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료콩의 증자조건을 달리한 검정콩 간장의 질소화합물 및 유리아미노산
Nitrogen Compounds and Free Amino Acids of Black Bean Ka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Cooking Conditions of Whole Black Bea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0 no.1, 2003년, pp.75 - 79  

고영란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선화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  최재훈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  손미예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  박석규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한국전통발효식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검정콩을 이용한 기능성 간장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원료 콩의 증자조건에 따른 검정콩 전통간장의 숙성후, 질소화합물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총질소 함량은 308.3∼925.0 mg%로 나타났으며, 상압이나 스팀에 비하여 가압으로 증자한 간장의 총질소 함량이 아주 낮았고, 스팀증자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총질소 함량이 증가하였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133∼451.5 mg%로 나타났으며, 상압(451.5 mg%)이 가장 높았으며, 스팀(178.9∼224 mg%)이 가압으로 증자한 간장(133∼171.5 mg%)에 비하여 약간 높은 편이었다. 암모니아태 질소함량은 23.S∼142.0 mg%로 나타났으며, 상압과 스팀에 비하여 가압으로 증자한 검정콩 간장이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133∼451.5 mg%로 나타났으며, 상압(451.5 mg%)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스팀(178.9∼224 mg%)이 가압으로 증자한 간장(133∼171.5 mg%)에 비하여 약간 높은 편이었다. 색도의 명도(L값)은 45.13∼49.08의 범위로 시험구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대부분 상당히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적색도(a값)와 황색도(b값)은 각각 25.30∼34.43, 52.55∼74.13의 범위로 시험구간에 약간 차이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tal nitrogen(TN) contents in all samples were in the range of 308.3 to 925.9 mg% and TN value of kanjang prepared with high pressure(HPK)-heated bean was lower than that of normal pressure(NPK) and steam(SPK)-heated bean. TN content was sligh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heating time of bean. A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검정콩을 이용한 기능성 간장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원료 콩의 증자조건에 따른 검정콩 전통간장의 숙성 후, 질소화합물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총질소 함량은 308.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기호와 입맛에 잘 부합하고, 우리나라 전통간장의 고유한 맛을 재현하면서도 우수한 기능성을 갖는 고품질의 검정콩 간장을 제조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검정콩의 증자조건을 달리한 6종의 메주를 제조하여 담근 전통 검정콩 간장의 질소화합물 및 유리 아미노산을 분석하여 그 발효특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ancer Institute News : The anticareinogenic properties of soybean. U.S.A., 1998. 3. 6 

  2. Chang, C.H. (1967) Organic acid in Korean soy-sauces. J. Kor. Soc. Agri. Chem. Biotechnol., 8, 1-9 

  3. Chang, C.H. (1968) The biochemical studies on stored soy-sauce. J. Kor. Soc. Agri. Chem. Biotechnol., 9, 9-28 

  4. Chang, K.S., Yoon, H.K. and Kim, M.S. (1978) Studies on packaging of spray - dried soy sauce by means of flexible films and their laminates. J. Kor. Soc. Agri. Chem. Biotechnol., 21, 144-150 

  5. Cho, D.H. and Lee, W.J. (1970) Microbiological studies of Korean native soy - sauce fermentation-A study on the microflora of fermented Korean maeju loaves. J. Kor. Soc. Agri. Chem. Biotechnol., 13, 35-43 

  6. Cho, M.J. and Kim, Z.U. (1971) Studies on the quick ripening process for soy sauce. J. Kor. Soc. Agri. Chem. Biotechnol., 14, 19-28 

  7. Choi, C., Choi, K.S., Choi, Y.J., Lim, S.I., Kim, S., Son, J.H., Lee, H.D. and Kim, Y.H. (1996) Characteristics and action pattern of protease from Bacillus subtilis CCKS 111 in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Kor. Soc. Food. Sci. Nutr., 25, 915-922 

  8. Chu, Y.H., Yu, T.J. and Yu, J.H. (1975) Studies on the film forming yeasts isolated from commercial soy sauce. J. Korea Chem. Soc., 7, 61- 68 

  9. Chung, C.Y and Toyomizu, M. (1959) Studies on discoloration of fish products. V. Mechanism of rusting in amino acid - reducing sugar - lipid system. Bull. Japan. Soc. Sci. Fish, 34, 426-432 

  10. Chung, H.J. and Sohn, K.H. (1994) The changes of component in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during ripening period. J. Kor. Soc. Food. Sci., 10, 29-35 

  11. Chung, H.J. and Kwon, H.J. (1997) Dependence of ethyl carbamate fonnation on the fermentation variables in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J. Kor. Soc. Food. Sci., 13, 92-99 

  12. Chung, H.J. and Sohn, K.H. (1994) The changes of component in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during ripening period(1). Korean J. Soc. Food Sci., 10, 29-34 

  13. Ensninger, A.H., Ensminger, M.E., Kpnlande, I.E. and Robinson, J.R.K (1983) Food & Nutrition Encyclopedia, Vol. 2, pp. 1-8, U.S.A. 

  14. Han, K.S. and Yoon, S.S. (199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changes on the management of indigenous fermented foods in Korean families. Korean J. Soc. Food Sci., 7, 1-9 

  15. Im, M.H., Choi, J.D., Chung, H.C., Lee, S.H., Lee, C.W., Choi, C. and Choi, K.S. (1998) Improvement of meju preparatio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kan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08-615 

  16. Jha, H.e., von Recklinghausen, G. and Zilliken, F. (1985) Inhibition of in vitro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by isoflavonoids. Biochem. Pharmacol., 34, 1367-1373 

  17. Ju, H.K., Ro, S.K. and Im, M.H. (1972) Studies on the fermentation on soy sauce by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4, 276-284 

  18. Shon, M.Y (1999)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chungkugjang produced from Korean black bean(Glycine max(L.) Merril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h.D. Thesis 

  19. Park, S.K., Cho, Y.S., Park, J.R., Moon, J.S. and Lee, Y.S. (1995) Changes in the contents of sugar, organic acid, free amino acid and nucleic acid - related compounds during fermentation of leaf mustard-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48-53 

  20. Kim, J.K., Chung, Y.G. and Yang, S.H. (1985) Effective components on the taste of ordinary Korean soy sauce. Kor. J. Appl. Microbial. Bioeng., 13, 285-2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