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의 항균물질 분리
Isolation of the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Omija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5 no.3 = no.169, 2003년, pp.483 - 487  

이상호 (한국식품정보원) ,  이영춘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윤석권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미자 essential oil에 존재하는 항미생물 활성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hexane-ether 용매계를 이용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얻은 6개 획분의 S. aureus에 대한 항미생물성을 조사하였고, 항미생물성이 큰 획분의 GC-MS를 통하여 9개의 성분을 동정하였다. 한편 오미자 정유, citronellol 및 terpineol을 첨가한 배지에서 S. aureus와 E. coli의 생육억제 효과를 관할한 결과 E. coli 보다는 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오미자 정유를 농도별로 첨가한 배지중에서 S. aureus와 E. coli에 대한 경시적 생육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S. aureus의 경우 오미자 정유 첨가군에서 $6{\sim}12$시간까지 생육이 억제되었으나 E. coli의 경우에는 생육억제 효과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citronellol과 terpineol이 오미자 정유성분 중에 존재하는 중요 항균물질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omija extract shown at pH 6.5, which was observed in the previous research, suggested that there could be active substances other than citric acid and malic acid in the Omija extract. Therefore, attempts were made to identify antimicrobial compounds in the essenti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추출물 중에 존재하는 유기산 외에 pH 6.5부근에서 항균성(3)을 나타내는 항균물질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오미자 essential oil 주줄물의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및 GC-MS를 통하여 essential oil 중에 존재하는 유효 항균물질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α-ylangene, β-elemene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주 성분의 항균활성을 확인하고자 이들의 표준품을 구하여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여 보았으나 이들의 항균활성은 나타나지 않거나 미약하였다. 일반적으로 정유성분이 세포막에 손상을 주는 것은 그들의 친유성 성 질 때 문인 것으로 알려 져 있으며(8,9) 이외에도 분자 내의 functional group에 의해서도 손상효과가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Park, U.Y., Chang, D.S. and Cho, H.R.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or medicinal herb extracts. J. Korean Soc. of Food Sci. Nutr. 21: 91-95 (1994) 

  2. Lee, S.H. and Im, Y.S. Effec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Appl. Microb. Biotechnol. 25: 224-228 (1997) 

  3. Chung, K.H., Lee, S.H., Lee, Y.C. and Kim, J.T. Antimicrobi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127-132 (2001) 

  4. Lee, B.W. and Shin, D.W. Screening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 on food spoilage microoganism.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00-204 (1991) 

  5. Inukai, S., Kikuchl, J. and Watanbe, T. Effect of sodium salts of some organic acids on the germination and thermal resistance of genus Bacillus spores. J. Food Hyg. 25: 125-130 (1984) 

  6. Beuchat, L.R. and Goiden, D.A. Antimicrobials occurring naturally in foods. Food Technol. 43: 134-142 (1989) 

  7. Kim, O.C. and Jang, H.J. Volatile componen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gri. Chem. Biotechnol. 37: 30-36 (1994) 

  8. Lattanzio, V., De Cicco, V., Di Venere, D., Lima, G. and Salerno, M. Antifungal activity of phenolics against fungi commonly encountered during storage. Ital. J. Food Sci. 1: 23-30 (1994) 

  9. Knobloch, K., Pauli, A., Iberl, B., Weigand, H. and Weis, N.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properties of essential oil components. J. Ess. Oil Res. I: 119-128 (1989) 

  10. Blank, G., Adejumo, A.A. and Zawistowski, J. Eugenol induced changes in the fatty acid content of two Lactobacillus species. Lebensm.-Wiss. u.-Technol. 24: 231- 235 (1991) 

  11. Jay, M.J. and Rivers G.M.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food flavoring compounds. J. Food Saf'. 6: 129-139 (1984) 

  12. Kurita, N. and Koike, S.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 of sodium chloride and essential oil components. Agri. Biol. Chem. 46: 159-165 (1982) 

  13. Kurita, N. and Koike, S.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 of acetic acid, sodium chloride and essential oil components. Agri. Biol. Chem. 46: 1655-1660 (1982) 

  14. Kurita, N. and Koike, S.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sodium chloride, acetic acid and essential oil components.Agri. Biol. Chem. 47: 67-75 (1983) 

  15. Jay, M.J. Effect of diacetyl on foodborne microorganisms. J. Food Sci. 47: 1829-1831 (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