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난소화성 전분 제조공정의 최적화 및 이화학적 특성 연구
Studies for Processing Condition Optimiz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y of Resistant Starch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8, 2003년, pp.1193 - 1199  

한명륜 (단국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우경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남이 (서울보건대학 식품영양학과) ,  이수정 (부천전문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명환 (단국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밀로오스 함량이 22%인 일반 옥수수전분과 아밀로오스 함량이 46%인 고아밀로오스 옥수수 전분을 이용하여 난소화성 전분의 제조과정 중 가열온도, 수분함량, 저장온도 및 가열-냉각회수 인자들이 난소화성 전분생성율에 미치는 영향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고아밀로오스 옥수수 전분이 옥수수 전분에 비하여 높은 난소화성 전분의 생성율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조건에서 고아밀로오스 옥수수 전분의 난소화성 전분 생성 최적 제조조건은 6회의 가열-냉각, 2$0^{\circ}C$의 저장온도, 108$^{\circ}C$의 가열온도 및 57%의 수분함량이었으며 생성율은25%수준이었다. 난소화성 전분의 제조시 영향을 미치는 순서는 가열-냉각회 수, 수분함량, 가열온도, 저장(냉각)온도 순이었다. 난소화성 전분의 제조과정에서 전분입자의 파괴 및 다공성 망상구조를 보였으며 비표면적의 증가와 평균직경의 감소현상이 나타났고 열처리에 의하여 색깔은 어두워지고 노란색상의 증가를 보였다. 가열-냉각 과정에서 옥수수 전분의 경도, 응집성, 탄력성 및 점성의 감소현상이 두드러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result of resistant starch yield depending on heating temperature, moisture content, storage temperature and heating-cooling cycle with RSM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high amylose corn starch (46%) was appeared higher than normal corn starch in the yield (22%). At the high amylose corn s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Laser differentiaL particLe size anaLyzer(8050, Amherst, USA)를 이용하여 시료 약 1 g을 증류수에 분산시켜 1분간 초음파로 처리한 다음 각 시료들 간의 입자크기 분포를 측정하였다.
  •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2700, Hitachi, Japan) 을 이용하여 20분간 시료 입자의 표면에 금도금을 하였으며 가속전압 10 kV의 조건에서 입자의 표면형태를 관찰하였다.
  • Texture anaLyzer(TA-XT2, StabLe micro system, Eng- Land)를 이용하였으며 일정한 크기의 원통용기에 시료 대 증류수의 비를 1 : 2(w/w)로 조절하고 vortex mixer를 이용하여 교반한 다음 90°C의 온도에서 1시 간 동안 가열하여 완전호화가 일어나게 하였다. 그 다음 25°C의 incubator에서 3시간 동안 저장하여 일정한 온도가 되 게 한 다음 TPA(texture profiLe anaLysis) test를 하였다.
  • 일어나게 하였다. 그 다음 25°C의 incubator에서 3시간 동안 저장하여 일정한 온도가 되 게 한 다음 TPA(texture profiLe anaLysis) test를 하였다. 실험 조건은 strain 50%, test speed 2.
  • , KoreaX 이 용하여 각각의 온도(80~ 120°C)에서 1시 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전분겔은 각 온도별로 setting된 incubator에 23시 간 동안냉각(저 장)하는 방법으로 가열과 냉각(저장)을 반복하였다. 난소화성 전분의 분리는 효소중량법 (20)을 변형 하여 사용하였으며 (Fig. 1) 분석 에 사용한 효소는 a -amyLase(A-3306, Sigma Co., USA)와 amyLogLucosidase(A-9913, Sigma Co., USA)를 사용하였고 난소화성 전분의 생성율은 아래의 식 에의 하여 계산하였다. 이화학적 특성 분석 을 위 하여 난소화성전분을 동결건조한 다음 sampLe miLLer (Knifetec 1095, Te- cator Co.
  • 난소화성 전분의 제 조는 50 mL의 screw cap bottLe을 이용하여 수분함량(40~80%, w/w)별로 조제한 시료를 oiL bath(C-OB, Changshin Co., KoreaX 이 용하여 각각의 온도(80~ 120°C)에서 1시 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전분겔은 각 온도별로 setting된 incubator에 23시 간 동안냉각(저 장)하는 방법으로 가열과 냉각(저장)을 반복하였다. 난소화성 전분의 분리는 효소중량법 (20)을 변형 하여 사용하였으며 (Fig.
  •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중심합성 설계법을 이용 하였으며 옥수수 전분과 고아밀로오스 옥수수 전분에 대하여 4가지 인자로서 수분함량(40~80%), 가열온도(80~ 120°C), 저장(냉각) 온도(0~40°C) 및 가열-냉각 회수(0~6회)를 사용하였고 5가지 수준을 이용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측정 된 난소화성 전분의 수율(생성율)로 하였다. 각 인자의 수준 변화에 따른 난소화성 전분의 생성율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분산분석, 이차다항회귀곡선식 및 반응표면분석 법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등의 통계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모든 통계 분석은 SAS로 하였다(19).
  • 시료를 색 차계 (CR 200D, MinoLta Co., Japan)로 L, a, b 및 JE 값을 측정하였다.
  • surface methodoLogy)(19)으로. 아밀로오스 함량이 다른 두 가지 옥수수 전분을 이용하여 난소화성 전분의 수율이 최적인 조건을 분석하고 최적 제조공정 조건에서의 난소화성 전분이 포함된 호화전분 분말을 제조하여 대조 구와 형태학적,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 옥수수전분, 6회의 가열-냉각 후 옥수수 전분 및 추출된 난소화성 전분의 개괄적 인 모양과 표면의 형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5, 000배로 관찰한 결과 Fig. 4와 같다. 생전분인 경우는 옥수수 전분과 고아밀로오스옥수수 전분 모두 거의 비슷한 형태로 입자 대부분이 타원형이나 구형으로 매끈한 표면을 나타내고 있다(22).
  • , USA)를 사용하였고 난소화성 전분의 생성율은 아래의 식 에의 하여 계산하였다. 이화학적 특성 분석 을 위 하여 난소화성전분을 동결건조한 다음 sampLe miLLer (Knifetec 1095, Te- cator Co., Sweden)을 이용하여 분말화 하였다.

