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홍삼의 전처리에 의한 사염화탄소 및 갈락토사민 유발 간독성에 대한 보호효과
Effects of Pretreated Korean Red Ginseng on Carbon Tetrachloride and Galactosamine-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원문보기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高麗人參學會誌, v.27 no.1 = no.69, 2003년, pp.1 - 10  

이정규 (경성대학교 약학대학) ,  김나영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용남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 ,  최종원 (경성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present study, we examined whether or not the pretreatment of Korean Red Ginseng (KRG) could protect hepatotoxicity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CCl$_4$) and D-galatosamine (GalN). For this study, we not only tested activity of various plasma enzymes (AST, ALT, SDH, LDH), which a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4-17) 본 연구에서는 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개발의 일환으로 홍삼엑스의 간 독성예방 및 치료효과를 검색할 목적으로 홍삼엑스를 용량별로 경구로 투여한 다음 사염화탄소 및 D-galactosamine으로 유발되는 간독성에 대한 혈중 생화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또한 free radical의 생성계 및 해독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함으로써 홍삼의 간장에 대한 예방 효과의 기전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 함량이 홍삼의 전처리로 억제되었다. 이러한 지질 과산화의 함량 변화의 기전을 추구할 목적으로 활성산소의 생성계 및 해독계를 중심으로 관찰하였다. 간 microsomal 효소계인 cytochrcme P450, cytochrome b5, aminopyrine N-deme- thylase와 aniline hydroxylase 활성에 대한 홍삼의 영향을 검토하였을 때 사염화탄소와 D-galactosamine의 투여로 현저히 증가된 효소의 활성 이 홍삼의 용량별 투여로서 억제되었다.
  • 홍삼으로부터 사염화탄소 및 D-galactosamine에 의하여 유도되는 간독성의 예방 효과를 검색할 목적으로 홍삼을 전처리하고 사염화탄소와 D-galactosamine을 투여하고 혈 증 생화학적 변동, 간 조직 중 지질과산화의 함량, 활성산소의 생성계 효소 및 해독계 효소를 검색하여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억었다. 사염화탄소와 D-galactosamine의 투여로서 현저히 증가되던 ALT AST SDH, y-GT, ALP 및 LDH의 활성이 홍삼 (50, 100mg/kg)을 2주간 전처리로 현저히 억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Yun (Choi), H. S. and Chang I-M.: Kor. J. Pharmacogn., 8, 125 (1977) 

  2. Chang, I-M. and Yun (Choi), H. S.: ibid, 9, 139 (1978) 

  3. Chng, I-M., Park, Y. C. and Yun (Choi), H. S.: Korean Biochem. J., 15, 200 (1982) 

  4. Yang, K. H., Kwon, T.J., Choe, S. Y., Yun, H. S. and Chang, I-M.: Drug Chem. Toxicol., 6, 429 (1983) 

  5. Chang, I-M., Ryu, J. C., Park, Y. C., Yun (Choi), H. S. and Yang, K. H.: Drug Chem. Toxicol., 6, 443 (1983). 

  6. Chang, I-M., Chang, K. S. and Yun, H. S.: Kor. J. Pharmacogn., 14, 95 (1983) 

  7. Chang, I-M., Yun, H. S., Kim, Y. S. and Ahn, J. W.: Ann. Report Natural Prod. Res. Inst., Seoul Nat. Univ., 23, 59 (1984) 

  8. 장일무,윤혜숙,양규환: 생약연구소업적집 (서울대학교), 23, 90 (1984) 

