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릉도 마가목 천연집단의 기상인자 추정 및 식생구조
Meteorological Element and Vegetative Structure for Sorbus commixta Hedl. Natural Populations at Ulleung Island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5 no.3, 2003년, pp.158 - 165  

김세현 (임업연구원 산림유전자원부) ,  장용석 (임업연구원 산림유전자원부) ,  정헌관 (임업연구원 산림유전자원부) ,  최영철 (임업연구원 산림유전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앞으로 건강 기능식품 및 농산촌의 단기 소득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유망 수종인 마가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우리나라 마가목 천연분포 지역중 지리적으로 내륙과 떨어져 있고 온대습윤 지역에 속하며 사면이 동해와 접해 있어 전형적인 해양성 기후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 울릉도 지역의 마가목 천연림에 대하여 해발고별로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Thornthwaite의 기후학적 방법으로 기상인자를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71년부터 2000년까지 울릉도 기상관측소에서 측정된 년 강수량과 추정된 잠재증발산량을 식물의 생육기와 생육휴지기로 구분하여 비교ㆍ분석한 결과, 전자는 년 강수량의 68%에 달하는 수분이 공급되는 반면에 81%의 수분이 증발산에 의하여 소모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후자는 32%의 수분 공급에 비하여 19%만이 소모되는 것으로 나타나 수분수지 측면에서 마가목을 비롯한 다른 수종들의 생육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된 자료들을 기초로 울릉도의 해발고별 월평균 기온과 잠재증발산량을 추정하여 비교ㆍ분석한 결과, 해발고도가 증가하면서 전체적인 수분수지 측면에서는 양호한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며, 주생육 온도범위는 66.8<W<95.0, -21.5<CI<-7.7인 것으로 분석되어 마가목의 분포와 적지 선정을 하는데 있어서 객관적인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울릉도 마가목 천연집단의 해발고별 분포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식생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목층은 총 10종이 출현하였으며, 마가목(46.85), 너도밤나무(13.43), 고로쇠나무(12.41), 피나무(12.03) 등의 순서로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고 아교목층에서는 교목층 보다 7종이 더 많은 총 11종이 출현하였으며, 고로쇠나무(13.16), 너도밤나무(12.68), 당단풍나무(11.37), 마가목(10.76) 등의 순서로 높은 중요치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마가목 천연집단 내에서 상당한 수준의 종간경쟁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라고 추정할 수 있으며, 관목층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목층은 총 25종이 출현하였으며, 조릿대(22.09), 만병초(10.51) 등이 높은 중요치를 나타내는 특징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고로쇠나무(9.83), 너도밤나무(7.84), 마가목(7.08) 등의 순서로 높은 중요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교목층에서는 만병초와 섬벚나무, 푸조나무 아교목층에서는 동백나무, 만병초, 섬벚나무, 섬피나무, 관목층에서는 자금우, 말오줌때, 새비나무, 섬댕강나무, 줄사철나무 등과 같은 특이종도 출현하였다. 본 조사지의 층위 구조별 종다양도(H') 및 균재도 (J')를 분석한 결과, 교목층에서는 0.6199ㆍ0.6199, 아교목층 1.0859ㆍ0.8825, 관목층 1.1390ㆍ0.8148으로 분석되었으며 우점도(1-J')는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나 다수의 종에 의해서 지배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he role of meteorological elements on the habitat characteristics and vegetative structure for S. commixta natural populations at Ulleung Isl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PET) by elevation of Ulleung Island was estimated using Thornthwaite's climatology esti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생태적 연구와 유전적 변이에 관한 폭넓은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마가목 천연분포 지역 중지리적으로 내륙과 떨어져 있고 온대습윤 지역에 속하며 사면이 동해와 접해 있어 전형적인 해양^ 기후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 울릉도 지역의 마가목 천연집단에 대하여 해발고별 분포 특성의 파악 및 기상인자의 추정을 통하여 장래 유망 수종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성덕, 木村 允, 임양재, 1986: 한국 울릉도의 너도밤나무림 및 섬잣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식물학회지, 29(1), 53-65. 

  2. 김태훈, 정진현, 이충화, 구교상, 이원규, 강인애, 김사일, 1991: 토양형별 주요 수종의 생장. 임업연구원 연구보고, 42, 91-106. 

  3. 김형욱, 1999: 마가목으로부터 항산화물질의 Screening 및 항산화 활성 측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2pp. 

  4. 나민균, 2000: 마가목의 항산화 성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7pp. 

  5.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1988: 토양화학분석법 - 토양. 식물체. 토양미생물. 삼미인쇄사, 수원, 450pp. 

  6. 신재만, 김동수, 한상섭, 1983: 설악산에 분포하는 마가목 천연림의 생태환경과 보호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삼림과학연구보고, 3, 1-9. 

  7. 오수영, 1978: 울릉도산 유관속 식물상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논문집(자연과학편), 25, 131-201. 

  8. 이미정, 2000: 울릉도 산림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9pp. 

  9. 이승옥, 2003: 마가목 추출물이 알코올 대사 및 해독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pp. 

  10. 이창복, 1985: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990pp. 

  11. 임양재, 유광수, 백광수, 1980: 울릉도의 식생. 중앙대학교 기술과학연구소 논문집, 7,1-12. 

  12. 임양재, 이은복, 김선영, 1982: 울릉도와 독도의 식생. 한국 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19, 97-111. 

  13. 임창수, 2000: 증발산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91-296. 

  14. 조현제, 배관호, 이병천, 홍성천, 1993: 울릉도 성인봉일대 원시림의 군락생태학적 연구. 한국임학회지, 82(2), 139-151. 

  15. ?채효석, 김성준, 정관수, 1999: 격자기반의 일 증발산량 추정모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지, 32(6), 721-730. 

  16. Araki, M., 1995: Forest Meteorology. Kawashima Shoten Pub. Co., Tokyo, Japan, 202pp. 

  17. Campbell, R. K. and J. F. Franklin, 1981: A comparison of habitat type and elevation for seed-zone classification of Douglas-fir in western Oregon. Forest Science, 27(1), 49-59. 

  18. Curtis, J. T. and R. 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m in the prairie forest bolder region Wisconsin. Journal of Ecology, 9, 161-166. 

  19. Daubenmire, R, 1966: Vegetation : Identification of typal communities. Science, 151, 291-298. 

  20. Gauch, Jr. H. G., G. B. Chase and R. H. Whittaker, 1974: Ordination of vegetation samples by Gaussian species distributions. Journal of Ecology, 55(6), 1382-1390. 

  21. Pielou, E. C., 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 Sons, New York, 168pp. 

  22. Tsuboi, Y., 1974: Handbook of Agricultural Meteorology. Yokendo Pub. Co., Tokyo, Japan, 854pp. 

  23. Webster, G. L., 1961: The altitudinal limits of vascular plants. Journal of Ecology, 42(3), 587-59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