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절식대사 시험에 의한 한우 수소의 유지에너지 요구량 결정에 관한 연구
Energy Requirements of Growing Hanwoo Bulls for Maintenance by Fasting Metabolism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1, 2003년, pp.113 - 122  

이상철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탁태영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김경훈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  윤상기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우 수소의 유지를 위한 정미에너지 및 대사에너지를 구하기 위하여 28회의 절식대사 시험을 수행하였다. 체중 100 kg에서 400kg까지 100kg 증체 간격(100, 200, 300, 400 kg)으로 7종류의 사료를 각각 유지에너지 수준만 급여하여 분뇨채취를 위한 대사시험(5일)과 열 발생량 측정을 위한 호흡대사시험(2일)을 수행한후 다시 5일간 완전 절식시켜 마지막 24시간 동안 호흡대사시험을 실시하였다. 3종의 사료는 배합사료+볏짚(실험 I), 배합사료+목건초(실험 II), 배합사료+옥수수 사일리지(실험 III)이었고, 조사료와 농후사료의 비율은 40:60으로 하였다. 실험 IV, V, VI, VII은 각각 볏짚, 목건초, 옥수수 사일리지, 배합사료를 단독 급여하였다. 체중 100kg에서는 절식대사량이 66.05/$W^{0.75}$로 높았으나, 체중 200-400kg 사이에서는 60-63kcal/$W^{0.75}$로 거의 비슷하였다. 절식대사량에서 절식시 근육 활동(기립시간과 기복횟수)에 소요된 에너지를 제외한 체중 100-400kg의 평균 기초대사량은 55.92kcal/$W^{0.75}$이었다. 절식대사량에 체조직의 분해산물로서 뇨 에너지 배설량을 추가적으로 보정한 NEm 요구량은 체중 100kg에서 가장 높아 69.10 kcal/$W^{0.75}$였으나, 체중 200-400kg 간에서는 62.07-65.76kcal/$W^{0.75}$로서 체중간에 차이가 없었다. 각 사료조합중 유지량을 급여한 사료조합의 에너지 균형에서 얻어진 에너지 축적량(retained energy)과 보정 NEm인 기초대사시 열 발생량으로 섭취한 대사에너지를 에너지 평형상태로 환산한 결과, 전 체중 평균 MEm 요구량은 102.69kcal/$W^{0.75}$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et and metabolizable energy requirements for maintenance of Hanwoo (Korean native cattle) bulls were estimated in twenty-eight fasting metabolism trials using seven different feeds at four stages of body weight(100, 200, 300 and 400kg). Three cattle for each of twenty-eight trials fed at a level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체중 100 kg에서 400kg까지 100kg 증체 간격(100, 200, 300, 400 kg)으로 7종류의 사료를 각각 유지에너지 수준만 급여 하여 분뇨채취를 위한 대사시험(5일)과 열 발 생량 측정을 위한 호흡대사시험(2일)을 수행한 후 다시 5일간 완전 절식시켜 마지막 24시간 동안 호흡대사시험을 실시하였다. 3종의 사료는 배합사료+볏짚(실험 I), 배합사료+목건초(실험 II), 배합사료+옥수수 사일리지(실험 Ⅲ)이었 고, 조사료와 농후사료의 비율은 40:60으로 하였다. 실험 IV, V, VI, VIIe 각각 볏짚, 목건 초, 옥수수 사일리지, 배합사료를 단독 급여하였다.
  • 호흡대사시험 동안의 가스분석을 위해 6900 형 가스채취장치(삼응공업)를 사용하였으며 호 흡시험 개시전에 표준가스를 통과시켜 zero 점 과 span 점을 맞춘 후 대기중 CO2, O2 및 CH4 농도는 4분간 30초 간격으로 분석하였고 호흡 챔버내의 농도는 6분간 30초 간격으로 분석하였다. CO2와 CH4 분석은 적외선 가스분석계, O2는 자기식 산소분석계를 사용하였다(이, 1991). 열 발생량의 계산은 다음의 Brouwer (1965) 공 식을 인용하였다.