  9. Desplaces, A., Choppi, J., Voge, G. and Trost, W: Arzneim. Forschung., 25, 86 (1975) 

  10. Choppin, J. and Desplaces, A.: Arzneim. Farschung., 29, 63 (1979) 

  11. Ramellini, G. and Meldolesi, J.: Arzneim. Farschung., 26, 69 (1976). 

  12. Bindoli, A., Cavallini, L. and Siliprandi, N.: Biochem. Pharmacol., 26, 2405 (1977) 

  13. Kim, B. S., Kim, H. K, Choi, J. W. and Lee, C. K.: Kor. J. Pharmacogn., 27 (1), 47 (1996) 

  14. Hahn, D. R.: Proc. 2nd Int,l Ginseng Symp., 135(1978) 

  15. Song, J. H., Park, M. J., Kim, E. and Kim, Y. C.,; YakhakHoeji, 34 (5), 341 (1990) 

  16. Joo, C. N.: Proc. 4th Int,l Ginseng Symp., Korean Ginseng and Tabacco Research Institute, 63 (1984) 

  17. Matsuda, H., Samukawa, K. and Kuho, M.: Planta Medica, 57, 52 (1991) 

  18. Reitman, S. and Frankel, S. K.: Amer. J. Clin. Pathol., 28, 56 (1957) 

  19. Weisner, I. S., Rawnsley, H. M., Brooks, F. P. and Senior, J. R.: Am. J. Dig. Dis. 10, 147 (1965) 

  20. Szasa, F.: Clin. Chem., 15, 124(1969) 

  21. Kind, P. R. N. and King, E. J.: J. Clin. Pathol., 7, 322 (1954) 

  22. Berga, L. and Btoida, D.: Sigma Tech. Bull., 500-8-60 (1960) 

  23. Ohkawa, H., Ohishi, N. and Yaki, K: Anal. Biochem., 95, 351(1979) 

  24. Richardson, R. J. and Murphy, S. D.: Toxicol. Appl. Pharmacol., 31, 505 (1975) 

  25. Summer, K. H. and Greim, H.: Biochem. Biophys. Res. Commun., 96, 566 (1980) 

  26. Omura, T. and Sato, R.: J. Biol. Chem., 239, 2370 (1964) 

  27. Nash, T.:J. Biol. Chem., 55, 416 (1953) 

  28. Bidlack, W. R. and Lowry, G. L.: Biochem. Pharmacol., 31, 311 (1982) 

  29. Habig, W. H., Pabist, M. J. and Jakoby, W. B.:J. Biol. Chem., 249, 7130 (1974) 

  30. Meister; A. and Richman, P. G.: J. Biol. Chem., 250, 1422 (1975) 

  31. Mize, C. E. and Langdon, R. G.: Hepatic glutathione reductase.: J. Biol. Chem., 237, 1589 (1962) 

  32. Lowry, O. H., Rodebrough, N. J. Farr, A. L. and Randall, R. J.: J. Biol. Chem., 193, 265 (1951) 

  33. Noll, T. and de Groot, H.: Biochem. Biophys, Acta., 795, 356 (1984) 

  34. Decker, K. and Kepper, D.: Galactosamine-induced liver injury in Progress in Liver Disease, Popper, H. and Schaffer, E(eds.), Grune & Stratton, New York, vol. 14, p. 183 (1973) 

  35. Wang, J. and Wendel, A.: Biochem. Pharmacol., 39, 267 (1968) 

  36. Keppler, D., Lesch, R, Reutter, W. and Decker, K.: Exp. Mol. Pathol., 9, 279 (1968) 

  37. El-Mofty, S. K, Scrutton, M. C., Serroni, A., Nicolini, C. and Farber; J. L.: Am. J. Pathol., 79, 579 (1975) 

  38. Farber, J, L., Gill, G. and Konishi, Y.: Am. J. Pathol., 72, 53 (1973) 

  39. Lesch, R., Reutter, W., Keppler, D. and Decker, K.: Exp. Mol. Pathol., 12, 58 (1969) 

  40. Miller, E. C. and Miller, J. A.: Hepatocarcinogenesis by chemicals in Progress in liver disease, Popper, H. and Schaffner; E(eds.), Grune & Stratton, New York, Vol. 5, p. 699 (1972) 

  41. Zieve, L., Anderson, W Rand Dozeman, R.: J. Lab. Clin. Med., 112, 575 (1988) 

  42. Vengerovskii, A. I., Sedykh, I. M., Novozheeva, T. P. and Saratikov, A. S.: Patol. Fiziol. Eksp. Ter., 2, 37 (1990) 

  43. Ahokas, J. T., Davies, C., Ravenscroft, P. J. and Emmerson, B. T.: Biochem. Pharmacol., 33, 1929 (1984) 

  44. Ahokas, J. T., Nichollas, F. A., Ravenscroft, P. J. and Emmerson, B. T.: Biochem. Pharmacol., 34, 2157 (1985) 

  45. Dodds, M. G. and Foord, R. D.: Br. J. Pharmacol., 40, 227 (1970) 

  46. Ahokas, J. T., Davies, C, Ravenscroft, P. J. and Emmerson, B. T.: Biochem. Pharmacol., 33, 1929 (1984) 

  47. Klassen, C. D. and Fitzgerraid, T. J.: J. Pharmacol. Exp. Ther., 191, 548 (1974) 

  48. Ahokas. J. T., Nichollas, F. A., Ravenscroft, P. J. and Emmerson, B. T.: Biochem. Pharmacol., 34, 2157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