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 과학교육의 동향과 시스템사고 패러다임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Trends of Current Science Education and the System Thinking Paradig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2 no.1, 2002년, pp.64 - 75  

김만희 (한국교원대학교) ,  김범기 (한국교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trends of current science education compared with thinking paradigm and to find the direction of reform in holistic view. It is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ly, significant trends of science education during the late 20th century were examined. Se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세기 초에, 진보주의 교육자들은 과학적 방법 목표를 과학교육과정의 최고 지위에 올려놓았으며. 과학적 방법을체험함으로서 사회적 문제 해결 능력이 신장된다고보았다. 이를 위해서 실험실 수업과 시범 실험이 효과적이라고 여겼다(Dewey, 1944).
  • 그러므로 시스템 사고 패러다임으로 통칭할 수 있는 이 동향들이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결실을 맺기를 바라며, 나아가 과학교육의 개선에 기여하고자 다음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 따라서본 연구는 먼저 과학철학 및 인식론적 배경에서 근대과학교육의 주된 흐름을 간단히 논의할 것이다. 그리고 20세기 후반 들어 패러다임화 하고 있는 시스템관련 이론을 개략적으로 고찰한 후, 현대 과학교육의동향과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새로운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따라서본 연구는 먼저 과학철학 및 인식론적 배경에서 근대과학교육의 주된 흐름을 간단히 논의할 것이다. 그리고 20세기 후반 들어 패러다임화 하고 있는 시스템관련 이론을 개략적으로 고찰한 후, 현대 과학교육의동향과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새로운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현대 과학교육의 동향을 이해하려는 한시 도로서, 사회적 맥락과 연계한 전체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은 먼저 근대 교육사에서 나타난 과학교육의 목표, 과학철학 및 교실현장의 변천을 개략적으로 고찰하였다.
  • 그리고 이들은 과학교육 개선을 위한 일치된 권고를 하고 있다.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 과학교육 동향을 과학철학 및인식론적 배경과 연계하여 과학교육 목표와 수업 현장의 변화를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과학교육의 동향을 사고 패러다임의 변화와 연계하여 논의함으로서 과학교육 현상을 이론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며, 나아가 과학교육 연구 방향 설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따라서본 연구는 먼저 과학철학 및 인식론적 배경에서 근대과학교육의 주된 흐름을 간단히 논의할 것이다.
  • 즉 단선적 인과관계와 부분적 이해를 무기로 하는 분석적 사고체계에 근거하였다. 이에 기초가 되는 선형적 사고란 그 기저에 이미 정답을 설정한 것이므로, 무질서해 보이는 비선형 시스템이나 모호한 인간 감정은 자연히 도외시하며 기계론적 결정론의 관점에서 대상을 관리 통제하려 한다. 그러나 과학교육은 오랜 인식론의 역사를 통해서도 분명히 규명되지 않은 매우 복잡한 인간의 학습 과정에서 출발하며.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강인애(1997). 왜 구성주의인가. 문음사 

  2. 김도훈, 문태훈, 김동환(1999). 시스템 다이내믹스. 대영문화사 

  3. 김만희(2000). 과학교육의 패러다임에 대한 철학적고찰,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1998). 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5. 목영해(1998). 현대 상대주의 철학과 교육. 교육과학사 

  6. 박승재(1980). 과학 교육의 연구론 소고.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대논총. 21 

  7. 박승재, 조희형(1994). 과학론과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8. 박승재, 조희형(1998). 과학교육연구 교육과학사 

  9. 박창근(1997). 시스템학. 범양사 

  10. 삼성경제연구소(1997). 복잡성과학의 이해와 적용. 삼성경제연구소 

  11. 소원주(1998). 과학교사의 과학철학적 관점과 과학서술 방식이 중학생들의 과학관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송진웅(1999). 과학교육의 기본 이념으로서의 과학적 소양. 기초과학연구, 15(3). 대구대학교 기초과학 연구소 

  13. 송진웅, 정병훈, 권성기, 박종원(1997). 현대 과학철학자들의 저술에 나타난 과학교육의 이미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2), 209-223 

