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밤나무 꽃과 잎의 화학성분 및 항균활성 검색 -제2보. 항균활성 검색-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rom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Leaves and Flowers. -II.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ies- 원문보기

한국농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v.46 no.3, 2003년, pp.262 - 267  

김해영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부 식품공학과) ,  조규성 (한경대학교 이공학부 식품공학과,식품생물산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밤나무의 밤꽃과 밤잎의 항균활성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료를 80% methanol로 추출하여 용매분획을 하였다. 용매분획별 수율은 밤꽃에서 ethylacetate 1.94%, methanol 4.75% 및 water 7.81%였고, 밤잎은 ethylacetate 2.24%, methanol 5.03% 및 water 8.47%였다. 밤꽃과 밤잎의 methanol 분획 추출물은 Gram양성 및 음성의 모든 균주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ethylacetate 및 water 분획 추출물은 약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최소저해농도$60\;{\mu}g/disc$ 이상에서 항균력이 인정되었다. Bacillus. subtilis에 대한 생육저해 효과는 control에 비하여 밤꽂과 밤잎 추출물은 모두 낮은 생육저해 효과를 보였으며, 또한 각 추출물은 모두 배양 15시간까지는 현저히 낮은 생육저해를 보이다가 그 후는 약간 높아졌다. 밤꽃 추출물에서는 methanol 추출물이 가장 높은 생육저해효과를 보인 반면에, water 추출물은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생육저해를 보였으며, 밤잎 추출물은 각 추출물에서 거의 비슷한 생육저해를 보였다. 밤꽃과 밤잎의 methanol 분획 추출물을 B. subtilis에 각각 500 ppm씩 처리한 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아니한 경우는 전형적인 Bacilli의 형태를 보였지만, methanol 분획추출물을 처리한 경우는 세포의 형태가 일그러지고 손상을 입은 형태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estnut (Casranea crenata S. et Z.) leaves and flowers were extracted with 80% methanol and then fractionated with ethylacetate, methanol and water.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in each fraction were investigated. Methanol fraction of the chestnut leaves and flower showed strong antimicrbial a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충분히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밤꽃과 밤잎을 원료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나 천연 보존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이들의 항균활성을 검토하였다.
  • 밤나무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의 밤꽃과 밤잎을 활용하여 기능성 식품이의 개발이나 천연보존료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전보에서는 이들의 화학성분을 분석하였으며, 계속하여 항균활성을 검토하였다. 밤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며, 그 열매는 전분과 탄수화물을 다량 함유한 과일로서, 영양가도 풍부하여 기호식품 또는 대용 식량자원으로서 널리 재배되는 유실수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im, J. H., Kim, J. C., Ko, K. C., Kim, G. R. and Lee, J. C. (1998) In Detailed expositions of a fruit tree and horticulture (4th ed.), Hyangmoonsa, Seoul, pp. 382-396 

  2. Suh, K. B., Han, P. J. and Lee, S. J. (1974)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chestnut (Castanea pubinervis Sckneid). Korean J. Food Sci. Technol. 6, 98-108 

  3. Kim, S. K., Jeon, Y. J., Kim, Y. T., Lee, B. J. and Kang, O. J. (1995)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chestnut starches. J. Korean Soc. Food Nutr. 24, 594-600 

  4. Yim, H., Kim, C. O., Shin, D. W. and Suh, K. B. (1980) Study on the storage of chestnut. Korean J. Food Sci. TechnoI. 12, 170-175 

  5. Nha, Y. A. and Yang, C. B. (1996) Changes of constituent components in chestnu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I. 28, 1164-1170 

  6. Kim, S. K., Jeon, Y. J., Kim, Y. T., Lee, B. J. and Kang, O. J. (1995) Sensory evaluation and retrogradation properties of chestnut mook. J. Korean Soc. Food Nutr. 24, 601-605 

  7. Choi, O. B. (1999) Physiological 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Castanea crenata leaf tea, Ph.D. Thesis, Chonnam University, Kwangju, Korea 

  8. Lee, Y. S. (1996) Chenaic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chestnut flower (Castanea crenata). Ph.D. Thesis, Kyongsang University, Jinju, Korea 

