표준품으로 검량선을 작성한 후 계산하였고 모든 처리는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 시험 전 토양 화학성은 농사시험연구조사기준(농촌진흥청, 1995)에 준하여 분석한 결과 Table 1과 같다. 비닐하우스 내 온도는 보정된 자동온도기록계(TR-71S, T&D)를 이용하여 10분 간격으로 측정하여 평균온도를 산출하였고, 노지 온도는 광주기상대 자료를 이용하였다.
  • 비닐 멀칭 두둑을 그대로 이용하여 30X 18 cm(l 1, 000 주/10a) 재식밀도로 점파(농촌진흥청, 1999)하였고, 노지재배는 딸기를 재배하였던 토양에서 비닐하우스의 비닐을 제거하고 경운 . 정지 후 흑색 유공 P.E. 비닐로 멀칭하여 30X 10cm (20, 000^/10a) 재식밀도로 점파하였다. 출현 후 본엽 2 엽기에 주당 2본으로 유지하였고, 본엽 3엽기에 주당 1본으로 고정하였다.
  • 종실의 색도는 색차계 (JS555, Color Techno. System)를 사용하여 L*값, a*값 및 b*값을 각각 측정하였다. 종실의 세 사민과 세사몰린 함량은 참깨를 곱게 갈아 n-hexane으로 3회 반복 추출한 후 분석시료로 사용하였고, 세사미놀 배당체(Sesaminol-triglucoside) 함량 즉정을 위해 탈지된 박에 80% 에탄올로 3회 반복 추출한 후 Sep-pack 처리 후 3가지 성분 모두 Table 2의 조건으로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System)를 사용하여 L*값, a*값 및 b*값을 각각 측정하였다. 종실의 세 사민과 세사몰린 함량은 참깨를 곱게 갈아 n-hexane으로 3회 반복 추출한 후 분석시료로 사용하였고, 세사미놀 배당체(Sesaminol-triglucoside) 함량 즉정을 위해 탈지된 박에 80% 에탄올로 3회 반복 추출한 후 Sep-pack 처리 후 3가지 성분 모두 Table 2의 조건으로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성분의 함량은 HFLC를 이용해서 정제하고 NMR로 구조를 확인한 표준품으로 검량선을 작성한 후 계산하였고 모든 처리는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시험의 공시품종은 소분지형이고 3과성인 양백깨(농촌진흥청, 2000)를 사용하였고, 종자를 benomyl(베노람 수화제)로 분의소독한 후 각각 2001년 5월 9일과 6월 8일에 무비 파종하였다. 비닐하우스 재배는 딸기를 재배하였던 1 m 간격의 흑색 P.
  • 비닐하우스 재배는 딸기를 재배하였던 1 m 간격의 흑색 P.E. 비닐 멀칭 두둑을 그대로 이용하여 30X 18 cm(l 1, 000 주/10a) 재식밀도로 점파(농촌진흥청, 1999)하였고, 노지재배는 딸기를 재배하였던 토양에서 비닐하우스의 비닐을 제거하고 경운 . 정지 후 흑색 유공 P.
  • 출현 후 본엽 2 엽기에 주당 2본으로 유지하였고, 본엽 3엽기에 주당 1본으로 고정하였다. 비닐하우스의 규격은 길이 100m, 폭 9 m, 동고 3 m, 측고 1.5 이의 이중하우스로 5월 31일에 안쪽 P.E. 비닐을 제거하였다. 그 밖의 재배방법은 관행에 준하였다.

데이터처리

  • 조사하였다. 모든 결과는 SAS program을 이용하여 0.05에서 DMRT(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유의성검정을 하였다.

