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with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1 no.1, 2014년, pp.34 - 39  

박우포 (마산대학교 식품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수를 만들 때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어성초의 적절한 첨가 비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복합분의 점도 특성, 국수를 만든 다음 조리시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복합분은 대조구에 비하여 호화개시 온도, 최고점도, $95^{\circ}C$에서의 점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최고점도와 $95^{\circ}C$에서 15분 후의 점도와의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조리면은 대조구에 비하여 중량과 부피가 감소하였으나 어성초 분말 0.5%, 1.5% 첨가구는 중량에 있어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어성초 분말을 0.5% 첨가한 국물의 흡광도는 대조구보다 낮았으나 다른 어성초 분말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어성초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조리면의 L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시험구의 색도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는 대조구, 어성초 분말 0.5%, 1.5%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보아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국수 제조시에 0.5%까지 첨가하는 것은 국수의 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ppropriate concentration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which has various functions, to dried wheat flour noodles.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e flour and cooking quality of the noodle samples were measured,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conducte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밀가루에 비율을 달리하여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국수를 제조하고, 조리시험 및 관능검사를 통하여 국수 제조시에 적절한 어성초의 첨가비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성초를 첨가한 식품에 대한 연구가 김치, 청국장, 떡 등에 그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어성초는 항염증(12,13), 항돌연변이(14), 항고지혈증 (15), 항알레르기 효과(16)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어성초가 갖는 이러한 기능성에도 불구하고 어성초 특유의 강한 냄새와 신맛, 짠맛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기호적 특성으로 인하여 식품에 첨가할 경우 진하고 탁한 녹색의 색택으로 인하여 식품의 색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전반적으로 식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17).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어성초를 첨가한 식품에 대한 연구는 김치(17), 청국장(18), 떡(19) 등에 관한 것에 그치고 있다.
어성초란?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는 삼백초과(Saururaceae) 에 속한 다년생 초본의 야생약초로서 그늘지고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라며, 우리나라에서는 어성초, 약모밀이라고 불리어진다. 원산지는 우리나라, 중국, 일본이며, 잎과 줄기에서 생선비린내가 난다고 하여 어성초라 불려지게 되었다 (11).
삼백초과에 속하는 어성초의 효능은? 어성초는 항염증(12,13), 항돌연변이(14), 항고지혈증 (15), 항알레르기 효과(16)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어성초가 갖는 이러한 기능성에도 불구하고 어성초 특유의 강한 냄새와 신맛, 짠맛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기호적 특성으로 인하여 식품에 첨가할 경우 진하고 탁한 녹색의 색택으로 인하여 식품의 색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전반적으로 식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YA (2002) Effects of mulberry leaves powder on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noodl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32-636 

  2. Kim BK, Park JE, Zu G (2011) Effects of semolina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rice noodles. Food Eng Prog, 15, 56-63 

  3. Jung BM, Park SO, Shin TS (2009) Developm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noodles made with added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180-188 

  4. Kim SY, Kang MY, Kim MH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browned oak mushroom(Lentinus edod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665-671 

  5. Sung SY, Kim MH, Kang MY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containing Pleurotus eryngii.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405-411 

  6. Park CS, Kim ML (2006) Functional properties of mugwort extra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mugwort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3, 161-167 

  7. Lee JH, Shim JY (2006) Characteristics of wheat flour dough and noodles added with onion juice. Food Eng Prog, 10, 54-59 

  8. Kim JG, Shim JY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 flour noodle added with onion powder. Food Eng Prog, 10, 269-274 

  9. Park BH, Cho H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 made with Dioscorea japonica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173-180 

  10. Nam YH, Hong JH, Youn KS, No HK, Lee SH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 life of noodles prepared with Heracleum moellendorffii (Hogweed)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7, 602-607 

  11. Kwun JA (1998) About Houttuynia cordata Thunb. Korean Oriental Drug, 2, 218-221 

  12. Li W, Zhou P, Zhang Y, He L (2010) Houttuynia cordata, a novel and selective COX-2 inhibitor with anti-inflammatory activity. J Ethnopharmacol, 133, 922-927 

  13. Hwang BY, Lee JH, Koo TH, Kim HS, Hong YS, Ro JS, Lee KS, Lee JJ (2002) Furanoligularenone, an eremophilane from Ligularia fischeri, inhibits the LPS-induced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prostaglandin E2 in macrophage RAW-264.7 cells. Planta Med, 68, 101-105 

  14. Choi YH, Kim EY, Rhee SH, Lee WH (1994) Antimutagenic effects of the juice and boiling water extract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 916-921 

  15. Chung CK, Ham SS, Lee SY, O DH, Choi SY, Kang IJ, Nam SM (1999) Effect of Houttuynia cordata Thunb. ethanol extracts on serum lipids and antioxidants enzymes in rat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202-211 

  16. Kim KY, Chung DO, Chung HJ (1997)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00-406 

  17. Kwak HJ, Jang JS, Kim SM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Houttuynia cordata. Korean J Food Nutr, 22, 332-337 

  18. Park JS, Na HS (2011) Properties of cheonggukjang tablet prepared with medicinal herb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8, 149-155 

  19. Eun SD,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ck prepared with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23-30 

  20. AACC (1983)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8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p 26-28 

  21. Lee SY, Hur HS, Song JC, Park NK, Ghung WK, Nam JH, Chang HK (1997) Comparison of noodle-relate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imported wheat.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4-50 

  22. Park ID, Cho H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with added Loquat leaf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6, 709-716 

  23. Choe HD, Seo HM, Kim SL, Park YG, Lee CH (2003) Effect of ${\beta}$ -glucan on gelatinization of barley starch.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45-550 

  24. Lee CH, Gore PJ, Lee HD, Yoo BS, Hong SH (1987) Utilization of Australian wheat for Korean style dried noodle making. J Cereal Sci, 6, 283-297 

  25. Oda M, Yasuda Y, Okazaki S (1980) A method of flour quality assessment for Japanese noodle. Cereal Chem, 57, 253-254 

  26. Park SI, Cho EJ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chlorella extract. Korean J Food Nutr, 25, 225-231 

  27. Hong SP, Jun HI, Song GS, Kwon KS, Kwon YJ, Kim YS (2004) Characteristics of wax gourd juice-added dry nood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795-7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