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 최근에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비만 정도를 살펴보고, 비만이 운동 전후의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원주지역 초등학교 5곳의 4-6학년 학생 2,000명 중 신장별 체중 50 백분위수를 표준 체중으로 이용한 비만도가 20% 미만인 대조군 150명과 20% 이상이었던 비만군 2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0년 10월부터 11월까지 2개월 동안 대상군을 정상, 경도비만, 중등도비만, 고도비만의 4군으로 분류하여 운동부하 전 및 후의 폐활량을 측정하였으며, 각 군간의 폐활량을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로 환산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결 과 : 1) 비만에 해당하는 대상은 총 257명(19%)이었으며, 경도비만군 147명(10.9%), 중등도비만군 87명(6.4%), 고도비만군 23명(1.7%), 대조군은 150명이었다. 2) 각 군에서 측정한 $FEV_1$ 및 FVC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은 대조군에서 $95.4{\pm}15.8$, $96.3{\pm}14.7$ 경도비만군에서 $88.7{\pm}10.4$, $88.5{\pm}9.6$ 중등도비만군에 서 $90.3{\pm}11.0$, $87.8{\pm}10.5$ 고도비만군에서 $75.5{\pm}8.6$, $79.3{\pm}9.3$이었으며, 대조군, 경도비만군, 중등도비만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고도비만군에서는 다른 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3) PEFR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은 대조군에서 $102.7{\pm}16.4$, 경도비만군에서 $92.0{\pm}11.0$, 중등도비 만군에서 $86.0{\pm}12.4$, 고도비만군에서 $74.0{\pm}9.5$이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비만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낮았고, 비만도가 높을수록 최대호기속도는 감소하였는데, 이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운동부하 후 측정한 $FEV_1$, FVC, PEFR 모두, 89명(21.9%)은 운동부하 후 5분, 173명(42.5%)은 10분, 145명(35.6%)은 운동부하 후 15분에 가장 낮은 측정치를 보였다. 5) 운동부하 후 $FEV_1$, FVC, PEFR 측정치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은 대조군에서 각각 $90.4{\pm}16.7$, $89.7{\pm}15.0$, $94.5{\pm}16.6$ 경도비만군 $77.1{\pm}10.5$, $74.2{\pm}9.7$, $77.2{\pm}11.6$ 중등도비만군 $76.2{\pm}11.1$, $71.3{\pm}11.4$, $68.5{\pm}13.0$ 고도비만군 $59.8{\pm}9.1$, $55.7{\pm}8.8$, $52.0{\pm}8.9$로 각 군 모두에서 운동부하 전 측정한 각 항목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보다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운동부하 전 및 운동부하 후 각 항목 측정치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 차이는 비만도가 높을수록 컸으며 이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 론: 운동부하 후 발생하는 기관지수축 정도는 비만아에서 더 크게 나타나며, 운동부하 전이라도 고도비만아인 경우 기관지폐쇄가 어느 정도는 존재한다고 사료된다.
목 적 : 최근에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비만 정도를 살펴보고, 비만이 운동 전후의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원주지역 초등학교 5곳의 4-6학년 학생 2,000명 중 신장별 체중 50 백분위수를 표준 체중으로 이용한 비만도가 20% 미만인 대조군 150명과 20% 이상이었던 비만군 2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0년 10월부터 11월까지 2개월 동안 대상군을 정상, 경도비만, 중등도비만, 고도비만의 4군으로 분류하여 운동부하 전 및 후의 폐활량을 측정하였으며, 각 군간의 폐활량을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로 환산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결 과 : 1) 비만에 해당하는 대상은 총 257명(19%)이었으며, 경도비만군 147명(10.9%), 중등도비만군 87명(6.4%), 고도비만군 23명(1.7%), 대조군은 150명이었다. 2) 각 군에서 측정한 $FEV_1$ 및 FVC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은 대조군에서 $95.4{\pm}15.8$, $96.3{\pm}14.7$ 경도비만군에서 $88.7{\pm}10.4$, $88.5{\pm}9.6$ 중등도비만군에 서 $90.3{\pm}11.0$, $87.8{\pm}10.5$ 고도비만군에서 $75.5{\pm}8.6$, $79.3{\pm}9.3$이었으며, 대조군, 경도비만군, 중등도비만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고도비만군에서는 다른 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3) PEFR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은 대조군에서 $102.7{\pm}16.4$, 경도비만군에서 $92.0{\pm}11.0$, 중등도비 만군에서 $86.0{\pm}12.4$, 고도비만군에서 $74.0{\pm}9.5$이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비만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낮았고, 비만도가 높을수록 최대호기속도는 감소하였는데, 이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4) 운동부하 후 측정한 $FEV_1$, FVC, PEFR 모두, 89명(21.9%)은 운동부하 후 5분, 173명(42.5%)은 10분, 145명(35.6%)은 운동부하 후 15분에 가장 낮은 측정치를 보였다. 5) 운동부하 후 $FEV_1$, FVC, PEFR 측정치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은 대조군에서 각각 $90.4{\pm}16.7$, $89.7{\pm}15.0$, $94.5{\pm}16.6$ 경도비만군 $77.1{\pm}10.5$, $74.2{\pm}9.7$, $77.2{\pm}11.6$ 중등도비만군 $76.2{\pm}11.1$, $71.3{\pm}11.4$, $68.5{\pm}13.0$ 고도비만군 $59.8{\pm}9.1$, $55.7{\pm}8.8$, $52.0{\pm}8.9$로 각 군 모두에서 운동부하 전 측정한 각 항목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보다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운동부하 전 및 운동부하 후 각 항목 측정치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 차이는 비만도가 높을수록 컸으며 이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 론: 운동부하 후 발생하는 기관지수축 정도는 비만아에서 더 크게 나타나며, 운동부하 전이라도 고도비만아인 경우 기관지폐쇄가 어느 정도는 존재한다고 사료된다.