  • 각 사료조합중 유지량을 급여한 사료조합의 에너지 균형(Table 1, 2, 3, 4)에서 얻어진 에너지 축적량(retained energy)과 보정 NEm인 기초 대사시 열 발생량(Table 6)을 더하여 NE요구량 을 구하고, 섭취한 대사에너지가 NE로 전환된 효율을 구하였다. 보정하여 에너지 평형상태로 환산한 평균 MEm 요구량은 Table 7에 나타나 있다.
  • 사료섭취시 열 발생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분뇨 채취시험기간 종료 2일전에 호흡대사장치로 이동하여 체열 발생량(Heat production)을 측정하였는데 처음 24시간 동안은 예비측정 자료로 하였고, 두 번째 24시간 동안의 자료를 본 시험의 자료로 이용하였다. 각각의 사료별 그리고 체중별 사료섭취에 따른 호흡 대사시험을 종료한 후 다시 5일간 완전 절식시켜 (체중 100 kg시 4일) 마지막 24시간 동안 FHP 를 측정하였으며, 절식대사 시험기간동안의 일별 기립시간과 기복횟수를 측정하였다. 사료는 사료 급여량을 오전 9시 30분과 오후 5시에 2회로 분할 급여하였고 물과 칼슘, 인 공급용 린칼블록은 자유 섭취케 하였다.
  • 공시사료는 본시험 7일동안 매일 일정량을 개체별로 따로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매일 채취한 분은 배설량을 정량한 후 혼합기에서 15~20분간 교반하여 1/10량을 채취, (cid:276)15(cid:141)(cid:1) 냉동실에 보관 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을 본시험 7일간 반복하면서 최종적으로 수집된 7일간의 분을 해동 시킨후 다시 교반하여 1/10량을 채취하여 60(cid:141)(cid:1)송풍건조기에서 48시간동안 건조시켜 분석에 임하였다. 그러나 분 질소 함량은 생분 상태로 분석하였다.
  • 조절되도록 하였다. 그 후 대사시험 동으로 이동시켜 7일간 대사틀 적응과 대사율 조절을 위한 예비시험과 7일간의 분뇨 채취시험을 실시하였다. 사료섭취시 열 발생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분뇨 채취시험기간 종료 2일전에 호흡대사장치로 이동하여 체열 발생량(Heat production)을 측정하였는데 처음 24시간 동안은 예비측정 자료로 하였고, 두 번째 24시간 동안의 자료를 본 시험의 자료로 이용하였다.
  • 실험 I(배합사료+볏짚), 실험 II(배합사료+목건초), 실험 Ⅲ(배합사료+옥수수 사일리지)은 조사료 와 농후사료의 비율이 40:60으로 하였고, 실험 IV, V, VI, VIIe 각각 볏짚, 목건초, 옥수수 사 일리지, 배합사료를 단독 급여하였다. 농후사료는 체중 100 kg시에는 조단백질 16%, TDN 72 %, 체중 200~300kg시에는 조단백질 14%, TDN 71%, 체중 400 kg시에는 조단백질 12%, TDN 70%로 각각 체중에 따라 조절 배합하였다. 그리고 볏짚은 4~5cm 크기로 절단하여 급여하였고 목건초는 오차드그라스 주종의 혼합 목건초를 이용하였다.
  • 그러나 분 질소 함량은 생분 상태로 분석하였다. 뇨는 배설량의 1/10량을 채취하여 냉동실에 보관 하였으며 7일간의 뇨를 혼합한 후 그 중 500 cc를 채취, 질소 및 열량 측정을 하였다. 분과 뇨의 분의 열량을 측정하기 위해 bomb calorie meter (Shimadzu, CA-3)를 이용하였으며 기타 성분은 AOAC (1990)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 75라고 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절식대사 시험 방법으로 한우 수소의 유지를 위한 정미에너지 및 대사 에너지를 구하였다.
  • 각각의 사료별 그리고 체중별 사료섭취에 따른 호흡 대사시험을 종료한 후 다시 5일간 완전 절식시켜 (체중 100 kg시 4일) 마지막 24시간 동안 FHP 를 측정하였으며, 절식대사 시험기간동안의 일별 기립시간과 기복횟수를 측정하였다. 사료는 사료 급여량을 오전 9시 30분과 오후 5시에 2회로 분할 급여하였고 물과 칼슘, 인 공급용 린칼블록은 자유 섭취케 하였다.
