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천마 분말, 에탄올 및 열수추출물이 본태성고혈압쥐(SHR)의 혈청지질과 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wder, 50%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Gastrodiae Rhizoma on Serum Lipids and Blood Pressure in SHR Fed High-Fat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7, 2003년, pp.1095 - 1101  

한찬규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이옥환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김경임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박정민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김영찬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이부용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천마가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태성고혈압쥐(SHR/NCrj)를 공시하여 고지방식이(lard, 10%)를 급여하면서 천마 분말과 50% 에탄올과 열수추출물이 수축기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고지방식이 4주와 고지방식 이와 천마식이 4주 등 총 8주간 시험 후 종료체중은 대조군(A)이 통계적으로 가장 높았고(p<0.05), 천마분말 1%군(C)이 가장 낮았다. 평균 성장률은 식이군간 차이가 없었고 대조군이 천마식이군에 비해 다소 높았다. 식이섭취량은 천마분말 10%군(D)과 열수추출물 2 brix군(G)이 가장 많았고 천마분말 5%군(C)과 열수추출물 10 brix군(H)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장기중 간장과 신장무게는 열수추출물군(H)이 유의하게 낮았고(p<0.05), 비장무게는 차이가 없었다. 정소무게는 천마분말군(C,D)이 유의하게 높았고, 열수추출물군(G, H)이 가장 낮았다(p<0.05). 혈청지질중 TC 함량은 대조군(A, B)이 가장 높았고, 천마식이군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TG 함량은 식이군간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HDL 함량은 대조군(A)과 천마분말 5%군(D)을 제외한 천마식이군이 유의하게 높은 반면(p<0.05), LDL 함량은 대조군(A, B)이 가장 높았고, 열수추출물군(E, G)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천마식이를 급여하기 전(생후 약 8주령)모든 SHR의 기준혈압은 176.7∼195.1 mmHg으로, 평균혈압은 185.7 $\pm$ 5.8 mmHg이었다. 천마식이를 급여한 후 14일이 경과시 50% 에탄올추출물군(F)과 열수추출물군(G, H)에서 혈압이 각각9.5, 19.0, 10.9 mmHg 감소하였고, 28일에는 특히 50% 에 탄올추출물군(E, F)에서 각각 13.1, 10.5 mmHg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천마식이 급여 전 기준혈압 대비 감소율은 50%에탄올(E, F)과 열수추출물군(G)에서 각각 16.8, 20.2, 11.7 mmHg으로써 유의한 혈압변화로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SHR 실험쥐의 혈압강하에 천마의 50% 에탄올추출물(F)이 천마의 분말식이 및 열수추출물에 비해 수축기혈압을 유의하게 감소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strodiae Rhizoma (G. Rhizoma) on blood pressure-lowering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fed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10% (w/w) of lar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of 8 weeks. Forty of male SHR weighing approximately 100 g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천마가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태성고혈압쥐 (SHR/NCrj)를 공시하여 고지방식이 (lard, 10%)를 급여하면서 천마 분말과 50% 에탄올과 열수추출물이 수축기혈압(systolic blood pressure)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고지방식이 4주와 고지방식이와 천마식이 4주 등 총 8주간 시 험 후 종료체중은 대조군(A)이 통계 적 으로 가장 높았고p<0.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마에 대한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효능과 그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본태성고혈압쥐(SHR)를 대상으로 천마 분말, 에탄올 및 열수추출물이 혈청지질과 수축기혈압(systolic blood pressure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Society of Oriental Medicine. 1993. The Modern Oriental Medicine. Hakchang-Sa, Seoul, Korea. p 446-447. 

  2. Ku BH. 1991. Experimental studies on the pharmaceutical effects of Gastrodiae elata.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3. Huang JH. 1989. Comparison studies on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injection Gastrodia elata, gastrodin-free fraction and gastrodin. Chung-Kuo-Hsueh-Ko-Hsueh-Yuan-Hsueh-Pao 11: 147-152. 

  4. Huang ZL. 1985. Recent developments in pharmacological study and clinical application of Gastrodia elata in China. Chung-Hsi-I-Chieh-Ho-Tsa-Chih 5: 251-258. 

  5. Wu HQ, Xie L, Jin XN, Ge Q, Jin H, Liu GQ. 1989. The effect of vanillin on the fully amygdala-kindled seizures in the rat. Yao-Hsueh-Hsueh-Pao 24: 482-489. 

  6. Paik YS, Song JK, Yoon CH, Chung KS, Yun-Choi HS. 1995. Anti-platelet and anti-thrombotic effects of Gastrodia elata. Korean J Pharmacogn 26: 385-389. 

  7. Kim EJ, Ji GE, Kang YH. 1994. Effects of Gastrodiae Rhizoma extracts on global coronary circulation in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13-220. 

  8. Chung HS, Ji GE. 1994. Composition and functionality of Chonma.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13-220. 

  9. Kannel WB, Dawber TR, Sorlic P. 1976. Components of blood pressure and risk of athrothrombotic brain infarction. Stroke 7: 327. 