대상 데이터

  • 난소화성 전분의 제조에 이용된 전분으로는 아밀로오스함량이 22%인 옥수수전분(S-4126, Sigma ChemicaL Co., USA)과 46%인 고아밀로오스 옥수수전분(A-700, Honen Co., Japan)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 그 다음 25°C의 incubator에서 3시간 동안 저장하여 일정한 온도가 되 게 한 다음 TPA(texture profiLe anaLysis) test를 하였다. 실험 조건은 strain 50%, test speed 2.0 mm/s이고 측정시 사용한 probe의 직경은 5 cm 이었으며 시료는 원통형 형태로서 직경은 21 mm, 높이는 15 mm이었다(21).

데이터처리

  • 수율(생성율)로 하였다. 각 인자의 수준 변화에 따른 난소화성 전분의 생성율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분산분석, 이차다항회귀곡선식 및 반응표면분석 법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등의 통계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모든 통계 분석은 SAS로 하였다(19). 이 차다항회귀곡선식은 다음과 같다.

이론/모형

  •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인자들에 대하여 반응표면분석법 (response surface methodoLogy)(19)으로. 아밀로오스 함량이 다른 두 가지 옥수수 전분을 이용하여 난소화성 전분의 수율이 최적인 조건을 분석하고 최적 제조공정 조건에서의 난소화성 전분이 포함된 호화전분 분말을 제조하여 대조 구와 형태학적,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sp NG. 1996. Classification by chemistry and physiology. Food Chemistry 57: 9-14. 