  • 그 후 대사시험 동으로 이동시켜 7일간 대사틀 적응과 대사율 조절을 위한 예비시험과 7일간의 분뇨 채취시험을 실시하였다. 사료섭취시 열 발생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분뇨 채취시험기간 종료 2일전에 호흡대사장치로 이동하여 체열 발생량(Heat production)을 측정하였는데 처음 24시간 동안은 예비측정 자료로 하였고, 두 번째 24시간 동안의 자료를 본 시험의 자료로 이용하였다. 각각의 사료별 그리고 체중별 사료섭취에 따른 호흡 대사시험을 종료한 후 다시 5일간 완전 절식시켜 (체중 100 kg시 4일) 마지막 24시간 동안 FHP 를 측정하였으며, 절식대사 시험기간동안의 일별 기립시간과 기복횟수를 측정하였다.
  • 시험계획에 의거 사료별 그리고 체중별 대사시험을 위한 3두의 공시축은 일반 시험우사에서 3주간 해당 사료를 섭취하면서 체내 대사율이 조절되도록 하였다. 그 후 대사시험 동으로 이동시켜 7일간 대사틀 적응과 대사율 조절을 위한 예비시험과 7일간의 분뇨 채취시험을 실시하였다.
  • 체중 100kg에서 400kg까지 100kg 증체 간격 (100, 200, 300, 400 kg)으로 7종류의 사료를 각각 유지에너지 수준(NRC, 1976)만 급여하여 유 지에 필요한 에너지 요구량을 조사하였다. 실험 I(배합사료+볏짚), 실험 II(배합사료+목건초), 실험 Ⅲ(배합사료+옥수수 사일리지)은 조사료 와 농후사료의 비율이 40:60으로 하였고, 실험 IV, V, VI, VIIe 각각 볏짚, 목건초, 옥수수 사 일리지, 배합사료를 단독 급여하였다. 농후사료는 체중 100 kg시에는 조단백질 16%, TDN 72 %, 체중 200~300kg시에는 조단백질 14%, TDN 71%, 체중 400 kg시에는 조단백질 12%, TDN 70%로 각각 체중에 따라 조절 배합하였다.
  • 체중 100kg에서 400kg까지 100kg 증체 간격 (100, 200, 300, 400 kg)으로 7종류의 사료를 각각 유지에너지 수준(NRC, 1976)만 급여하여 유 지에 필요한 에너지 요구량을 조사하였다. 실험 I(배합사료+볏짚), 실험 II(배합사료+목건초), 실험 Ⅲ(배합사료+옥수수 사일리지)은 조사료 와 농후사료의 비율이 40:60으로 하였고, 실험 IV, V, VI, VIIe 각각 볏짚, 목건초, 옥수수 사 일리지, 배합사료를 단독 급여하였다. 농후사료는 체중 100 kg시에는 조단백질 16%, TDN 72 %, 체중 200~300kg시에는 조단백질 14%, TDN 71%, 체중 400 kg시에는 조단백질 12%, TDN 70%로 각각 체중에 따라 조절 배합하였다.
  • 한우 수소의 유지를 위한 정미에너지 및 대 사에너지를 구하기 위하여 28회의 절식대사 시 험을 수행하였다. 체중 100 kg에서 400kg까지 100kg 증체 간격(100, 200, 300, 400 kg)으로 7종류의 사료를 각각 유지에너지 수준만 급여 하여 분뇨채취를 위한 대사시험(5일)과 열 발 생량 측정을 위한 호흡대사시험(2일)을 수행한 후 다시 5일간 완전 절식시켜 마지막 24시간 동안 호흡대사시험을 실시하였다. 3종의 사료는 배합사료+볏짚(실험 I), 배합사료+목건초(실험 II), 배합사료+옥수수 사일리지(실험 Ⅲ)이었 고, 조사료와 농후사료의 비율은 40:60으로 하였다.
  • 체중 100kg에서 400kg까지 100kg 증체 간격 (100, 200, 300, 400 kg)으로 7종류의 사료를 각각 유지에너지 수준(NRC, 1976)만 급여하여 유 지에 필요한 에너지 요구량을 조사하였다. 실험 I(배합사료+볏짚), 실험 II(배합사료+목건초), 실험 Ⅲ(배합사료+옥수수 사일리지)은 조사료 와 농후사료의 비율이 40:60으로 하였고, 실험 IV, V, VI, VIIe 각각 볏짚, 목건초, 옥수수 사 일리지, 배합사료를 단독 급여하였다.
  • 한우 수소의 유지를 위한 정미에너지 및 대 사에너지를 구하기 위하여 28회의 절식대사 시 험을 수행하였다. 체중 100 kg에서 400kg까지 100kg 증체 간격(100, 200, 300, 400 kg)으로 7종류의 사료를 각각 유지에너지 수준만 급여 하여 분뇨채취를 위한 대사시험(5일)과 열 발 생량 측정을 위한 호흡대사시험(2일)을 수행한 후 다시 5일간 완전 절식시켜 마지막 24시간 동안 호흡대사시험을 실시하였다.
  • 호흡대사시험 동안의 가스분석을 위해 6900 형 가스채취장치(삼응공업)를 사용하였으며 호 흡시험 개시전에 표준가스를 통과시켜 zero 점 과 span 점을 맞춘 후 대기중 CO2, O2 및 CH4 농도는 4분간 30초 간격으로 분석하였고 호흡 챔버내의 농도는 6분간 30초 간격으로 분석하였다. CO2와 CH4 분석은 적외선 가스분석계, O2는 자기식 산소분석계를 사용하였다(이, 1991).

