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적갓김치 Anthocyanins의 항산화 특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Activities of Anthocyanins in Red Mustard Leaf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6, 2003년, pp.937 - 941  

최홍식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및 김치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래종 적갓(Brassica juncea czerniak et coss)을 주재료로 담금하여 발효시킨 적갓김치(red mustard leaf kimchi, RML kimchi)의 crude anthocyanin(CA) 및 refined anthocyanin(RA) 획분들에 대한 항산화성을 규명하였다. 발효된 적갓김치는 산도 0.72(%), pH 4.6 그리고 crude anthocyanin 함량(건조물기준)은 49.4 mg/g이었다. 동결건조 적갓김치로부터 얻어진 조색소용액 (crude pigment solution)을 계통 추출분획하여 증류수 획분, methanol 획분, TFA-methanol (CA) 획분을 얻었으며, CA 획분을 계속 분획하여 정제된 5개의 정제된 RA 획분(Fr.1, Fr.2, Fr.3, Fr,4, Fr.5)을 얻었다. 이들의 항산화 활성을 linoleic acid의 autoxidation system에서 peroxide formation 억제능과 DPPH($\alpha$, $\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의 free radical 소거능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조색소용액 분획물 중 CA 획분이 항산화능이 높았고, CA 획분으로부터 얻어진 RA 획분 중 Fr.3이 가장 높은 항산화성을 보였다. 특히 Fr.3은 적갓김치의 대표적인 anthocyanin이었고 항산화 활성은 $\alpha$-tocopherel보다는 낮았으나 그것에 접근하는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그 활성은 지질의 과산화 억제능과 수소공여성에서 다같이 비슷한 수준의 항산화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d mustard leaf (RML) kimchi was prepared with native Brassica juncea czerniak et coss as a major raw material and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crude anthocyanin (CA)/refined anthocyanin (RA) isolated from RML kimchi were studied. Among crude pigment fractions, CA fraction showed a higher inhi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전보(15)에 이어 재래종 적 갓으로 담근 적 갓김치 anthocyanine] 항산화성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발효된 적 갓김치의 anthocyanin 획 분을 추출 분리하여 항산화 활성을 살펴본 것이며 二■ 결과의 일부를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Dose of separated fractions and antioxidants was 100 u/mL.
  • kinchi on the lino acid autoxidation system at pH 7.01~5)

    1)Inhibitory ratio was calculated from absorbance at 500 nm.

  • 1) RML kimchi was red mustard leaf kimchi fermented for 6 days at 15℃.
  • 3)Cyanidin equivalents as dry basi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eigh HS, Park KY. 1994.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Crit Rev Food Sci Nutr 32: 109-115. 

  2. Cheigh HS. 1995.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5: 89-101. 

  3. Cho YS, Park SG, Jun SS, Moon JS, Ha BS. 1993. Proximate sugar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dolsan leaf mustard. J Korean Soc Food Nutr 22: 48-52. 

  4. Kim JO, Kim MN, Park KY, Moon SH, Ha YL, Rhee SH. 1993. Antimutagenic effect of 4-decanol identified from mustard leaf. J Korean Agric Chem Soc 36: 424-427. 

  5. Kang SK, Kim MN, Park SK. 1995. Effects of antimicrobial of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extract on compositions and leakage of cellular materials in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280-285. 

  6. Park KH. 1979. Studies on anthocyanin pigment of mustard leaf (I). J Korean Agric Chem Soc 22: 33-38. 

  7. Park KH. 1979. Studies on anthocyanin pigment of mustard leaf (II). J Korean Agric Chem Soc 22: 39-41. 

  8. Taumura H, Yamagami A. 1994. Antioxidative activity of monoacylated anthocyanin isolated muscat bailey A Grape. J Agric Food Chem 42: 1612-1617. 

  9. Saint-Cricq G, Glories Y, Vivas N. 1999.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anthocyanin in red wines.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2: 327-333. 

  10. Pool-Aobel BL, Bub A, Schroder N, Rechkemmer G. 1999. anthocyanin are potent antioxidants in model systems but do not reduce endogenous oxidative DNA damage in human colon cells. Eur J Nutr 38: 227-234. 

  11. Noda Y, Kneyuki T, Igarashi, Mori A, Packer L. 2000. Antioxidant activity of nasunin and anthocyanin in eggplant peels. Toxicology 148: 119-123. 

  12. Tsuda T, Watanabe M, Ohshima K, Norinobu S, Choi SW, Kawakishi S, Osawa T. 2000. Antioxidant activity of the anthocyanin pigments cyanidin 3-O- $\beta$ -D-glucoside and cyanidin. J Agric Food Chem 42: 2407-2410. 

  13. Choi SW, Chang EJ, Ha TY, Choi KH. 1997. Antioxidant activity of acylated anthocyanin isolated from fruit and vegetables. J Food Sci Nutr 2: 191-196. 

  14. Tsuda T, Horio F, Osawa T. 1998. Dietary cyanidin 3-O- $\beta$ -D-glucoside increases ex vivo oxidation resistance of serum in rats. Lipid 33: 583-588. 

  15. Hwang JH, Song YO, Cheigh HS. 2000. Fermentation characteristic and antioxidative effect of red mustard leaf kimchi. J Korea Soc Food Sci Nutr 29: 1009-1015. 

  16. Cheng GW, Breen PJ. 1991. Activity of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and concentrations of anthocyanin and phenolics in developing strawberry fruit. J Am Soc Hortic Sci 116: 865-869. 

  17. Harborne JB. 1958. Spectral methods of characterizing anthocyanin. Biochem J 25: 22-28. 

  18. Tsuda T, Watanabe M, Ohshima K, Seiji NS, Choi SW, Kawakishi S, Toshihiko OT. 1994.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anthocyanin pigments cyanidin 3-O- $\beta$ -D- glucosides and cyanidin. J Agric Food Chem 42: 2407-2412. 

  19. Choi SW, Kang WW, Osawa T. 199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in black rice. Food and Biotechnology 3: 131-136. 

  20. Kim JI, Choi JS, Kim WS, Cheigh HS. 2000. Studies on identification and composition of nucleotides from mustard leaf and mustard lea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769-801. 

  21. Halliwell B, Gutteridege JMC. 1986. Oxyzen free radicals and iron in relation to biology and medicine: some problems and concepts. Archives of Biochemistry and Biophysics 246: 501-514. 

  22. Gracia S, Heinoneon M, Frankel EN. 1997. Anthocyanin as antioxidants on human low-density lipoprotein and lecithin-liposome systems. J Agric Food Chem 45: 3362-3367. 

  23. Heinonen IM, Meyer AS, Frankel EN. 1998. Antioxidative activity of berry phenolics on human low-density lipoprotein and liposome oxidation. J Agric Food Chem 46: 4107-4112. 

  24. Cho YS, Park SG. 1988. Changes in major taste components and microflora in mustard leaf kimchi during fermentation. In Bulletin of Korean Food Culture Center 2: 183-208. 

  25. Park SS, Jang MS, Lee HH. 1995.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stard leaf (Brassica juncea) kimchi during various storage days. J Korean Soc Food Nutr 24: 752-757. 

  26. Tsuda T, Ohshima K, Kawakishi S, Osawa T. 1994. Antioxidative Pigments isolated from the seeds of Phaseolus vulgaris L. J Agric Food Chem 45: 248-2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