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늘 저장병 방제를 위한 경종적, 화학적 접근
Cultural and chemical approaches for controlling postharvest diseases of garlics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7 no.2, 2003년, pp.139 - 148  

김용기 (농업과학기술원 작물보호부 식물병리과) ,  이상범 (농업과학기술원 작물보호부 식물병리과) ,  이상엽 (농업과학기술원 작물보호부 식물병리과) ,  심홍식 (농업과학기술원 작물보호부 식물병리과) ,  최인후 (호남농업시험장 목포지장)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늘저장 중 피해실태를 조사하고 경종적 환경적 여러 요인이 마늘 저장 중 부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마늘저장 중 부패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마늘저장 중 피해가 큰 병은 푸른곰팡이병, 마른썩음병 그리고 자주점무늬병(잎마름병) 이었다. 마늘 저장 중 부패는 경종적 요인으로 재배유형 (논, 밭), 연작년수, 수확시기와, 환경요인으로 저장고의 통풍정도, 저장온도 및 습도가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은 조기수확할 경우 부패가 심하였고 논재배 마늘보다는 밭재배마늘이 부패가 잘되었다. 그러나 연작년수와 부패율은 무관하였다. 마늘부패에 대한 환경요인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푸른곰팡이병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마른썩음병과 잎마름병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푸른곰팡이병균, 마른썩음병균 및 자주점무늬병균은 $10^{\circ}C$에서 잘 자랐으며, 특히 장기간 (2개월) 배양 할 경우 푸른곰팡이병균 자주점무늬병균은 $-1^{\circ}C$에서 자랐다. 농작업 중 생긴 상처는 마늘부패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균을 접종하지 않고 상처를 낼 경우 마늘표면에 상처를 내지 않고 병원균을 접종할 경우보다 부패정도가 더 심하였다. 마늘 저장 부패를 경감하기 위하여, 감자한천배지상에서 세가지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성이 높은 7종의 농약을 선발하였다. 이들 농약을 수확전 30일에 살포하고 저장할 경우 tebuconazole과 benomyl/thiram이 부패를 현저히 경감시켰으며, 마늘을 수확한 후 농약현탁액에 침지하여 처리하였을 때 prochloraz, benomyl/thiram, tebuconazole 등이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종구 소독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benomyl/thiram을 농가에서 종구용 마늘을 대상으로 분무처리한 경우 방제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amages of garlics occurred under cold storage and farmhouse storage condition, influence of cult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storage spoilage of garlics, and to establish control strategies to reduce damages occurred under storage of garlics. Decay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늘 구에 병원균이 오염되지 않게 하거나 밀도를 줄일 수 있는 방안과 저장 중 부패에 관여하는 환경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또한 종구용 마늘의 저장 중 부패를 줄이기 위해서 생육기와 수확직후에 마늘에 사용이 가능한 약제를 처리하여 효과를 검토함으로써 그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마늘저장 중 부패발생실태를 조사하고, 저장 중 병원균의 동태를 파악하여 재배적 측면에서 발병에 관여하는 요인을 검토하였다. 마늘 구에 병원균이 오염되지 않게 하거나 밀도를 줄일 수 있는 방안과 저장 중 부패에 관여하는 환경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또한 종구용 마늘의 저장 중 부패를 줄이기 위해서 생육기와 수확직후에 마늘에 사용이 가능한 약제를 처리하여 효과를 검토함으로써 그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Pusey 등 1994). 본 연구에서는 마늘저장 중 부패발생실태를 조사하고, 저장 중 병원균의 동태를 파악하여 재배적 측면에서 발병에 관여하는 요인을 검토하였다. 마늘 구에 병원균이 오염되지 않게 하거나 밀도를 줄일 수 있는 방안과 저장 중 부패에 관여하는 환경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a)LT and OT means low temperature storage condition (3℃) and ordinary temperature storage condition (farmhouse).
  • b)+, ++, and +++ means a little, moderate, and strong pathogenic to garlic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nonymous (1978) Cereal grains and grain legumes. pp. 7 -109, in Postharvest Food Losses in Developing Countries, National Academy Science, Washington, D.C. U.S.A 

  2. Bertolini, P. and S. P. Tian (1996) Low-temperature biology and pathogenicity of Penicillium hirsutum on garlic in storage.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7:83-89 

