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한국 성인의 식생활평가지수 개발
Development of Korean Healthy Eating Index for adult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8 no.5, 2015년, pp.419 - 428  

육성민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  박소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통계학과) ,  문현경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기랑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심재은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지윤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인구집단의 식생활지침 실천과 식생활의 질과 수준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식생활평가지수를 개발하였다. 문헌고찰 및 국가의 영양정책과 식생활지침,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후보항목을 도출하여 건강결과 변수에 따른 식품 및 영양소 평균섭취량을 비교하고 식품 및 영양소의 섭취량을 5분위수로 나누어 분위수별 교차비와 교차비의 경향성을 검정하였다. 후보항목의 통계분석 결과와 전문가 의견을 근거로 식사의 충분도 영역 9개 항목, 식사의 절제 영역 5개 항목등 총 14개의 지수 구성항목을 선정하였으며, 식생활지침과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을 근거로 점수화 기준을 마련하고 각 항목별로 5~10점을 배정하여 총 점수가 100점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한국인 식생활평가지수는 식사의 충분도 영역 9항목 (총 과일류, 생과일류, 총 채소류, 김치와 장아찌 제외 채소류, 우유 유제품, 총 단백질 식품, 흰 고기 : 붉은 고기 섭취비율, 전곡류, 아침식사 빈도)과 식사의 절제 영역 5가지 항목 (나트륨, 고열량 저영양 식품 에너지비, 지방 에너지비, 도정곡류, 탄수화물 에너지비)으로 구성되었다. 한국인 식생활평가지수는 식생활지침과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을 기반으로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인 대상 인구집단의 식사의 질을 모니터링 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향후 타당도 확인과 국가의 식생활지침 개정과 2015년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등에 따라 필요시 개정과 보완을 통해 국가의 영양정책 도출 및 사업 결과의 평가 및 활용에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the Korean Healthy Eating Index (KHEI) for assessing adherence to national dietary guidelines and comprehensive diet quality of healthy Korean adults using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Me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0년 국민영양관리법 제정과 국민영양관리계획의 수립과 실행 등 국가 정책이 실시됨에 따라 이를 평가하고 활용 및 그 결과를 반영하기 위한 식생활평가지수 개발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으나 국가의 식생활지침을 기반으로 하여 식생활 변화와 만성질환의 식생활 요인에 대한 최근의 과학적 근거를 반영한 표준화된 식생활 평가도구는 현재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국가의 식생활지침과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등에서 명시하고 있는 식사를 준수하는지 여부와 전반적인 식사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건강한 한국 성인을 위한 식생활평가지수 (Korean healthy eating index, KHEI)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인구집단의 식생활지침 실천과 식생활의 질과 수준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식생활평가지수를 개발하였다. 문헌고찰 및 국가의 영양정책과 식생활지침,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후보항목을 도출하여 건강결과 변수에 따른 식품 및 영양소 평균섭취량을 비교하고 식품 및 영양소의 섭취량을 5분위수로 나누어 분위수별 교차비와 교차비의 경향성을 검정하였다.
  • 최근 만성질환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노력으로 식생활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다양한 영양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고 있으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국민의 식생활 역시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사회 전반적으로 식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인구집단의 식생활의 질과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국내 성인의 국가 식생활지침에 대한 실천여부와 전반적인 식생활의 질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표준화된 평가도구로서 식생활평가지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한국인 식생활평가지수는 식사의 충분도 영역 9항목 (총 과일류, 생과일류, 총 채소류, 김치와 장아찌 제외 채소류, 우유·유제품, 총 단백질 식품, 흰 고기 : 붉은 고기 섭취비율, 전곡류, 아침식사 빈도)과 식사의 절제 영역 5가지 항목 (나트륨, 고열량·저영양 식품 에너지비, 지방 에너지비, 도정곡류, 탄수화물 에너지비)으로 구성되었다.