대상 데이터

  • 농후사료는 체중 100 kg시에는 조단백질 16%, TDN 72 %, 체중 200~300kg시에는 조단백질 14%, TDN 71%, 체중 400 kg시에는 조단백질 12%, TDN 70%로 각각 체중에 따라 조절 배합하였다. 그리고 볏짚은 4~5cm 크기로 절단하여 급여하였고 목건초는 오차드그라스 주종의 혼합 목건초를 이용하였다.

이론/모형

  • 뇨는 배설량의 1/10량을 채취하여 냉동실에 보관 하였으며 7일간의 뇨를 혼합한 후 그 중 500 cc를 채취, 질소 및 열량 측정을 하였다. 분과 뇨의 분의 열량을 측정하기 위해 bomb calorie meter (Shimadzu, CA-3)를 이용하였으며 기타 성분은 AOAC (1990)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 CO2와 CH4 분석은 적외선 가스분석계, O2는 자기식 산소분석계를 사용하였다(이, 1991). 열 발생량의 계산은 다음의 Brouwer (1965) 공 식을 인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 O. A. 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2. Agricultural Research Council. 1980. The Nutrient requirements of Ruminant Livestock, Technical Reviews by an Agricultural Research Council Working Party. ARC, Farmham Royal, England. 

  3. Blaxter, K. L., Clapperton, J. L. and Wainman, F. W. 1966. Utilization of the energy and protein of the same diet by cattle and sheep. J. Agric. Sci. Camb. 67:67-75. 

  4. Brody, S. 1945. Bioenergetic and growth.Reinhold Plub. Co., New York. 

  5. Brouwer, E. 1965. “Report of sub-committee on constants and factors” In:Energy Metabolism of Farm Animals. K.L. Blaxter (Ed.), 3rd symposium, Troon, p.441-444. 

  6. Byers, F. M., Johnson, D. E. and Matsushima, J. K. 1976. Associative effects between corn and corn silage on energy partitioning by steers (Eds. M. Vermorel. p.253-256. 7th Symposium, Vichy, p. 225-228. 

  7. Mitchell, H. H. and Hamilton, T. S. 1941. The utilization by calves of the energy contained in balanced rations composed of combination of different feeds. J. Nutr. 22:541. 

  8. National Research Council. 1976. Nutrient require- ments of Domestic Animals: Nutrient requirements of beef cattle. 5th ed. NAS-NRC, Washinton, D.C. 

  9. National Research Council. 1984. Nutrient require- ments of Domestic Animals: Nutrient requirements of beef cattle. 6th ed. NAS-NRC, Washinton, D.C. 

  10. Ritzman, E. G. and Benedict, F. G. 1938. Nutri- tional physiology of the adult ruminant. Carnegie Inst. Washington, D.C. Plub. 

  11. Van Es, A. J. H. 1980. Net requirements for maintenance as dependent on weight. feeding level. sex and genotype. estimated from balance trials. In Energy and Protein Fedding standard Applied to the Rearing and Finishing of Beef Cattle. C. Beranger (Ed) Ann. Zootcchnic 29. No.h.s. p.73-84. 

  12. Vercoe, J. E. 1970. Fasting metabolism and heat increment of feeding in Brahman ${\times}$ British cross cattle. In Energy metabolism of Farm Animals. A. Schurch and C. Wenk. Zurich. Juris Druck (Eds). 5th symposium. Vitznau, p. 85-88. 

  13. Vercoe, J. E. 1973. The energy cost of standing and lying and adult cattle. Brit. J. Nutr, 30: 207-210. 

  14. Webster, A. J. F., Gordon, J. G. and Smith, J. S. 1976b. Energy exchanges of veal calves in relation to body weight, food intake and air temperature. Anim. Prod. 23:35-42. 

  15. 農林水産技術會議事務局:日本飼養標準. 肉用牛. (1987년판), 中央畜産會. 1987. 

  16. 農林水産技術食議事務局:日本飼養標準. 肉用牛. (2000년판), 中央畜産會. 2000. 

  17. 橋瓜德三. 針生程吉, 伊藤 稔. 增淵敏彦. 田邊忍. 森本 宏. 1967. 肉牛の 飼養標準に 關する 硏究. Il. 和牛の 維持養分要求量に 關する 硏究. 畜試硏報. 13:23-40. 

  18. 이상철. 1991. 한우 수소의 유지 및 증체시 에너지 대사와 단백질 이용효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 이상철, 탁혜영, 김경훈, 윤상기. 2002. 에너지 균형법에 의한 한우 수소의 유지 대사에너지 요구량.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5(I):123-130. 

  20. 탁태영, 강태홍, 김강식. 1983 대사시험에 의한 한우 성빈우 유지시 양분요구량에 관한 연구 한축지 25(2):117-137 

  21. 한국사료성분표. 1982. 한국 사료정보센타. 국제 사료연구소. 

  22. 한국표준사료성분표. 1988. 농촌진흥청 축산시험장.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