  3. Bonte-Friedheim, C. H.(1989) Prevention of postharvestfood losses : fruits, vegetables and root crops. p.157,UN-FAa, Italy 

  4. Burks, C. B., J. A. Johnson, D. E. Maier and J. W. Heaps (2000)Temperature. pp.73-104, In Alternatives to Pesticides in Stored Product-IPM. (ed. Subramanyam, B. and D. W. Hagstrom), Kluwer Academic Publishers, U.S.A 

  5. Eckert, J. W. and J. O. Ogawa (1985) The chemical control of postharvest diseases : subtropical and tropical fruits. Ann. Rev. Phytopathol. 23:421-454 

  6. Ferguson, I. B., S. Ben-Yehoshua, E. J. Mitcham, R. E. McDonald and S. Lurie (2000) Postharvest heat treatment : introduction and workshop summary.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21:1-6 

  7. Harvey, J. M. (1978) Reduction of losses in fresh market fruits and vegetables. Ann. Rev. Phytopathol. 16:321 ~341 

  8. Hong, C. X., T. J. Michailides and Holtz, B. A. (1998) Effects of wounding, inoculum density, and biological control agents on postharvest brown rot of stone fruits. Plant Dis. 82:1210-1216 

  9. Hung, Y. C. (1993) Latent damage A system perspective. pp.211 ~224, in Postharvest Handling-A Systems Approach, (ed. Shewfelt, R. L. and S. E. Prussia), Academic Press, Inc., U.S.A 

  10. Karabulut, O. A., L. Cohen, B. Wiess, A. Daus, S. Lurie and S. Droby (2002) Control of brown rot and blue mold of peach and nectarine by short hot water brushing and yeast antagonists.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24:103-111 

  11. Nelson, K. E. (1951) Effect of humidity on infection of table grapes by Botrytis cinerea. Phytopathology 41:859-864 

  12. Pierson, C. F. (1965)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growth of Rhizopus stolonifer peaches and on agar. Phytopathology 56:276- 278 

  13. Pusey, P. L. (1994) Inhancement of biocontrol agents for postharvest diseases and their integration with other control strategies. pp.77-88, in Biological Control of Postharvest Diseases-Theory and Practice. (ed. Wilson, C. L. and M. E. Wisniewski), CRC Press Inc., U.S.A 

  14. Ranganna, B., G. S. V. Raghavan and A. C. Kushalappa (1998) Hot water dipping to enhance storability of potatoes.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13:21 5-223 

  15. Spotts, R. A. and L. A. Cervantes (1991) Effect of temperature and wetness on influence of pear by Venturia pirin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harvest inoculation and storage scab. Plant Dis. 75:1204~ 1207 

  16. Spotts, R. A., L. A. Cervantes and T. J. Facteau (2002) Integrated control of brown rot of sweet cherry fruit with a preharvest fungicide, postharvest yeast, modified atmosphere packing, and cold storage temperature.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24:251-257 

  17. Sutton, T. B. and L. F. Arauz (1991)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moisture on germination of ascospores and conidia of Botryosphaeria dothidea. Plant Dis. 75:1146~ 1149 

  18. Waller, J. M (2002) Postharvest Diseases. pp.39-54, in Plant Pathologist's Pocketbook(ed. Waller, J. M., J. M. Lenne and S. J. Waller). CAB International 2002 (Internet searching data) 

  19. 山崎 重治(1971a) タマホギの貯藏性向上と 栽倍上の諸條件(1). 農業およぴ園藝 46(5):775 -778 

  20. 山崎重治(1971b) タマホギの貯藏性向上と 栽倍上の諸條件(2). 農業およぴ園藝 46(6):901 -904. 

  21. 김용기 (1997) 미생물 이용 과일저장 병 해 방제 연구시험연구사업보고서 (작물 보호부편) pp.569-606 

  22. 김용기 (2000) 마늘, 양파 저장병 발생생태 및 피해경감 연구. 작물보호연구 pp.56-89 

  23. 정희돈 (1982) 수확후 살균제 처리가 저온저장 양파의 패방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원예학회지 23(2):17-22 

  24. 조원대, 김완규, 김한명 (1995) 마늘저장병해에 관여하는 진균. 농시논문집 37(2):325 - 32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