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탈주민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에의 영향요인
The Factor Influencing to the Effectiveness of Prevention Policies of the Criminal Victimiz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원문보기

한국경호경비학회지 = Korean security science review, no.51, 2017년, pp.223 - 249  

임창호 (대전대학교 경찰학과) ,  김윤영 (경찰대학교 치안정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들의 범죄피해 실태를 분석하고, 북한이탈주민 지원제도 및 보호제도들 중에서 어떤 제도가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전국 17개 지방경찰청의 신변보호 경찰관 107명이며, 독립변수는 (1) 하나원 사회적응교육, (2) 보호담당관제도, (3) 법률적 지원제도, (4) 민간 참여제도, (5) 가정생활 안정지원, (6) 지역사회 참여활동이고, 종속변수는 북한이탈주민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이다.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북한이탈주민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보호담당관제도와 민간 참여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범죄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거주지 편입 후에 받게 되는 3가지 종류의 보호담당관제도가 제 역할을 다해야 한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인 지역사회 조기 정착을 위해서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만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 따라서, 시민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북한이탈주민 지원 및 보호 프로그램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적응교육 과정에서 법률교육 시간을 대폭 확대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이 법률지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범죄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북한이탈주민들이 각종 범죄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가정생활이 안정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of crime victimization by North Korean defectors and to examine whether any of the protection and support systems for defector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effectiveness for preventing the criminal victimiz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북한이탈주민 범죄피해 예방의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보호담당관제도와 민간 참여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의 범죄피해 예방을 위한 정책적 제언으로서 하나원 사회적응교육의 내실화와 가정생활의 안정지원을 제시하고, 북한이탈주민의 범죄피해 예방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 것으로서 보호담당관제도의 확대와 민간참여제도의 확대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들의 범죄피해 실태를 분석하고, 북한이탈주민 지원제도 및 보호제도들 중에서 어떤 제도가 범죄피해 예방의 효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북한이탈주민 범죄피해 예방의 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보호담당관제도와 민간 참여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신변보호 경찰관의 인식에 기초하여 북한이탈주민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각종 지원제도 및 보호제도들을 분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 및 관련 이론들에 기초하여 <그림 1>과 같은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들의 범죄피해 실태를 분석하고, 북한이탈주민 지원제도 및 보호제도들 중에서 어떤 제도가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서 북한이탈주민 범죄피해에 대한 각종 문헌 및 통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특히 전국의 신변보호 경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H1: 하나원 사회적응교육은 북한이탈주민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 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보호담당관제도는 북한이탈주민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 인식에 유의한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법률적 지원제도는 북한이탈주민의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 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민간 참여제도는 북한이탈주민의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 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가정생활 안정지원은 북한이탈주민의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 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지역사회 참여활동은 북한이탈주민의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 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북한이탈주민의 가정은 경제적으로 안정되어 있다(가정생활 안정2). 북한이탈주민의 가정은 계속해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다(가정생활 안정3)의 3개 문항을 Likert 5점 척도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그저 그렇다, 4=그런 편이다, 5=매우 그렇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한이탈주민들이 한국에 적응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난 3년간 매년 1,200명 이상의 북한이탈주민들이 한국에 입국하고 있지만, 문화적 이질성과 한국사회 법제도에 대한 무지 등으로 인해서, 북한이탈주민들은 적지 않은 범죄피해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북한이탈주민들은 북한체제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갖게 된 획일적 · 폐쇄적 사고, 자발성 · 적극성 · 창의성의 부족, 배타적 · 독선적 성격, 제품의 질적 향상 무관심, 집단 의존적인 문제해결, 경쟁의식의 부족 등으로 인해 한국사회의 적응에 상당한 어려움을 갖고 있다(송관, 2001: 9-19; 안재운, 2005: 15-22).
북한이탈주민들이 겪고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지난 3년간 매년 1,200명 이상의 북한이탈주민들이 한국에 입국하고 있지만, 문화적 이질성과 한국사회 법제도에 대한 무지 등으로 인해서, 북한이탈주민들은 적지 않은 범죄피해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북한이탈주민들은 북한체제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갖게 된 획일적 · 폐쇄적 사고, 자발성 · 적극성 · 창의성의 부족, 배타적 · 독선적 성격, 제품의 질적 향상 무관심, 집단 의존적인 문제해결, 경쟁의식의 부족 등으로 인해 한국사회의 적응에 상당한 어려움을 갖고 있다(송관, 2001: 9-19; 안재운, 2005: 15-22).
북한이탈주민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엇이 제시 되는가? 따라서, 북한이탈주민 범죄피해 예방정책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범죄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거주지 편입 후에 받게 되는 3가지 종류의 보호담당관제도가 제 역할을 다해야 한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인 지역사회 조기 정착을 위해서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만의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 따라서, 시민단체와의 협력을 통해 북한이탈주민 지원 및 보호 프로그램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적응교육 과정에서 법률교육 시간을 대폭 확대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이 법률지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범죄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북한이탈주민들이 각종 범죄피해를 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가정생활이 안정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재엽.김희진 (2012). 폭력피해 탈북여성 맞춤형 자립지원방안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2. 김윤영 (2007).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보안경찰의 효율적인 지원방안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3. 김윤영 (2013). 보안경찰의 북한이탈주민 신변보호 개선방안: 신변보호 경찰관을 중심으로. 치안정책연구소. 

  4. 김윤영.이상원 (2014). 신변보호 경찰관의 탈북민 신변보호 개선방안. 인문사회과학연구 제44권, 157-182. 

  5. 박동수 (2015). 북한이탈주민의 범죄피해에 대한 고찰. 입법정책 제9권 제1호, 1-33. 

  6. 송관 (2001). 탈북자의 직업적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7. 신현주.김미숙.김주찬 (2013). 북한이탈주민의 범죄피해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통일연구, 제17권 제2호, 103-129. 

  8. 안재운 (2005).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일탈 실태와 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9. 이동임.천정환. (2013). 북한 이탈주민의 사기범죄 피해방지 및 피해회복 방안. 피해자학연구, 제21권 제2호, 169-191. 

  10. 이주호.배정환 (2011). 지방자치단체의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제도 개선 연구: 충청북도 내북한이탈주민 지원실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335-344. 

  11. 이창무.김주찬.한상철.신현주 (2010). 북한이탈주민의 범죄피해실태 분석을 통한 정착지원 거버넌스 구축방안. 서울: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12. 임안나.강길봉 (2013). 북한이탈주민의 사회 부적응 예방을 위한 교정복지의 역할: 신문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제29권, 93-117. 

  13. 임창호 (2016a).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보안경찰의 효과적인 보호 및 지원방안. 경찰학논총, 제11권 제4호, 91-119. 

  14. 임창호 (2016b). 북한이탈주민의 범죄행위 및 범죄피해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대책. 한국경호경비학회 제49권, 215-246. 

  15. 장준오.이정환 (2006). 북한이탈주민의 범죄피해에 대한 실태 연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6. 조동운.김용태 (2011).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제8권 제2호, 25-50. 

  17. 최영신 (2015). "범죄예방을 위한 북한이탈주민의 법교육 수요 분석". 법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141-16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