Purpose : The incidence of obesity has increased in Korea recently. Obesity leads to higher risks of hypertension, hyperlipidemia and insulin resistance. It also leads to risks of respiratory complication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e the effects of obesity on children's pulmonary functions and ...
Purpose : The incidence of obesity has increased in Korea recently. Obesity leads to higher risks of hypertension, hyperlipidemia and insulin resistance. It also leads to risks of respiratory complication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e the effects of obesity on children's pulmonary functions and on developed bronchospasm after exercise loading according to their obesity degrees. Methods : 257 obese children and 150 non-obese children were enrolled. Obese children were divided into 3 groups by the obesity degrees. Pre- and post-exercise loading $FEV_1$(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FVC(forced vital capacity) and PEFR(peak expiratory flow rate) were checked in all subjects. The percent predicted values of each parameter was compared according to obesity degre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pre-exercise and post-exercise values. Results : The percent predicted value of $FEV_1$, FVC decreased only in the severe obesity group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percent predicted PEFR declined according to obesity degrees. The percent predicted value of $FEV_1$, FVC and PEFR after exercise loading were much lower than those before exercise loading in all groups. Conclusion : As the degree of obesity was higher, the percent predicted value of pulmonary function was lower. And after exercise loading, as the degree of obesity was higher, the reduction of percent predicted value of pulmonary function was larger. Therefore the pulmonary function in obese children must be observed carefully. Further studies on the effects of pulmonary functions in obese children are necessary.
Purpose : The incidence of obesity has increased in Korea recently. Obesity leads to higher risks of hypertension, hyperlipidemia and insulin resistance. It also leads to risks of respiratory complication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e the effects of obesity on children's pulmonary functions and on developed bronchospasm after exercise loading according to their obesity degrees. Methods : 257 obese children and 150 non-obese children were enrolled. Obese children were divided into 3 groups by the obesity degrees. Pre- and post-exercise loading $FEV_1$(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FVC(forced vital capacity) and PEFR(peak expiratory flow rate) were checked in all subjects. The percent predicted values of each parameter was compared according to obesity degre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pre-exercise and post-exercise values. Results : The percent predicted value of $FEV_1$, FVC decreased only in the severe obesity group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percent predicted PEFR declined according to obesity degrees. The percent predicted value of $FEV_1$, FVC and PEFR after exercise loading were much lower than those before exercise loading in all groups. Conclusion : As the degree of obesity was higher, the percent predicted value of pulmonary function was lower. And after exercise loading, as the degree of obesity was higher, the reduction of percent predicted value of pulmonary function was larger. Therefore the pulmonary function in obese children must be observed carefully. Further studies on the effects of pulmonary functions in obese children are necessary.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저자는 최근에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비만 정도를 살펴보고, 비만이 운동 전 및 후의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특히 계속적으로 성장과 발달이 진행중인 소아에서, 비만이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떤 것인지, 또 성인이 될 때까지 지속적인 영향이 있을 것인지도 확실하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로 비만과 폐기능과의 관계 규명에 더욱 노력해야 하며, 아울러 비만어린이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바이다.
제안 방법
대상군 모두에서 운동부하 전후의 폐활량을 측정하였으며, 대상군을 비만도에 따라 정상, 경도 비만, 중등도 비만, 고도 비만의 4군으로 분류하여 각 군간의 폐활량을 비교분석 하였다.