  10. Yukio Y, Yasuo N, Motoki T, Masayuki M, Masahiro K, Keigo F, Ryoichi H, Kohtaro K. 1984. Common cellular deposition to hypertension and atherosclerosis. J Hypertension 2: 213-215. 

  11. Okamoto K, Aoki K. 1963. Development of a strain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apanese Circ J 27: 282-293. 

  12. Okamoto K, Tabei R, Fukushima M, Mosaka S, Yamori Y, Ichijima K, Haebara H, Matsumoto M, Maruyama T, Suzuki Y, Tamegai M. 1966. Further observations of the development of a strain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apanese Circ J 30: 703-716. 

  13. Kirkendall WM, Nottebohm GA. 1977. Essential hypertension. In hypertension physiopathology and treatment. McGraw-Hill, New York. p 674-692. 

  14. Cho BH, Lee SB, Lee DH, Park CH. 1972. A study on effect of ginseng and mechanism of action on experimental hypertension. Korean J Pharmacol 8: 49-57. 

  15. Chung MH, Park CW. 1975.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antihypertensive agents from korean crude drugs (III). Influence of Eucommial Cortex of Korea on the blood pressure responses of rabbits. Korean J Pharmacogn 6: 39-42. 

  16. Kwak IS, Lee SB, Cho BH, Cho KC. 1976. Hypotensive action of Coptis Rhizoma in rabbit. Korean J Pharmacol 12: 143-165. 

  17. Pak YB, Hong YG, Yang MS. 1999. Effect of cumambrin A treatment on blood pressure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Korean J Pharmacogn 30: 226- 230. 

  18. Nam SK, Lee DS, Kim NJ, Lee KS, Hong ND. 1986. Studies on the efficacy of combined preparation of crude drugs (XXXI). The effect of taeksa-tang on diuresis, serum lipid, isolated ileum, heart, blood vessel, blood pressure and respiration. Korean J Pharmacogn 17: 263-271 

  19. Rhyu MR, Kim EY. 2002. The relations between antihypertensive effect and $\gamma$ -aminobutyric acid, mycelial weight and pigment of Monasc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37-740. 

  20. Choe M, Tae WC, Kim JD. 1991. Effect of dietary fibers on changes of blood pressure and Na balance in spontaneous hypertensive rats. Korean J Nutrition 24: 40-47. 

  21. Han CK, Lee BH, Song KS, Lee NH, Yoon CS. 1996. Effects of antihypertensive diets mainly consisting of buckwheat, potato, and perilla seed on blood pressures and plasma lipids in normotensive and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Korean J Nutrition 29: 1087-1095. 

  22. Cho SH, Shin EN, Sah MY, Lee WJ. 1991. Modulation of lipid metabolism in serum an liver by dietary fat in normotensive and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Korean J Lipidol 1: 45-56. 

  23. Cheong HS, Kim SH, Kim HS, Choi WJ, Kim HS, Chung SY. 1991. Effects of fish oil and some seed oils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liver and brain tissue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0: 312-319. 

  24. Choi HJ, Whang YH, Pek UH, Shin HS. 1990. Effect of dietary grapeseed oil on serum lipid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Korean J Nutrition 23: 467-476. 

  25. Reeves PG, Nielsen FH, Fahey GC. 1993. AIN-93 purified diets for laboratory rodents. J Nutr 123: 1939-1951. 

  26. SAS Institute. 1988. SAS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27. Lusis AJ. 1988. Genetic factors affecting blood lipoprotein. J Lipid Res 29: 397-429. 

  28. Green MS, Heiss G, Rifkind BM, Cooper GR, Williams OD, Tayroler HA. 1985. The ratio plasma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o tota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ge related changes and race and sex differences in selected North American populations. Circulation 72: 93-104. 

  29. Lee KH, Yoon SY, Kim HK. 2000. Effect of crab shell powder on lipid metabolism in diet-induced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453-459. 

  30. Bae KH, Kim HJ. 1997. Effect of dietary chitin, chitosan and NOCC on cadmium toxicity and lipid metabolism in rats. Korean J Nutrition 30: 622-633. 

  31. Park JR, Moon IS, Choi SH, Shon MY. 1999. Effect of dietary chitin and chitosan on lipid metabolism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477-483. 

  32. Vahouny FL, Ink SL, Marlett JA. 1990. Dose response to a dietary oat bran fraction in cholesterol-fed rats. J Nutr 120: 561-568. 

  33.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1996. Food Composition Table. 5th edition. Sangrook Publishing Co, Suwon. p 582-595. 

  34. Choe M, Kim JD, Ju JS. 1992. Effect of polydextrose and hydrolysed guar gum on lipid metabolism of normal rats with different level of dietary fat. Korean J Nutrition 23: 211-220. 

  35. Kang HJ, Song YS. 1997. Dietary fiber and cholesterol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58-369. 

  36. Brown L, Rosner B, Willet WW, Sacks FM. 1999.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dietary fiber; a analysis. Am J Clin Nutr 69: 30-42. 

  37. Baek IS. 1991.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Gastrodia. MS thesis. Kyung-Hee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