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지역 성인의 식습관 및 식생활 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ating Habits and Dietary Consciousness of Adults in Urban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7, 2003년, pp.1132 - 1146  

최정숙 (농촌생활연구소) ,  지선미 (농촌생활연구소) ,  백희영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홍순명 (울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ating habits and dietary consciousness of urban residents according to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e survey was administered by the nationwide 690 adults in February 2001. The survey was conducted by a questionnaire that was composed of 20 item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시 에 거 주하는 20세 이상의 성 인 690명 을 대 4.으로 식 습관 및 식 생 활 의 식 을 조사하여 사회 경제적 특성 亳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았다. 대상자들 £ 성별분포는 남자가 34.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도시지역 성 인들 의식습관 및 식생활 의식을 조사하여, 사회경제적인 특성이 개인의 식습관 및 식생활 의식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앞으로의 식생활 개선을 위한 합리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영 양교육 내용을 설정 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Schafer R, Yetley EA. 1975. Social psychology of food faddism. J Am Diet Assoc 66: 129-138. 

  2. Stewart GF, Amerine A. 1982. Introduction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Academic Press, New York. 

  3. 이기완, 박영심, 박태선, 김은경, 장미라. 1998. 한국인의 식생활 100년 평가(I). 신광출판사, 서울. p 160-177. 

  4. Sakamoto M, Chju PB, Tee ES, Winarno FG, Tontisirin K, Wahlqvist M, Howden J, Kasiwazaki H. 1995. Dietary pattern and food habit changes in Asia, a collaborative study. Proc 7th ACN p 54-65. 

  5. Pushpamna P. 1991. Changing dietary patterns-policy intervention. Pro 6th ACN p 336-348. 

  6. Cho JE, Kim JH, Song KH. 199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s and the obes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Soc Food Nutr 23: 55-61. 

  7. 이기완, 명춘옥, 박영심, 박태선, 남혜원, 김은경, 장미라. 1998. 한국인의 식생활 100년 평가(II). 신광출판사, 서울. p 187-203. 

  8.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Public Health Service. 1988. The surgeon general's report on nutrition and health. washington: U.S. Govt. Printing Office. DHHS publication No.(PHS)88-50210. 

  9. Park MY. 1998. A review on changes of dietary life and mortality pattern in Korea. Korean J Nutr 21: 146-153. 

  10. 이일하. 1993. 한국인의 식생활 양상의 변화가 건강 및 질병 상태에 미친 영향. 1993년도 한국식문화학회 춘계학술대회. 

  11. Ministry of Health and Society. 1994. Report on 1994 national health and survey. 

  12. Anderson AS, Hunt K. 1992. Who are the 'healthy eaters'? Eating patterns and health promotion in the west of Scotland. Health Educ J 51: 3-10. 

  13. Baghurst KI, Syrette JA. 1987. The influence of gender and social class on the nutrient contribution of meat and meat products to the diet of a group of urban Australians. CSIRO Food Res Q 47: 37-44. 

  14. Mori D, Pliner PL. 1987. 'Eating lightly' and the self-presentation of femininity. J Personality Soc Psychol 53: 693-702. 

  15. Rolls BJ, Fedoroff IC, Guthrie JF. 1991. Gender difference in eating behavior and body weight regulation. Health Psychol 10: 133-174. 

  16. Blaxter M. 1990. Health and lifestyles. Routledge, London. 

  17. Yperman AH, Vermeersch JA. 1979.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s food habits. JNE 11: 72-83. 

  18. Lee MA, Lee LH. 1983. Relationships between growth, nutritional intake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middle school girls in Seoul.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21: 37-48. 

  19. 현기순. 1981. 식생활 관리학. 교문사, 서울. p 113-114. 

  20. 권지윤. 1998. 아동의 식습관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 및 기초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Lee JM. 1976. A study on every possible correlation between daily food intakes and growth rate of kindergarten children. Korean J Nutr 9: 51-59. 

  22. Ahn HS, Lim HJ. 1994.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school children's nutrition awareness I. Assessment of the nutrition awareness and involvement in food-related activities. Korean J Dietary Culture 9: 525-532. 

  23. Kim SA. 1988. A study on dietary pattern of children in Busan area. Korean J Nutr 21: 182-188. 

  24. Lee JS, Rhie SG. 1997. Study for relations among the dietary behavior, physical status, and the degree of study achievement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2: 137-147. 

  25. Ha JS, Lee HG. 1995. Effect of middle-school students' food behavior on health condition and degree of study accomplishment. J Orean Home Economics Assoc 33: 225-242. 

  26. Wurtman RJ, Wurtmain JJ. 1977. Nutrition and brain, determents of the availability of nutrients to the brain. Raven Press, New York. 

  27. Kim JH, Lee MJ, Yang IS, Moon SJ. 1992.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Korean eating behavior. Korean J Dietary Culture 7: 1-8. 

  28. 식생활개선범국민운동본부. 1989. 국민식생활의식구조 조사 보고서. 

  29. 日本總理府. 1996. 食料.農業.農村の 役割に 關する 世論調査. 

  30. Choi MK, Kim JM, Kim JG. 2003. A study on the dietary habit and health of office workers in Seoul. Korean J Food Culture 18: 45-55. 

  31. Ahn B, Kim SY. 1999. A study on the eating behaviors and the preferences of industrial workers in Korean. J East Asian Dietary Life 9: 10-19. 

  3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8. Report on 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33. Haines PS, Guilkey DK, Popkin BIU. 1996. Trends in breakfast consumption of US adults between 1965 and 1991. J Am Diet Assoc 96: 464-470. 

  34. Kim JH, Lee MJ, Park MY, Moon SJ. 1996. A study for eating patterns of Korean men. Korean J Dietary Culture 11: 621-634. 

  35. Lee YM, Lee KW, Chang HK. 1996. Eating out behaviors and attitude toward Korean foods in adult. Korean J Dietary Culture 11: 317-326. 

  36. Pyun JW, Woo IA, Nam HW. 1999. A study on dietary attitude of male employees of higher education according to obesity. Korean J Food & Nutr 12: 462-469. 

  37. Park JW, Ahn SJ. 2001. A comparative study on Korean's dining-out behaviors classified by age and gender. Korean J Dietary Culture 16: 276-295. 

  38. Lee KH, Whang KJ, Her ES. 2001. A study on body image recognition, food habits, foo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obesity index of elementary children in Changw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577-591. 

  39. 한국식품개발연구원. 1990. 한국인의 식생활 현황과 평가에 관한 연구. 

  40. 재정경제원 조사통계. 1990. 사망원인 통계연보. 

  41. Paik HY, Moon HK, Choi YS, Ahn YO, Lee HK, Lee SW. 1997. Diet and disease of Korean.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42. Sohn KH, Kwak TK, Kim SH, Jung HJ. 1991. The comparative study of dietary attitude and nutrition intake urban and rural elderly. Yonsei J Euthenics 5: 65-73. 

  43. Park MR, Park EJ. 2001. The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housewives eating habit in Sang-ju city according to ages. Korean J Food Culture 16: 225-2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