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야생 복숭아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ies of Prunus persica Tree Extracts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2 no.4, 2004년, pp.289 - 294  

차배천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생명산업학과) ,  이은희 (상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생명산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류의 수명이 연장되고 노령화 사회로 발전됨에 따라 다양한 성인병이 야기되고 있고, 이들 성인병의 원인이 활성산소에 의한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다양한 성인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 안전하고 우수한 항산화 및 항염증 물질을 천연물로부터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자생식물의 하나인 야생복숭아 가지에 대하여 그들의 MeOH 엑스를 필두로 한 분획물 엑스를 대상으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DPPH 법을 사용하여 야생복숭아 가지의 분획물 엑스에 대한 1차 라디칼 소거작용 검색 시험을 한 결과 야생복숭아 가지 의 n-BuOH 엑스와 EtOAc 엑스가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1차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야생복숭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한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Ferric-Thiocyanate 법을 이용한 지질 과산화 억제작용 시험한 결과 야생복숭아 가지 의 EtOAc 엑스가 천연 항산화제인 tocopherol 및 합성 항산화제인 BHA 보다 우수한 탁월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Rancimat법에 의한 지질 산패 억제 실험을 실시한 결과 또한 야생복숭아 가지의 EtOAc 엑스가 tocopherol보다 우수하고 BHA보다는 약간 우수한 강력한 지질 산패 억제 효과를 보였다. Hyaluronidase 저해에 의한 항염증 효과 시험에서는 항산화 실험에서 전반적으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보인 야생복숭아 가지의 EtOAc 엑스가 ketoprofen보다는 약하나 ibuprofen과 indomethacin보다는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는 야생복숭아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의 활성 주성분 분획은 EtOAc 엑스임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re continuously produced at a high rate as a by-product of aerobic metabolism. Several lines of evidence provided that ROS appears to cause to develop aging and various diseases. High level of hyaluronic acid with decreased molecular weight has been detected in pati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993)의 보문만 있을 뿐 이들에 대한 상세한 항산화 효과 및 항염증 효과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1차 항산화 검색인 free radical 소거효과 및 2차 항산화 검색인 지질 과산화 억제, 지질 산패 억제에 의해 야생복숭아의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고 동시에 hyaluronidase의 저해에 의한 항염증 효과를 검토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 개발되어진 천연물질보다도 보다 안전하고 우수한 활성을 발현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물질을 천연물로부터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민간에서 류머티스 관절염에 효과가 있는 개복숭아로 알려 진 야생복숭아에 대하여 DPPH법 , Ferric- Thiocyanate 법 및 Rancimat 법에 의해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고, hyaluronidase 저해에 의한 항염증 효과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기 에 보고하고자 한다.
  • (1995) 의 약용식물들의 hyaluronidase 저해 효과에 대한 연구 보문이 발표되어져 있다. 연구는 대부분의 약용식물들에 대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연구가 수행되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상업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항산화제는 BHA 및 BHT와 같은 합성 항산화제와 천연항산화제인 tocopherol이 상용되고 있고, 항염증제로서는 ibuprofen과 ketoprofen 등의 합성 약물들이 상용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기 연구된 생약 외에 연구가 미진한 자생식물들에 있어서도 강력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자원이 있으리라는 기대 속에 야생복숭아인 개복숭아에 대하여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ranen A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AOCS. 52:59-63 

  2. Chen CW, Ho CT (1995) Antioxidant properties of polyphenols extracted from green and black teas. J. Food Lipids 2:35-46 

  3. Choi JS, Lee JH, Park HJ, Kim HG, Young HS, Mun SI (1993)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s and marine algae and its active principles from Prunus davidiana. Korean J. Pharmacogn. 24:299-303 

  4. Choi JS, Yokozawa T, Oura H (1991)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flavonoids from Prunus davidiana. J. Nat. Prod. 54:218-224 

  5. Chung IM, Kim KH, Ahn JK (1998) Screening of korean medicinal and food plants with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Medicinal Crop Sci. 6:311-322 

  6. Coleman MD, Fernandes S, Khanderia LA (2003) A preliminary evaluation of a novel method to monitor a triple antioxidant combination (vitamins E, C and $\alpha$ lipoic acid) in diabetic volunteers using in vitro methaemaglobin formation. Environ. Toxicol. Pharmacol. 14:69-75 