  2. Baghurst PA, Baghurst KI. 1996. Record dietary fibre, nonstarch polysaccharides and resistant starch-a review. Food Australia 48: S3-S25. 

  3. Brown IL. 2001. Resistant starch: plant breeding applications developement and commercial use. In Advanced dietary fibre technology. McCleary BV, Prosky L, eds. Blackwell Science, Oxford, UK. p 401-412. 

  4. Sievert D, Pomerenz Y. 1989. Enzyme-resistant starch I.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by enzymetic, thermoanalytical and microscope methods. Cereal Chem 66 : 342-347. 

  5. Leloup VM, Colonna P, Ring S. 1992. Physicochemical aspects of resistant starch. J Cereal Sci 16: 253-266. 

  6. Alejandra GA, Fulgencio SC, Delcour JA. 1998. Influence of botanical source and processing on formation of resistant starch type III. Cereal Chem 75: 802-804. 

  7. Berry CS. 1986. Resistant starch formation and measurement of starch that survives, exhaustive digestion with amylolytic enzymes during the determination of dietary fibre. J Cereal Sci 4: 301-314. 

  8. Sievert D, Czuchajowska Z, Pomerenz Y. 1990. Enzymeresistant starch. Part Ⅲ. Characterization of heat-treated amylomaize Ⅶ starch preparations and corresponding RS fractions by X-ray diffraction and DSC. Cereal Chem 68: 86-91. 

  9. Eerlingen RC, Cillen G, Delcour JA. 1994. Enzyme-resistant starch. Ⅳ. Effect of endogenous lipids and added sodium dodecyl sulfate on formation of resistant starch. Cereal Chem 71: 170-177. 

  10. Sivert D, Czuchajowska Z, Pomeranz Y. 1991. Enzymeresistant starch. Part. Effects of complexing lipids. Cereal Chem 68: 537-542. 

  11. Eerlingen RC, Deceuninck M, Delcour JA. 1993. Enzymeresistant starch. II. Influence of amylose chain length on resistant starch formation. Cereal Chem 70: 345-350. 

  12. Kim JO, Kim WS, Shin MS. 1997. A comparative study on retrogradation of rice starch gels by DSC, X-ray and $\alpha$ -amylase methods. Starch 49: 71-75. 

  13. Zhang W, Jackson DD. 1992. Retrogradation behavior of wheat starch gels with differing molecular profiles. J Food Sci 57: 1428-1432. 

  14. Lee SK, Mun SK, Shin MS. 1997. Effect of heating conditions on the resistant starch formation. Agric Chem Biotechnol 40: 220-224. 

  15. Young GD. 1996. Prevention of colon cancer: role of short chain fatty acids produced by intestinal flora. Asia Pacific J Clin Nutr 5: 44-47. 

  16. Goni I, Alonso AG. 2000. In vitro fermentation of different types of $\alpha$ -amylase resistant corn starches. Food Res Technol 211: 311-316. 

  17. Ranhotra GS, Gelroth JA, Glaser BJ. 1986. Effect of resistant starch on blood and liver lipids in hamsters. Cereal Chem 73: 176-178. 

  18. Kahlon TS, Chow FI. 2000. Lipidemic response of hamsters to rice bran, uncooked or processed white and brown rice, and processed corn starch. Cereal Chem 77: 673-678. 

  19. SAS. 1993. SAS/INSIGHT user's guide version 6. 2nd edition, Cary, NC. 

  20.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1105. 

  21. Mua JP, Jackson DS. 1998. Retrogradation and gel textural attributes of corn starch amylose and amylopectin fractions. J Cereal Sci 27: 157-166. 

  22. Jung SH, Shin GJ, Choi CU. 1991.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rn, sweet potato, potato, wheat and mungbean starch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72-275. 

  23. Aggarawal P, Dollimore D. 2000. Degradation of starchy food material by thermal analysis. Thermochimica Acta 357: 57-63. 

  24. Kim MH, Kim JO, Shin MS. 2001. Effects of resistant starch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623-6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