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년초 분말 첨가에 따른 국수의 품질특성
Quality of Noodle Added Powder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0 no.2, 2003년, pp.200 - 205  

정현숙 (계명문화대학 식품과학과) ,  박찬성 (대구한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년초 분말을 각각 0%, 0.05%, 0.1%, 0.3% 및 0.5%의 비율로 첨가한 국수를 제조하여 일반성분, 수분함량, 색상 및 기계적 texture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행하였다. 백년초 첨가 국수의 수분함량은 모두 32∼33% 정도로 큰 차이가 없었다. 국수 대조구의 색상은 명도(L치) 74.21,적색도(a치) -2.40, 황색도(b치) 5.52였으며 백년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치)는 감소하며, 적색도(a치)와 황색도(b치)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계적 물성 측정 결과, 백년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국수의 강도, 견고성, 부서짐성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백년초 첨가 국수의 관능검사 결과, 색은 0.3%와 0.5% 첨가군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기호도를 나타내었다(p<0.05). 관능검사 결과, 국수의 기호도는 촉촉한 정도, 부드러움,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백년초 0.3%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의 관능검사결과를 종합하면 국수 제조시 적정한 백년초 분말 첨가량은 0.3%가 가장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on the quality of noodles. Noodles containing 04.5%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were prepared for test the quality of mechan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Moisture content of nood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백년초의 다양한 기능성에 대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백 년초를 첨가한 국수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인병 예방을 위한 건강식품과 기호성에 맞는 식품 개발의 하나로서 백년 초 분말 첨가량에 따른 국수의 기호와 품질 특성 즉 색상, pH, 수분 함량 및 기계적인 texture 등을 비교분석하여 기호성에 맞는 백년초가루의 적정 첨가량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ung, H.J. (2000)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Korea J. Soc. Food. Sci., 16, 160-166 

  2. Lee, H.J. (1998) A study on antiulcer effects of Opuntia dillenii Haw. on stomach ulcer induced by water immersion stress in rats.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 Fernandez, M.L,A. and Mcnamara, D.J. (1990) Pectin isolation from prickly pear(Opuntia sp.) modifies low density lipoprotein metabolism in cholesterol fed guineapigs. Lipids, 25, 1283 

  4. Lee, S.P., Whang, K., and Ha, Y.D. (1998) Functional properties of mucilage and pigment extracted from Opuntia ficus-indic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821-826 

  5. Kim, K.S., and Lee, S.O. (2002) The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with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Korea J. Soc. Food and Cookery Sci, 18, 179-184 

  6. Lee, Y.C., Whang, K.H., Han, D.H. and Kim, S.D. (1997) Composition of Opuntia ficus-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47-853 

  7. Lee, S.Y, Hur. H.S, Song, J.C. and Park, N.K. (1997) Comparison of noodle-relate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imported wheat.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4 

  8. Nam, J.K., Hahn, Y.S., Hyun Y.H. and Oh, J.Y. (2000) Noodle-making properties of domestic wheats cultivars, Korean J. Soc. Food Sci., 16, 593 

  9. Chang, K.J. and Lee, S.R. (1974)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 and their products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 textual characteristic of noodles made of composite flours. Korean J. Food Sci. Technol., 6, 65 

  10. Ha, K.H. and Shin, D.H. (1999) Characteristics of noodle made with composite flours of perilla and wheat. J. KoreanSoc. Food Sci. Nutr., 28, 1256 

  11. Kim, B.R., Choi, Y.S., Kim, J.D. and Lee, S.Y. (1999) Noodle making characteristics of buckwheat composite flou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83 

  12. Lee, K.H. and Kim. K.T. (2000) Properties of wet noodle changed by the addition of whey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073 

  13. Lee, Y.S., Lim, N.Y. and Lee, K.H. (2000)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dried noodle products made from composite flours utilizing arrowroot starch. Korean J. Soc. Food Sci., 16, 681 

  14. Lee, J.W., Kee, H.J., Park, Y.K., Rhim, J.W. and Jung,S.T. (2000) Preparation of noodle with laver powder and its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98 

  15. Bae, S.H. and Rhee, C. (1998) Effect of soybean isolate on the properties of noodl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1301 

  16. Kim, Y.A. (2002) Starch-wheat composite of mulberry leaves powder on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noodle. Korea J. Soc. Food and Cookery Sci., 18, 76-80 

  17. Kim, U.J., Yoon, J.Y. and Kim, H.S. (2002) A study on the noodle quality made from pea starch-wheat composite. Korea J. Soc. Food and Cookery Sci., 18, 136-141 

  18. Kim, JW and Park, WP (1990) Making of extruded noodles mixed with soymilk residue, J. Korean Agric. Chem. Soc.33, 216 

  19. Lee, H.J. (1995) Preparation of the dried noodle from Yam-Wheat flour blends and its noodle quality assessment. M.S. thesis, University of Sookmyong Women's University 

  20. Kim, H.S., Ahn, S.B., Lee, K.Y. and Lee, S.R. (1973)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 and their product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 3. Noodle-making and cookie-making tests with composit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5, 25 

  21. Baik, B.K., Czuchaiowska, Z. and Pomeranz, Y. (1995) Discoloration of dough for oriental noodles. Cereal Chemistry, 72, 198 

  22. Miskelly, D.M. (1984) Flour component affecting paste and noodle color. J. Sci. Food Agric., 35, 463. 

  23. A.O.A.C (1996)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sis Chemists, Washington D.C., U.S.A 

  24.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0) Handbook of Food Nutrition Experiment. Hyoil Co., Ltd, 173-174 

  25.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0) Handbook of Food Nutrition Experiment. Hyoil Co., Ltd, 124-126 

  26. Kato, H., Lee, C.Y., Kim, S.B. and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Chem., 51, 1333 

  27. Johnston, M.R. (1979) Sensory evaluation methods for the practicing food technologist, 1st short course committee, 6-1 

  28. Bae, K.S., Son, K.H., Mun, S.G. (1984) Structure and textural property of Mook. Korean J. Food Sci. Technol.,16, 185-191 

  29. Park, S.O., Kim, K.O. (1988) Effects of added corn starches on sensory characteristics of acorn Mooks(starch ge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613-617 

  30. Elizabeth Larmond. (1970) Method for sensory evaluation of food, Canada Dept. of Agriculture 

  31. 채영암, 구자옥, 서학수, 이영만(1991) 기초생물통계학, 향문사, P158-16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