대상군 모두에서 Micro medical사(영국)의 portable micro-spirometry를 사용하여, 운동부하 전 및 운동부하 후의 FEV1, FVC 및 PEFR을 측정하였다. 폐활량의 각 항목은 숙달된 동일한 검사자가 측정하였고, 대상 어린이에게 측정 전에 충분히 교육시킨 후 기립(standing)한 자세에서 편한 기분을 가지도록 격려한 후, 전면을 바로 본 자세로 3회씩 측정하여, 그 최대치를 택하였으며, 폐기능의 일중 변동을 고려하여 모두 정오부터 오후 2시 사이에 측정하였다.
, FVC 및 PEFR을 측정하였다. 폐활량의 각 항목은 숙달된 동일한 검사자가 측정하였고, 대상 어린이에게 측정 전에 충분히 교육시킨 후 기립(standing)한 자세에서 편한 기분을 가지도록 격려한 후, 전면을 바로 본 자세로 3회씩 측정하여, 그 최대치를 택하였으며, 폐기능의 일중 변동을 고려하여 모두 정오부터 오후 2시 사이에 측정하였다.
대상군 모두 대기온도 15-20℃, 대기 습도 40-60%인 조건에서 운동부하를 시행하였고, 운동의 종류는 ‘계단 오르내리기(up and down stairs)’를 선택하여, 심장박동수가 170-180회/분인 상태에서 10분 동안 실시하였으며, 운동 부하 후 5분 간격으로 30분까지 폐활량을 측정하였고, 운동부하 후에 5분 간격으로 측정한 폐활량 중 가장 크게 감소한 측정치를 운동부하 후 폐활량치로 선택하였다. 측정된 폐활량 각 항목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각 폐활량의 예측치는 양 등12)이 발표한 예측치를 구하는 회귀방정식에 신장을 대입하여 산출하였다.
대상군 모두 대기온도 15-20℃, 대기 습도 40-60%인 조건에서 운동부하를 시행하였고, 운동의 종류는 ‘계단 오르내리기(up and down stairs)’를 선택하여, 심장박동수가 170-180회/분인 상태에서 10분 동안 실시하였으며, 운동 부하 후 5분 간격으로 30분까지 폐활량을 측정하였고, 운동부하 후에 5분 간격으로 측정한 폐활량 중 가장 크게 감소한 측정치를 운동부하 후 폐활량치로 선택하였다. 측정된 폐활량 각 항목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각 폐활량의 예측치는 양 등12)이 발표한 예측치를 구하는 회귀방정식에 신장을 대입하여 산출하였다.
대상 데이터
2000년 10월부터 11월까지 2개월 동안 강원도 원주지역 초등학교 5곳을 방문하여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2,0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기침, 가래, 콧물, 코막힘 등의 상기도 감염 증상이 있는 어린이와 급성 폐렴으로 치료 중인 환자 124명 및 심장병 또는 결핵이나 천식과 같은 만성 폐질환을 앓고 있는 아동 57명과, 신장이 연령에 따른 백분위수 10 백분위수 미만이나 90 백분위수 초과 어린이 229명을 제외한 나머지 1,590명의 어린이 중 흡연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가족내 흡연자가 있는 어린이 237명을 제외한 1,353명을 선별하였다.
2000년 10월부터 11월까지 2개월 동안 강원도 원주지역 초등학교 5곳을 방문하여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2,0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기침, 가래, 콧물, 코막힘 등의 상기도 감염 증상이 있는 어린이와 급성 폐렴으로 치료 중인 환자 124명 및 심장병 또는 결핵이나 천식과 같은 만성 폐질환을 앓고 있는 아동 57명과, 신장이 연령에 따른 백분위수 10 백분위수 미만이나 90 백분위수 초과 어린이 229명을 제외한 나머지 1,590명의 어린이 중 흡연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가족내 흡연자가 있는 어린이 237명을 제외한 1,353명을 선별하였다. 이들 1,353명의 어린이를 비만도에 따라 분류하여 경도 비만에 해당하는 147명, 중등도 비만에 해당하는 87명, 고도 비만에 해당하는 23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비만도가 정상인 대조군은 남, 여 각각 75명씩 총 15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이 중 기침, 가래, 콧물, 코막힘 등의 상기도 감염 증상이 있는 어린이와 급성 폐렴으로 치료 중인 환자 124명 및 심장병 또는 결핵이나 천식과 같은 만성 폐질환을 앓고 있는 아동 57명과, 신장이 연령에 따른 백분위수 10 백분위수 미만이나 90 백분위수 초과 어린이 229명을 제외한 나머지 1,590명의 어린이 중 흡연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가족내 흡연자가 있는 어린이 237명을 제외한 1,353명을 선별하였다. 이들 1,353명의 어린이를 비만도에 따라 분류하여 경도 비만에 해당하는 147명, 중등도 비만에 해당하는 87명, 고도 비만에 해당하는 23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비만도가 정상인 대조군은 남, 여 각각 75명씩 총 15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하였다. 비만도의 측정이 신장을 기준으로 시행되는 점을 감안하여, 신장이 연령에 따른 10 백분위수에서 90 백분위수에 해당하는 어린이만 본 연구 대상에 포함하였다. 비만도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았다.