이론/모형

  • 기타 주요 형질은 농사시험연구조사기준(농촌진흥청, 1995) 에 준하여 조사하였고, 착삭부위별 등숙율, 천립중 및 수량점유율은 착삭부위장을 3등분하여 선단부터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모든 결과는 SAS program을 이용하여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정병관. 1976. 적심시기가 참깨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전라남도 농촌진흥원 시험연구 보고서 pp. 254-266 

  2. Jung, B. G., and D. K. Kim. 1996. Effect offoliar application ofBoronon growth and yield in sesame. Korean J. Crop Sci. 41 : 441-449 

  3. Kang, M. H., M. K. Oh, J. K. Bang, D. H. Kim, C. H. Kang, and B. H.Lee. 2000a. Varietal difFerence of lignan contents and fatty acidscomposition in Korean sesame cultivars. Korean J. Crop Sci. 45 :203-206 

  4. Kang, M. H., M. Naito, K. Sakai, K. Uchida, and T. Osawa. 2000b.Action of mode sesame lignans in protecting low-densitylipoportein adainst oxidative stress in vitro. Life Sciences 66: 161-171 

  5. Kang, M. H., S. N. Ryu, J. K. Bang, C. H. K-ang, D. H. Kim, and B. H.Lee. 2000c.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introduced and domes-tic sesame seeds. J. Korean Soc. FoodSci. Nutr. 29 : 188-192 

  6. 김동관, 김용재, 정병관, 1995. 참깨 파종기별 Mg, Zn 및 B의 시 용이 주요형질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 제30집 : 9-18 

  7. Lee, B. H., J. I. Lee, S. T. Lee, and R. K. Park. 1988. Responses ofgrowth and flowering to day length and temperature in sesame cul-tivars. Res. Rept. RDA(U&I). 30 : 35-40 

  8. Lee, J. I., S. T. Lee, S. K. Oh, and C. W. Kang. 1981. Breeding ofses-ame(Sesame indicum L.) for oil quality improvement. . Fatty acidcomposition of sesame seeds under diSerent climatic conditionsand locations. Korean J. Crop Sci. 26 : 90-95 

  9. Lee, J. I., S. R. Ryu, C. Y. Choi, and H. S. Lee. 1993. Variation ofanti-oxidant content by capsule position in sesame. Korean J. Crop Breed. 25(1): 59-64 

  10. Lee, J. T., S. H. Yun, M. E. Park, and J. L. Yun. 1995. Effect Of air tem-perature on the growth development in sesame. RDA. J. Aeri. Sci. 37 : 95-104 

  11. 농촌진흥청. 2001. 2000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결과 농촌지도사업 활용자료. p71 

  12. 농촌진흥청 . 2000. 2000 주요 농작물품종해설. p. 81 

  13. 농촌진흥청. 1999. 1998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결과 농촌지도사업활용자료. pp. 112-114 

  14. 농촌진흥청 . 1995. 농사시험연구조사기준. 603p 

  15. 박찬호. 이정일. 1982. 참깨 품종의 개화반응에 관한 연구. 박찬호 박사 회갑기념논문집 5-13 

  16. Ree, D. W., and K. Y. Park. 1985. Flowering order and variation of yield characteristics by capsule position in sesame. Korean J. Crop Sci. 30: 69-75 

  17. Ryu, S. N., C. W. Kang, J. I. Lee, S. T. Lee, K. S. Kim, and B. O. Ahn. 1996. Perspectives of utilization and Iunction of antioxidants in sesame. Korean J. Crop Sci. 41 : 94-109 

  18. Ryu, S. R., J. I. Lee, C. Y. Choi, and S. S. Kang. 1993a. Changes of antioxidant contents during grain filling in different plant types of sesame. Korean J. Crop Sci. 38 : 23-30 

  19. Ryu, S. R., J. I. Lee, and H. S. Lee. 1993b. Effect of temperature and day-length on antioxidants in sesame. Korean J. Crop Sci. 38 :330-335 

  20. Tashiro, T, Y. Fukuda, T. Osawa, and M. Namiki. 1990. Oil and Minor components of Sessme(Sesame indicum L.) strains. JAOCS 67 :508-511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