  14. 윤선진(1996). 과학교육체제의 맥락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이재호(2000). 비고츠키 발달이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도덕교육연구, 12(2), 157-174. 한국도덕교육학회 

  16. 이홍우(2000). 교육의 목적과 난점. 교육과학사 

  17. 임병덕(1996). 열린교육과 초등학교 도덕과교육. 교원교육, 12, 43-54.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18. 장희익(1990). 과학과 메타과학. 지식산업사 

  19. 조영태(1999). 열린 교육과 구성주의: 비판적 검토. 도덕교육연구, 11, 55-128 

  20. 조희형(1995). STS 의 의미와 STS 교육의 속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3), 371-378 

  21. 조희형(1998). 과학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그 시사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2), 183-200 

  22. 최경희(1996). STS 교육의 이해와 적용. 교학사 

  23.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d of Science.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NY: Oxford Univ. Press 

  24.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d of Science. (1992). Update project 2061: Education for a changing future Washington, DC: Author 

  25. Auerswald, E.(1995). 패러다임의 변화: 자기 반성적 비판. Steffe. (Ed.). 조연주 . 조미헌 . 권형규 역. 구성주의와 교육, 439-446. 학지사 

  26. Bateson, G.. & Bateson, M.(1987). Angels fear. NY: Macmillan 

  27. Bell, D.(1973). The coming of industrial society. NY: Basic Books 

  28. Bertalanffy, L.(1952). Problems of life. NY: Wiley 

  29. Bertalanffy, L.(1968). General system theory. NY: George Braziller 

  30. Bruner, J.(1960). The process of educa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 Press 

  31. Bruner, J.(1996). The culture of educa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 Press 

  32. Bybee, R. & DeBoer, G.(1994). Research on goals for the science curriculum. in 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357-386. NY: Macmillan 

  33. Candela, A.(1997). Demonstration and problemsolving exercise in school science: Their transformation within the Mexican elementary school classroom. Science Education. 81(5) 

  34. Capra, F.(1982). The turning point. NY: Simon & Schuster 

  35. Chalmers, A.(1982). What is this thing called science?. Univ. of Qweenland Press 

  36. DeBoer, G.(1991). A history of ideas in science education. NY: Teachers college press 

  37. Descartes, R.(1637). 김형효 역(1976). 방법서설. 삼성출판사 

  38. Dewey, J.(1944). Experience and education. NY: Collier 

  39. Forsyth, D. R.(1983). 홍성열 역(1991). 집단역학. 양서원. 서울 

  40. Gourinat, M.(1969). 송영진 역 (1986). 철학의 단계적 이해. 서광사 

  41. Jenkins, E.(1991). History of science education. In A. Lewy. (Ed.).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urriculum. London: Pergamon Oxford 

  42. Jenkins, E.(2000). Constructivism in school science education: Powerful model or the most dangerous intellectual tendency?. Science & Education, 9(6), 599-610 

  43. Kuhn, T. S.(1970).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Chicago: Univ. of Chicago Press 

  44. Matthews, M.(1994). Science teaching. NY: Routledge 

  45.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1982). Science-technology -society: Science education for the 1980‘s. Washington: Author 

  46.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1991). NSTA position statement on science/technology/society. Washington. DC: Author 

  47. Piaget, J.(1973). To understand is to invent. NY: Grossman 

  48. Reiner, M. & Eilam, B.(2001). Conceptual classroom environment-a system view of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 Science Education, 23(6), 551-568 

  49. Toffler, A. (1990). Power shift. NY: Bantam books 

  50. Waldrop, W.(1992). Complexity. NY: Simon & Schuster 

  51. Yager, R.(1992). The Constructivist learning model: NSTA report, 15-17 

  52. Yager, R.(1996). 조희형 . 최경희 역(1997). STS 무엇인가. 사이언스북스: 서울 

  53. Yager, R. & Weld. J.(1999). Scope. sequence, and coordination: The Iowa project, a national reform effort in the USA. International Journal & Science Education, 21(2), 169-1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