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속성 발효 까나리 어간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Accelerate-Fermented Northern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5 no.6, 2002년, pp.709 - 714  

김우재 (강릉대학교 해양생명공학부) ,  김상무 (강릉대학교 해양생명공학부) ,  이시경 (건국대학교 응용생물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동해안 특산 어종인 까나리 액젓의 속성제조를 위하여 발효촉진제 (오징어 내장, koji 및 효소)를 첨가한 다음 15$^{\circ}C$에서 숙성 중 여러 가지 성분변화를 분석하였다. 숙성기간 동안 수분은 모든 실험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단백질 함량은 모든 시료에서 숙성 1개월째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의 숙성기간에서는 미세한 증가 현상을 나타내었다. 조지방은 숙성 기간 동안 오징어 내장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탄수화물은 koji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회분은 숙성기간동안 모든 실험구에서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pH는 모든 실험구에서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징어 내장 첨가구가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 TMA 함량은 모든 실험구에서 숙성 3개월째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그 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아미노태 질소량은 모든 실험구에서 숙성 3개월째까지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숙성 4개월이하부터는 모든 실험구에서 급격한 증가량을 나타내었다. VBN 함량은 모든 실험구에서 숙성 2개월까지 미세하게 증가하였으나 숙성 3개월째에 모든 발효 촉진제 첨가구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전 숙성 기간에 걸쳐 오징어 내장 첨가군이 가장 높은 VBN 함량을 나타내었다. 숙성 중 오징어 내장 첨가군에서는 본 논문에서는 자료를 제시하지 않았지만 숙성 3개월째 다른 첨가군과는 다른 독특한 고소한 향과 감칠맛을 나타내었다. 속성 까나리 어간장을 제조하기 위한 속성 발효제로서 오징어내장 및 koji는 발효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독특한 맛을 형성하므로 까나리 어간장의 속성제조에 발효촉진제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보여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sh sauce is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eafood and has been used as a condiment since long time ago. Northern sand lance sauce was manufactured with koji, enzyme, and squid viscera of fermentation accelerating agents, and ripened at $15^{\circ}C$. Moisture contents of all samples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은 동해안 특산 어종 중의 하나이며 일시 다획성인 까나 리 어간장 생산을 위하여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오랜 숙성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발효촉진제인 koji, 효소 및 오징어내장을 첨가하여 숙성 중 어간장의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pp. 17, 868, 931-932 

  2. Bystedt, J., L. Swenne and H.W. Ass. 1959. Determination of trime thylamine oxide in fish muscle. J. Sci. Food Agric., 10, 301-310 

  3. Beddows, C.G. and A.G. Ardeshir. 1979. The production of soluble fish protein solution for use in fish sauce manufacture. J. Food Technol., 14, 603-612 

  4. Chae, S.K., H. Itoh and S. Nikkuni. 1989. Effects of soy sauce koji and commercial proteolytic enzyme on the acceleration of fishsauce produ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639-648 (in Korean) 

  5. Chaveesul, R., J.P. Smith and B.K. Simpson. 1993. Production of fish sauce and acceleration of sauce fermentation using proteolytic enzyme. J. Aqua. Food Prod. Technol., 2, 59-77 

  6. Cho, Y.J., Y.S. Im, K.W. Lee, G.B. Kim and Y.J. Choi. 1999a. Quality invesfigation of commercial Northern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s. J. Korean Fish. Soc., 32, 234-237 (in Korean) 

  7. Cho, Y.J., Y.S. Im, K.W. Lee, G.B. Kim and Y.J. Choi. 1999b. Changes of components in salt-fermented Northern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s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Fish Soc., 32, 693-698 (in Korean) 

  8. Cho, T.S. 1982. The studies on Gazami Sik-hae.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in Korean) 

  9. Cho, Y.J., Y.S. Lim, H.Y. Park and Y.J. Choi.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theast Asian salt-fermented fish sauces. J. Korean Fish. Soc., 33, 98-102 (in Korean) 

  10. Conway, T.R. 1950. Microdiffusion analysis and volumetric error. Crosby Lockwood and Son Ltd., London, England 

  11. Jung, H.S., S.H. Lee and K.Y. Woo. 1992. Effect of salting levels on the changes of taste constiuents of domestic fennented flounder sikhae of Hamkyeong-Do. Korean J. Food Sci., 24, 59-64 (in Korean) 

  12. Kim, S.M. 1998. The effect of koji and sucrose on the manufacture of Alaska pollack scrap sauce. Food Sci. Biotechnol., 7, 242-247 (in Korean) 

  13. Kim, S.M. 1999. Accelerating effect of squid viscera on the fermentation of Alaska pollack scrap sauce. J. Food Sci. Nutr., 4, 103-106 (in Korean) 

  14. Kim, D.S., Y.M. Kim, J.G. Koo and Y.C. Lee. 1993. A study on shelflife of seasoned and fermented squid. Bull. Korean Fish. Soc., 26, 13-20 (in Korean) 

  15. Lee, E.H., S.G. Jee, C.B. Ahn and J.S. Kim. 1988. Studies on the processing conditions and the taste compounds of the sardine sauce extracts. Bull. Korean Fish Soc., 21, 57-66 (in Korean) 

  16. Lee, E.H., J.S. Kim, C.B. Ahn, K.H. Lee, M.C. Kim, B.G. Chung and H.Y. Park. 1989a. Processing conditions of accelerated anchovy sauce extracts. J. Korean Soc. Food Nutr., 18, 131-139 (in Korean) 

  17. Lee, E.H., J.S. Kim, C.B. Ahn, K.H. Lee, M.C. Kim, B.G. Chung and H.Y. Park. 1989b. Processing conditions of accelerated anchovy sauce extracts. J. Korean Soc. Food Nutr., 18, 167-173 (in Korean) 

  18. Lee, K.H., H.S. Cho, D.H. Lee, and J.H. Ryuk. 1993. Utilization of Ascidian, Holocynthia roretzi. Bull. Korean Fish. Soc., 26, 221-229 (in Korean) 

  19. National Fisheries Products Inspection Station. 1994. fisheries Products Inspection Established Rule. p. 165 

  20. Raksakulthai, N., Y.Z. Lee and N.F. Haard. 1986. Effect of enzyme supplements on the production of fish sauce from Male Capelin (Mallotus villosus). Can. Inst Food Sci. Technol. J., 19, 28-33 

  21. Souane, M., Y.B. Kim and C.H. Lee. 1987. Microbial characterization of Gajami sik-hae fermentation. Korean. J. Appl. Microbiol. Bioeng., 15, 150-157 

  22. Spies, T.R. and D.C. Chamber. 1951.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amino acids and peptides with their copper salt. J. Biol. Chem., 191, 789-797 

  23. Takai, M., Y. Kawai, N. Inoue and H. Shinano. 1992. Comparative studies on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Ika Shiokara Akazakunri' and 'Ika-Shiokara Kurozukuri'. NipponSuisan Gakkaishi, 58, 2373-2378 

  24. Yoo, B.J. and M.H. Chang. 1992.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auce of shellfish with citric acid pretreatment. Korean J. Food Sci., 24, 541-546 (in Korean) 

  25. 통계청. 2001. 어업생산통계. 12월, p. 58, 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