  • 5,11-15 미국의 HEI가 전반적인 식생활의 질을 평가할 수 있고 개정되는 국가 식생활지침 내용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HEI를 포함한 국외 식생활평가도구를 문화적으로 식생활이 다른 국내에 바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개발된 평가도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일반 성인의 범위에 해당하는 만 19세~64세 성인을 대상으로 2010년 개정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과 국가의 영양정책 및 식생활지침, 국내외 식생활 관련 지수 및 최근의 과학적 근거를 최대한 반영하여 한국성인용 식생활평가지수를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사용되는 식생활평가지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국내에서 성인과 노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식사의 질 평가지수는 198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일부를 활용하여 30~49세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성인의 과체중 예방을 위한 식생활 간이평가표17가 있으며, 30~40대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개발된 성인의 영양위험집단 진단을 위한 식생활 진단표18가 있다. 2002년에는 HEI의 평가방식을 국내에 맞게 적용한 한국인을 위한 식사의 질 평가지수 (korean dietary quality index, KDQI)19가 개발되었으며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비롯한 한국인의 식생활자료를 바탕으로 diet-related health risk appraisal(D-HRA)20가 개발되어 식생활에서 만성질환 위험도를 개인별로 평가하고 그에 따른 식습관 개선방안을 제시해주고 있다. 노인을 대상으로 영양위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판정도구로는 노인의 간이 영양진단표21와 DETERMINE 점검표 번역본22이 있으며, 병원 또는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영양불량을 선별하기 위한 mini nutrition assessment(MNA)23 등이 노인대상의 식생활 평가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국외에서 성인과 노인을 대상으로 식사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수에는 무엇이 있는가? 국외에서 성인과 노인을 대상으로 식사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수로는 미국의 dietary quality index(DQI)4와 healthy eating index (HEI)5를 비롯하여 지중해 식사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개발된 mediterranean diet score (MDS),6 유럽의 장기 추적 코호트를 기반으로 도출해낸 식사평가 도구인 healthy diet indicator (HDI)7 등이 있으며, 노인을 대상으로 영양위험 집단을 분류하기 위한 평가도구인 dietary screening tool (DST)8과 영양불량을 판별하기 위한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도 활용되고 있다. 특히 DQI의 경우 처음 개발된 1994년 이후 1999년에 한 차례 개정되며 식사 및 영양 구성 원칙인 절제, 다양, 균형을 반영하였으며,9 2003년에는 세계적인 영양섭취 모니터링과 국가 간 비교를 위한 DQI-International(DQI-I)이 개발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19세 이상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는데, 유병률 증가의 요인은 무엇인가? 성인의 식사패턴을 전통식과 혼합식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를 통해 식사패턴 변화 추세를 살펴본 Kang 등1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50세 이상 연령층에서는 전통식 패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50세 미만 연령층에서는 혼합식 패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 성인에서 식생활 패턴에 변화가 있었고 식사패턴에 따른 대사증후군,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식생활과 만성질환 사이에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19세 이상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3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한국인의 대사증후군 증가 양상을 연구한 Lim 등2의 연구에서도 식습관의 변화와 신체활동 감소를 대사증후군 유병률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하였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만성질환의 예방·완화를 위해 국외에서는 국가차원의 식생활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함에 따라 정책의 근간이 되고 수행도를 평가할 수 있는 식사의 질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ang M, Joung H, Lim JH, Lee YS, Song YJ. Secular trend in dietary patterns in a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the 1998, 2001, and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2011; 44(2): 152-161. 

