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변보호담당관을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 정착 장애요인과 신변보호담당관의 업무부담 : 개인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Personal Factors of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Obstructing Settlement in South Korean Communities and Job Burden Perceived by Police Officers Who are Providing Special Protection for Them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52, 2003년, pp.223 - 240  

홍순혜 (서울여자대학교 사회사업학) ,  박윤숙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  원미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이 지역사회에 정착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개인적 장애요인들을 확인하고 이들이 신변보호담당과의 업무부담과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의 인식, 태도, 행동에 어떠한 변화를 도모해야 하며 어떤 사회적 기술 습득을 지원해야 하는지 파악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의 변화를 위한 서비스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북한이탈주민들이 갖는 개인적 장애요인들은 그들의 신변보호를 담당하고 있는 신변보호담당관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이 갖고 있는 장애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20개 항목을 구성하여 148명의 신변보호담당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후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자립능력, 생활태도, 사회문화적 적응, 신변보호담당관의 지원에 대한 태도 관련 요인들이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 자립능력 관련 요인이 가장 큰 장애요인이 되고 있었으며, 4개 요인들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장애요인들 중 사회문화적 적응 관련 요인만이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정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향상되었고 다른 요인들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네 가지 장애요인과 신변보호담당관이 지각하는 신변보호 업무량, 업무난이도, 신변보호담당관과 북한이탈주민과의 관계성을 분석하였는데, 생활태도와 자립능력 관련 요인이 신변보호담당관의 업무부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를 근거로 북한이탈주민의 인식, 태도, 행동 변화를 위한 전략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personal factors of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that obstruct their settlement in South Korean communities. It will provide information about what perception, attitude and behaviors of defecting North Korean residents should be changed and what social skills s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들은 그 누구보다도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과 많은 시간을 보내며 그들에 대해 잘 파악하고 있으며 북한이탈주민 스스로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장애요인들조차도 확인하기에 매우 용이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누구보다도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잘 파악하고 있는 신변보호담당관들을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이 지역사회 정착 초기에 갖고 있는 개인적 정착 장애요인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 또한 이런 요인들이 신변보호담당관의 업무부담에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 둘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작업은 북한이탈주민의 어떤 개인적 요인들이 정착초기 이들을 지원하고 있는 신변보호담당관의 업무 수행에 가장 큰 어려움을 주는지 이해할 수 있게 해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어떤 요인들이 북한이탈주민들의 지역사회 정착에 더 큰 어려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예측하게 해 줄 수 있다.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주요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신변보호담당관들을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이 지역사회 정착 시 어떤 장애요인들을 가지고 있는지 북한이탈주민들의 개인적 요인들(자립능력 관련 요인, 생활태도 관련 요인, 사회문화적 적응 관련 요인, 신변보호담당관의 지원에 대한 태도 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위의 개인적 장애요인들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갖는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들이 지역사회 정착시 갖고 있는 개인적 장애요인들을 파악하고, 현재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지원체제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신변보호담당관들이 북한이탈주민들의 개인적 특성으로 인해 느끼는 어려움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 신변보호담당관의 업무부담을 이해하고 북한이탈주민들이 가지고 있는 장애요인들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어떤 장애요인들이 신변보호담당관의 업무에 가장 큰 어려움을 주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보고자 하였다. 신변보호담당관의 업무관련 변수는 3가지를 질문하였는데, 각각 신변보호 업무량의 과중성, 신변보호 업무의 난이도, 그리고 신변보호담당관과 북한이탈주민과의 관계이다.
  • 위의 두 가지 작업을 통해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인식, 태도, 행동에 어떠한 변화를 도모해야하며, 앞으로 어떠한 사회적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는지 등을 모색함으로써 북한이탈주민의 변화를 위한 서비스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장애요인들을 그들에게 직접 질문하지 않고 그들을 가장 가까운 곳에서 관찰할 수 있으며 그들에게 다양한 도움을 현재 제공하고 있는 신변보호담당관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신변보호담당관은 북한이탈주민들의 지역사회 정착초기에 그들과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며 그들을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사람들이므로 이들을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은 정보의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우선 북한이탈주민들이 성공적으로 지역사회에 정착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개인적 장애요인들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이 장애요인들을 북한이탈주민들의 신변보호를 담당하고 있는 신변보호담당관들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 일부 북한이탈주민들은 폐쇄되고 경직된 사고방식과 자본주의와 공산주의간의 가치관 혼란을 보이고 있으며, 보호담당관을 감시자로 인식하고 이들에 대한 불안감과 불신을 갖는다. 자신들의 생각을 보호담당관들에게 숨기거나 거짓으로 표현하며, 보호담당관보다 다른 북한이탈주민들을 더 신뢰하고 그들의 정보에 더 의존하려 한다. 남한의 법, 제도, 경제방식, 언어 등에 적응하기 힘들어 하며 남한주민들에 대해 심리적인 장벽을 느낀다.
  • 이에 본 연구는 우선 북한이탈주민들이 성공적으로 지역사회에 정착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개인적 장애요인들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이 장애요인들을 북한이탈주민들의 신변보호를 담당하고 있는 신변보호담당관들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신변보호담당관은 북한이탈주민들이 하나원에서 퇴소한 후 지역사회에 배치된 직후부터 그들과 모든 일에 함께 움직이며 그들의 신변을 보호해 주는 사람들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이탈주민들의 성공적인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지원은 어떤 측면으로 접근 할 수 있는가? 북한이탈주민들의 성공적인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지원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하나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 정부 및 지역사회의 수용과 지원일 것이며, 다른 하나는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 사회에 적응하는데 필요한 적응과 변화를 돕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측면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모두 다 공감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들의 지역사회 정착을 돕기 위한 지원은 경제적 지원이나 정신적 지지 등에 관심이 치우쳐 왔다.
북한일탈주민의 경제적 어려움이나 사회적 소외 등이 무엇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는가? 현장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을 돕고 있는 실무자들이나 자원봉사자들은 자주 북한일탈주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이나 사회적 소외 등이 피고용인으로서의 자질 부족이나 남한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사회적 기술의 부족 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김중태, 2002; 서재진, 2002; 윤인진, 1999; 전우택, 2000; 전우택 외, 2001). 따라서 남한의 지원이 물질적 혹은 경제적 지원에만 치우쳐서는 안되며 북한이탈주민들이 민주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소양이나 사회적 기술 등을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남한 입국 북한이탈주민이 지역사회 정착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최근 남한 입국 북한이탈주민들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그들의 지역사회 정착문제가 새로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남한 입국 북한이탈주민들의 수가 크게 증가하기 시작한 1995년도 경 이후부터 이들이 지역사회 정착시 겪는 여러 가지 어려움들에 대한 언론 보도나 학문적 연구들이 많이 나오게 되었는데, 이를 통해 경제적 어려움, 정신적 외로움, 사회적 소외감 등이 지적되었다(오혜정, 1995; 윤인진, 1999; 이소래, 1997; 이정우·김형수, 1996; 전우택·윤덕룡, 2001; 홍순혜 외, 2001). 이런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 정부의 경제적 지원, 지역사회 주민들의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이해와 인식 전환, 북한이탈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지역사회의 통합 프로그램들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안혜영, 2001; 엄명용, 1999, 이우영 외, 2000; 홍순혜 외,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