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금의 종류와 농도가 배추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t Type and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5 no.4 = no.170, 2003년, pp.743 - 747  

한영숙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금의 종류에 따른 유산균 생육저해 효과를 보면, 김치초기 생육균인 W. confusa가 3.0%의 저염소금, 제재염에서 5시간의 유도기 후 급격히 증식했으나 3.0%의 천일염, 죽염첨가시 유도기간이 12시간으로 늘어나 이 소금들에 의해 생육이 약간 저해됨을 알 수 있었다. 중기 생육균인 Lactobacillus delbruekii ss lactis나 Lactobacillus pentosus와 말기 생육균인 L. hamsteri는 3.0%의 사용된 소금 모두에서 12시간의 유도기 후 증식이 확인되었다. 소금 농도를 달리하여 배지에 첨가했을 때 저염소금인 농도를 3.0%, 5.0%로 증가시킨 경우 W. confusa를 제외한 다른 균들의 유도기는 12시간으로 늘어났고 이 효과는 5.0%에서 더 컸다. 천일염, 죽염, 재제염도 같은 경향으로 농도가 커질수록 생육저해 효과가 뚜렷했으며 김치 초기 생육균 W. confusa보다는 후기생육균인 L. hamsteri가 소금에 의한 생육저해효과가 커서 5.0% 천일염, 죽염, 재제염에서는 24시간까지 증식이 억제된 것을 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sts show that the growth of lactic bacteria in kimchi varies according to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salt used. Weissella confusa, the early stage bacteria in kimchi fermentation, increased sharply after 5 hr of induction with 3% light salt and refined salt. However, the induction period leng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발효 숙성 중 총 4종의 유산균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시판되는 천일염, 재제염, 죽염, 저염(Lite Salt, USA) 4종류의 소금이 김치에서 분리된 Weissella confusa, Lactobacillus pentosus, Lactobacillus hamsteri, Lacto­ bacillus delbrueckii ss lactis 4종의 유산균 생육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금의 종류와 농도가 김치 유래 유산 균의 생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김치에서 분리, 동정된 12종의 유산균 중 발효 4일에 분리된 W. confusa, 12일에 분리된 L. delbrrueckii ss lactis, 16일에 분리된 L. pentosus 및 26일에 분리된 L. hamsteri에 대해 소금의 종류와 농도를 달리한 MRS배지에서 각각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an, H.K., Lim, C.R. and Park, H.K. Determination of microbial community as an indicator of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22: 26-32. (1990) 

  2. Shin, D.H., Kim, M.S., Han, J.S., Lim, D.W. and Park, W.S.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flora in commercial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28: 137-145 (1996) 

  3. Kim, H.S. and Jeong, Y.S. Identification of the aerobic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laver. Korean Soc. Agri. Chem. Biotechnol. 3: 19-24 (1962) 

  4. Cho, J.S. Changes of microflora and chemical composition during the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Diet. Culture 6: 479-501 (1991) 

  5. Jeong, D.H. Food Microbiology, pp. 373-406, Sun-Jin Press, Seoul, Korea (1999) 

  6. Ahn, S.J. The effect of salt and food preservative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Soc. Food Sci. 4: 39-50 (1988) 

  7. Oh, J.Y., Hahn, Y.S. and Kim, Y.J.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low salt mul-kimchi. 31: 502-508 (1999) 

  8. Gil, W.S. Application and present conditions of salt processing in Korea. J. East Asian Dietary Life. 9: 247-256 (1999) 

  9. Kim, Y.S. The application method of bamboo salt and health in the pollution period. J. East Asian Dietary Life. 9: 257-260 (1999) 

  10.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80) 

  11. Hahn, Y. S. Identification of polysaccharide forming bacteria from kimchi and its culture condi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J. Living Culture Res. 12: 119-127 (1998) 

  12. Koboli, H. and Reilly, P.J. Immobilization and properties of Leuconostoc mesenteroides dextransucrase. Biotechnol. Bioeng. 22: 1055-1069 (1980) 

  13. Ha, J.O.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and low sodium kimchi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alts.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997) 

  14. Mheen, T.I. and Kwon, T.W.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1984) 

  15. Ha, D.M. Food Microbiology, pp. 234-235. Sin-Kwang Press, Seoul, Korea (2000) 

  16. Park, S.J., Park, K.Y. and Jun, H.K. Effects of commercial salts on the growth of kimchi-related microorganis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06-813. (2001) 

  17. Hahn, Y.S., Kwon, M.K., Hyun, Y.H., Song, J.E. and Oh, Y.J. Effects of salt kinds and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yeasts isolated from kimchi. J. East Asian Dietary Life. 11: 393-399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