  2. Lim S, Lee EJ, Koo BK, Cho SI, Park KS, Jang HC, Kim SY, Lee HK. Increasing trend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based on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J Korean Diabetes Assoc 2005; 29(5): 432-439. 

  3. Ahn BC, Hong EJ, Joung HJ. Regional convergence i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Korean Public Health Res 2013; 39(1): 1-11. 

  4. Patterson RE, Haines PS, Popkin BM. Diet quality index: capturing a multidimensional behavior. J Am Diet Assoc 1994; 94(1): 57-64. 

  5. Kennedy ET, Ohls J, Carlson S, Fleming K. The healthy eating index: design and applications. J Am Diet Assoc 1995; 95(10): 1103-1108. 

  6. Trichopoulou A, Kouris-Blazos A, Wahlqvist ML, Gnardellis C, Lagiou P, Polychronopoulos E, Vassilakou T, Lipworth L, Trichopoulos D. Diet and overall survival in elderly people. BMJ 1995; 311(7018): 1457-1460. 

  7. Huijbregts P, Feskens E, Rasanen L, Fidanza F, Nissinen A, Menotti A, Kromhout D. Dietary pattern and 20 year mortality in elderly men in Finland, Italy, and the Netherlands: longitudinal cohort study. BMJ 1997; 315(7099): 13-17. 

  8. Bailey RL, Miller PE, Mitchell DC, Hartman TJ, Lawrence FR, Sempos CT, Smiciklas-Wright H. Dietary screening tool identifies nutritional risk in older adults. Am J Clin Nutr 2009; 90(1): 177-183. 

  9. Haines PS, Siega-Riz AM, Popkin BM. The diet quality index revised: a measurement instrument for populations. J Am Diet Assoc 1999; 99(6): 697-704. 

  10. Kim S, Haines PS, Siega-Riz AM, Popkin BM. The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DQI-I) provides an effective tool for crossnational comparison of diet quality as illustrated by China and the United States. J Nutr 2003; 133(11): 3476-3484. 

  11. Guenther PM, Reedy J, Krebs-Smith SM, Reeve BB, Basiotis PP.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healthy eating index-2005. Technical report. Alexandria (V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Center for Nutrition Policy and Promotion; 2007. 

  12. Guenther PM, Reedy J, Krebs-Smith SM. Development of the healthy eating index-2005. J Am Diet Assoc 2008; 108(11): 1896-1901. 

  13. Guenther PM, Reedy J, Krebs-Smith SM, Reeve BB. Evaluation of the healthy eating index-2005. J Am Diet Assoc 2008; 108(11): 1854-1864. 

  14. Guenther PM, Casavale KO, Reedy J, Kirkpatrick SI, Hiza HA, Kuczynski KJ, Kahle LL, Krebs-Smith SM. Update of the healthy eating index: HEI-2010. J Acad Nutr Diet 2013; 113(4): 569-580. 

  15. McCullough ML, Feskanich D, Stampfer MJ, Giovannucci EL, Rimm EB, Hu FB, Spiegelman D, Hunter DJ, Colditz GA, Willett WC. Diet quality and major chronic disease risk in men and women: moving toward improved dietary guidance. Am J Clin Nutr 2002; 76(6): 1261-1271. 

  16. Woodruff SJ, Hanning RM.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revised Canadian healthy eating index (HEIC-2009). Public Health Nutr 2010; 13(6): 820-825. 

  17. Park YS, Han JL, Lee JW, Cho HS, Koo J, Kim JH, Yoon JS. The development of a simple evaluation questionnaire for screening the overweight-type dietary pattern in 30 to 49 year old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4): 495-505. 

  18. Kim WY, Cho MS, Lee H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Korean J Nutr 2003; 36(1): 83-92. 

  19. Shim JE, Paik HY, Lee SY, Moon HK, Kim YO.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 of Koreans by age groups: (4) the Korean diet quality index. Korean J Nutr 2002; 35(5): 558-570. 

  20.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Diet-related health risk appraisal (D-HRA) [Internet]. Cheongju: Korea Healthy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3 Mar 29 [cited 2014 May 1]. Available from: http://dhra.khidi.or.kr/index.do. 

  21. Lee JW, Kim KE, Kim KN, Hyun TS, Hyun WJ, Park YS. Evaluation of the validity of a simple screening test developed for identifying Korean elderly at risk of undernutrition. Korean J Nutr 2000; 33(8): 864-872. 

  22. Moon HK, Kong JE. Reliability of nutritional screening using DETERMINE checklist for elderly in Korean rural areas by season.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3): 340-353. 

  23. Lee HO, Lee JS, Shin JW, Lee GJ. Nutrition assessment of older subjects in a health care center by MNA (mini nutritional assessment). J Korean Diet Assoc 2010; 16(2): 122-132.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 adults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Dec 8 [cited 2014 Mar 27].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0&CONT_SEQ224044&page1.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Health plan 2020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Jul 22 [cited 2014 Apr 17].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19&CONT_SEQ257824&page1. 

  2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2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rimitive data download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Dec 15 [cited 2015 May 1].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