  7. Corl MM (1974) Antioxidant activity of tocopherol and ascorbyl palmitate and their mode of action. JAOCS 51:321-325 

  8. Fukuzawa K, Takaishi Y (1990) Antioxidants. J. Act. Oxyg. Free Rad. 1:55-70 

  9. Ghosh P (1994) The role of hyaluronic acid(hyaluronan) in health and disease: interactions with cells, cartilage and components of synoval fluids, Clin. Exp. Rheumatol. 12:82-85 

  10. Halliwell B (1991) Drug antioxidant effects. Drugs 42:569-605 

  11. Hanninen O, Kaartinen K, Rauma AL, Nenonen M, Torronen R, Hakkinen S, Adlercreutz H, Laakso J (2000) Antioxidants in vegan Diet and rheumatic disorders. Toxicology 155:45-53 

  12. Inatani R, Nakatani N, Fuwa H (1963) Antioxidative effect of the constituents of rosemary(Rosmarinus officinalis L.) and their derivatives. Agric. Biol. Chem. 47:521-528 

  13. Jeong SJ, Ko YS, Ahn NH, Kim YC (1998) Hyaluronidase inhibitor from Uncariae famulus et Uncus. Korean J. Phamacogn. 29:169-172 

  14. Kim YS, Noh YK, Lee GI, Kim YK, Lee KS, Min KR (1995) Inhibitory effects of herbal medicines on hyaluronidase activity. Korean J. Pharmacogn. 26:265-272 

  15. Lee NH, Lee SJ, Jung DS, Bu HJ, Yang HC, Riu KZ (2001) Screening of the tyrosinase inhibition and hyaluronidase inhibition activities,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using plants in Cheju, Korean J. Pharmacogn. 32:175-180 

  16. Lee SE, Hwang HJ, Ha BS, Jeong HS, Kim JH (2003) Screening of medicinal plan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y. Life Sci. 73:167-179 

  17. Lim DK., Choi U, Shin DH (1996) Antioxidative actibity of some solvent extract Caesalpinia sappan L. Korean J. Food Sci. Technol. 28:77-82 

  18. Marquina MA, Corao GM, Araujo L, Buitrago D, Sosa M (2002) Hyal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from the polyphenols in the fruit of blackberry (Rubus fruticosus B.). Fitoterapia 73:727-729 

  19. Meyer K (1947) The biological significance of hyaluronic acid and hyaluronidase. Physiol. Rev. 27:335-359 

  20. Miliauskas G, Venskutonis PR, Van-Beek TA (2004) Screening of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ome medicinal and aromatic plant extracts. Food Chemistry 85:231-237 

  21. Monsen ER (200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the antioxidant nutrients: vitamin C, vitamin E, selenium, and carotenoids. J. Am. Diet. Assoc. 100:637-640 

  22. Olas B, Wachowicz B (2002) Resveratrol and vitamin C as antioxidants in blood platelets. Thromb. Res. 106:143-148 

  23. Papa S, Skulachev VP (1997) Reactive oxygen species, mitochondria, apoptosis and aging. Mol. Cell Biochem. 174:305-319 

  24. Rehman Z, Habib F, Shah WH (2004) Utilization of potato peels extract as a natural antioxidant in soy bean oil. Food Chemistry 85:215-220 

  25. Uchiyama M, Suzuki Y, Fukuzawa K (1968) Biochemical studies of physiological function of tocopheronolactone. 1. Yakugaku Zasshi 88:678-683 

  26. Uematsu C, Sasakuma T, Ogihara Y (1991)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e stone fruit group of Prunus as revealed by restriction fragment analysis of chloroplast DNA. Japan J. Genet. 66:59-69 

  27. Yoshikawa M, Harada E, Miki A, Tsukamoto K, Liang SQ, Yamahara J, Murakami N (1994) Antioxidant constituents from the fruit hulls of Mangosteen (Garcinia mangodtana L.) originating in Vetnam. Yakugaku Zasshi 114:129-133 

  28. 생약학연구회 (1994) 현대생약학. 학창사. 서울. p. 322-323 

  29. 木村善行, 興田拓道 (1998) 抗酸化劑としての和漢藥. 日本臨床 46:2286-2292 

  30. 皆川信子 (1993) 活性酸素が關與すゐ代表的疾患. フアルマシア 29:1029-10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