데이터처리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SPSS 프로그램 중 ANOVA 및 LSD를 이용하였으며, P값이 0.05 이하를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성능/효과
4 cm였다. 대조군과 경도비만군간의 신장 차이 및 중등도비만군과 고도비만군간의 신장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없었으나, 경도비만군과 중등도 및 고도비만군간의 신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체중의 경우는 전체 평균이 45.
각 군에서 측정한 FEV1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은 대조군에서 95.4±15.8, 경도비만군에서 88.7±10.4, 중등도비만군에서 90.3±11.0, 고도비만군에서 75.5±8.6이었으며, 대조군, 경도비만군, 중등도비만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고도비만군에서는 다른 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Table 3).
FVC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은 대조군에서 96.3±14.7, 경도비만군에서 88.5±9.6, 중등도비만군에서 87.8±10.5, 고도비만군에서 79.3±9.3이었으며, 대조군, 경도비만군, 중등도비만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고도비만군에서는 다른 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Table 4).
PEFR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은 대조군에서 102.7±16.4, 경도비만군에서 92.0±11.0, 중등도비만군에서 86.0±12.4, 고도비만군에서 74.0±9.5이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비만군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낮았다(P<0.05). 또한 비만도가 높을수록 최대호기속도는 감소하였는데, 이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
05). 또한 비만도가 높을수록 최대호기속도는 감소하였는데, 이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Table 5).
운동부하 직후부터 30분까지 5분 간격으로 측정한 폐활량치 중 가장 낮은 측정치를 운동부하 후 폐활량 치로 선택하였으며, FEV1, FVC, PEFR의 3가지 항목 모두 89명(21.9%)은 운동부하 후 5분에, 173명(42.5%)은 10분 후, 145명(35.6%)은 운동부하 후 15분에 가장 낮은 측정치를 보였다(Table 6).
운동부하 후 FEV1 측정치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은 대조군 90.4±16.7, 경도비만군 77.1±10.5, 중등도 비만군 76.2±11.1, 고도비만군 59.8±9.1로 각 군 모두에서 운동부하 전 측정한 FEV1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보다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감소하였다(P<0.05). 그리고 운동부하 전 및 운동부하 후 FEV1 측정치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 차이는 비만도가 높을수록 컸으며 이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
05). 그리고 운동부하 전 및 운동부하 후 FEV1 측정치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 차이는 비만도가 높을수록 컸으며 이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Table 7).
운동부하 후 FVC 측정치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은 대조군 89.7±15.0, 경도비만군 74.2±9.7, 중등도비 만군 71.3±11.4, 고도비만군 55.7±8.8로 각 군 모두에서 운동부하 전 측정한 FVC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보다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감소하였고(P<0.05), 운동부하 전 및 운동부하 후 FVC 측정치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 차이는 비만도가 높을수록 컸으며 이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Table 8).
운동부하 후 PEFR 측정치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은 대조군 94.5±16.6, 경도비만군 77.2±11.6, 중등도비만군 68.5±13.0, 고도비만군 52.0±8.9로 각 군 모두에서 운동부하 전 측정한 PEFR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보다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감소하였고(P<0.05), 운동부하 전 및 운동부하 후 PEFR 측정치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 차이는 비만도가 높을수록 컸으며 이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Table 9).
본 연구 결과에서는 비만도에 따른 FEV1, FVC 측정치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은 고도비만군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나, PEFR은 정상군과 비만군 모두에서 각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비만도가 50% 미만인 경우는 정상과 같은 폐활량을 보이지만, 비만도가 50%를 넘어가면 정상보다 폐활량이 떨어지는 것으로 해석되고, 이는 Ross 등22)이 보고한 내용과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마찬가지로 비만어린이에서 운동부하 후 측정한 FEV1, FVC, PEFR, FEF25%-75% 모두 정상 어린이보다 더 많이 감소하고, 이는 비만어린이의 기도과민성이 더 증가되어있음을 시사한다는 보고도 있다28). 본 연구에서도 운동부하 후에 측정한 FEV1, FVC, PEFR치의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이 운동부하 전에 측정한 예측치에 대한 백분율보다 모두 감소하였으며, 비만도가 심해질수록 그 감소폭은 더 커지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여러 연구23, 24)에서 정의한 운동유발성 기관지수축의 기준- FEV1또는 PEFR의 운동부하 후 측정치가 운동부하 전 측정치의 10% 이상 감소 -에 따르면 비만군 모두는 운동유발성 기관지수축을 보인다고 할 수 있으며, 비만 어린이가 기도과민성이 더 증가되어있다는 Kaplan과 Montana25)의 보고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