  9. Kwon, E. J., Kim, Y. C., Kwon, M. S., Kim, C. S., Kang, W. W., Lee, J. B. and Chung, S. K. (2001) Antioxidative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and isolation of andoxidative compound from chestnut husk.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726-731 

  10. Valencia-Barrera, R.M., Fombella-Blanco, M.A., Femandez-Gonzalez, D., Diaz-Gonzales, T. E., (1994) Pollen spectra of honey from different phytogeographical regions of the Leon proven: Dep. de Biologia vegetal Universidad de Leon, E-2471 Leon, Spain Grrana, 33, 268-275 

  11. Bunchbauer, Gerhard, Jirovetz, Leopoid, Wasicky, Michael, Nikiforov, Alexej. (1994) Volotile common horsechestnut blossoms were analyzed by GC/FID, GC/FTIR/MSD and GC sniffng technique. J. Essent. OiI Res. 6, 93-95 

  12. Yamaguchi, K., Shibamoto, T. (1980) Volatile constituents of the chestnut flower (Castanea crenata). J. Asric. Food Chem. 28, 82-84 

  13. Amito M. J., Aubert S. Gonnet M. Tachmi M. (1989) The phenolic compounds in honeys preliminary study on identification and family quantfication Lab. De biochanie metabolique et technologie station de technologie des products vegetaux. Apidologie 20, 115-126 

  14. Talpay B. (1988) The ingredients of honey citric acid (citrate). Dtsch. Lebensm-Rmdsch 84, 41-44 

  15. Battaflini, M. B. (1974) Sugar composition of some uniflora honeys and the nectrars they are derived from. Apic. Abstn. 25, 123-129 

  16. Kullmann E. (1974) Qulitative determination of free amino acids and the honey dew honeys mixed honey and honeys from flowers. Apidologie 5, 21-38 

  17. Park, C. S., Kim, W. S., Ahn, C. Y. and Lee, M. H. (1999) In Chestnut, Persimmon, date, walnut. Naewyoi Press, Seoul. pp. 75-94 

  18. Kwan, S. B. (1990) In Atlas of pharmacognogy encyclophedia (Ptants). Yonglim Press, Seoul, pp. 806-808 

  19. Lee, T .B. (1994) In Illustrated fIora of Korea. Hyangmoon Press, Seoul. p. 274 

  20. Roberto Chiej (1984) In The MacDonaId encylopedia of medical plants. MacDonald Press, Britain. p. 72 

  21. Korean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1996) Antimicrobial test. pp. 59-70 

  22. Baek, J. W., Chung, S. H. and Moon, G. S. (2002)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bamboo culms and lea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73-1078 

  23. Oh, D. H., Lee, M. K. and Park, B. K. (199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mmercially available tea on the harmful foodborne organis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0-106 

  24. Yeo, S. G., Ahn, C. W., Kim, I. S., Park, Y. H. and Kim, S. B. (1995) Antimicrobial effect of tea extract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293-298 

  25. Ikigai, H., Nakae, T., Hara, Y. and Shimamura, T. (1993) Bactericidal catechins damage the lipid bilayer. Biochem. Biophy. Acta 1147, 132 

  26. Kong, Y. J., Kang, T. S., Lee, M. K., Park, B. K. and Oh, D. H. (2001) Antimicrobial and antioxidadve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of Quercus monsolic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338-343 

  27. EL-Shenawy, M. A. and Marth, E. H. (1988) Inhibition and inactiv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sorbic acid. J. Food Port. 51, 525-528 

  28. EL-Shenawy, M. A. and Marth, E. H. (1989) Inactiv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sodium benzonate together with some organic acids. J. Food Port. 52, 771-775 

  29. Chung, K. H., Lee, S. H., Lee, Y. C. and Kim, J. T. (2001) Antimicrobi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27-132 

  30. Preseott, L. M., Harley, J. P. and Klein, D. A. (2002) In Microbiology (5th ed), Antimicrobial chemotherapy. McGraw-Hill Co., N.Y, USA, pp. 805-822 

  31. Cho, S. H., Lee, H. C., Seo, I. W., Kim, Z. U., Chang, Y. S. and Shin, Z. I. (1991) Efficacy of grapefruit seed extract in the preservation of Satsuma mandarin.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614-6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