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카페인의 비강 분무액의 제제설계 및 점막 투과 증진
Formulation of Caffeine Nasal Sprays and Its Enhanced Permeation through Rabbit Nasal Mucosa 원문보기

藥劑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harmaceutical sciences, v.34 no.2, 2004년, pp.131 - 138  

노은선 (동덕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전인구 (동덕여자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nasal delivery of caffeine for the elimination of sleepiness. The effects of various vehicles, solubilizers, and enhancers on the permeation of caffeine through rabbit nasal mucosa was observed. The permeation study was carried out using a Fran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紬 그러나 가IPBCD는 초산부세렐린의 비강 흡수에 별다른 영향이 없었고기) 프로게스테론의 셀룰로오스 막 투과를 억제하였다.15) 따라서 이 연구에서의 2HP&CD는 흡수촉제로서의 용도보다는 카페인의 가용화 및 결정형성 억제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피넨, 테르피네올, 카르비올, 카르본, 피페리톤, 멘톤, 시클로헥센 옥사이드, 리모넨 옥사이드, 피넨 옥사이드, 시클로펜텐 옥사이드, 아스카리돌, 리모넨, 멘톨 및 신네올 등의 테르펜류는 경피 흡수 촉진제로 종종 이용되어 왔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졸음제거용 저용량 카페인의 비강흡수 분무제를 설계하고자 여러 용제 중 카페인의 용해 특성을 조사하여 카페인의 고농도 용액을 확보하고 비점막 투과성이 양호한 조성물을 검토함으로써 카페인의 비강 투여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카페인의 비강 투여용 분무건조 조성물의 제조와 microparticle의 특성에 관해서는 검토된바 있지만'4)비강 점막 투과나 흡수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 카페인의 비강 투여용 분무건조 조성물의 제조와 microparticle의 특성에 관해서는 검토된바 있지만'4)비강 점막 투과나 흡수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카페인의 용해성을 개선시키고자 수성 및 비수 성의 여러 용제에서의 용해 특성을 조사함과 동시에 수식화된 시클로덱스트린류와의 포접복합체 형성15)및 hydrotropes金) 를 통한 가용화를 모색하였다. 또 토끼의 비강 점막 추출액에서 카페인의 안정성을 검토하였으며 토끼의 비강 점막을 적출하여 여러 용제, 농도변화, 첨가제들이 카페인의 비강 투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비강투여 조성물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 따라서 수용성 고분자로 포비돈과 코폴리비돈, 포접복합체 형성에 의한 가용화제로 알려진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 및 hydrotropic agentS. 사용되는 안식향산나트륨 및 니코틴산아미드를 사용하고 이들의 농도변화가 카페인의 용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5% 포비돈 및 코폴리비돈 수용액 중 카페인의 용해도는 물에서의 용해도에 비해 각각 6.
  • 카페인의 고농도 비강 투여 용액 중 카페인의 물리적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5, 7 및 10% 안식향산나트륨 용액과 각각에 코폴리비돈을 5% 첨가한 액, 5, 7, 10% 니코틴산아미드 용액과 각각에 코폴리비돈을 5% 첨가한 액을 조제한 후- 바이알에 Im/씩 넣고 카페인 50mg을 넣어 용해한 후, 4P에 보관하면서 경시 침전 형성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F. Chen, K. Xu, J.P. Petzer, R. Staal, Y.H. Xu, M. Beistein, P.K. Sonsalla, K. Castagnoli, N. Castagnoli and M.A. Schwarzschild, Neuroproteetion by caffeine and A $_{2A}$ adenosine receptors inactivation in an model of Parkinson's disease, J. Neurosci., 21, 1-6 RC143 (2001) 

  2. S.E. O'Connell and F.J. Zurzola, Rapid quantitative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caffeine levels in plasma after oral dosing, J. Pharm. Sci., 73, 1009-1011 (1984) 

  3. J.E.F Reynolds, K. Parfitt, A.V. Parsons and S.C. Sweetman, Ed., Martindale, The Extra Pharmacopoeia, 29th Edition, The Pharmaceutical Press, 1989, pp. 1522-1524 

  4. G. Potard, C. Laugel, A. Baillet, H. Schaefer and J.P. Marty, Quantitative HPLC analysis of sunscreens and caffeine during in vitro percutaneous penetration studies, Int. J. Pharm, 189, 249-260 (1999) 

  5. F.P. Bonina, V. Carelli, G. Di Colo, L. Montenegro and E. Nannipieri, Vehicle effects on in vitro skin permeation of and stratum corneum affinity for model drugs caffeine and testosterone, Int. J. Pharm., 100, 41-47 (1993) 

  6. Huang, C., Kimura, R., Nasser, R. and Hussain, A.A., Mechanism of nasal absorption of drugs I : physicochemical parameters influencing the rate of in-situ nasal absorption of drugs in rats. J. Pharm. Sci., 74, 608-611 (1985) 

  7. K.S.E. Su, K.M. Campanale and C.L. Gries, Nasal drug delivery system of a quaternary ammonium compound: clofilium tosylate, J. Pharm. Sci., 73, 1251-1254 (1984) 

  8. A. Fisher, K. Brown, S. Davis, G. Parr and D.A. Smith, The effect of molecular size on the nasal absorption of watersoluble compounds in the albino rat, J. Pharm. Pharmacol., 39, 367-362 (1987) 

  9. T. Sakane, M. Akizuki and M. Yoshida, Transport of cephalexin to the cerebrospinal fluid directly from the nasal cavity, J. Pharm. Pharmacol., 43, 449-451 (1990) 

  10. T. Sakane, M. Akizuki, S. Yamashida, T. Nadia, M. Hashida and H. Sezaki, The transport of a drug to the cerebrospinal fluid directly from the nasal cavity: the relation to the lipiphilicity of the drug, Chem. Pharm. Bull., 39, 2456-2458 (1991) 

  11. L. Illum, Nasal drug delivery: possibilities, problems and solutions, J. Control. ReI., 87, 187-198 (2003) 

  12. A.A. Hussain, A. Dakkuri and S. Itoh, Nasal absorption of ondansetron in rats : an alternative route of drug delivery, Cancer Chemother. Pharmacol., 45, 432-434 (2000) 

  13. C.R. Behl, H.K. Pirnplaskar, A.P. Sileno, J. deMeireles and V.D. Romeo, Effect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other factors on systemic nasal delivery. Adv. Drug Del. Rev., 29, 89-116 (1998) 

  14. C. Sacchetti, M. Artusi, P. Santi and P. Colombo, Caffeine microparticles for nasal administration obtained by spray drying, Int. J. Pharm., 242, 335-339 (2002) 

  15. H.J. Choi and I.K. Chun, Complexation of progesterone with cyclodextrins and design of aqueous parenteral formulations. J. Kor. Pharm. Sci., 31, 151-160 (2001) 

  16. H.J. Kim and I.K. Chun, Design and evaluation of biphenyldimethyl dicarboxylate injections, Yakhak Hoeji, 44, 263-271 (2000) 

  17. J.H. Moon and I.K. Chun, Enhanced dissolution and permeation of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using solid dispersions, J. Kor. Pharm. Sci., 29, 227-234 (1999) 

  18. A.S. Harris, E. Svensson, Z.G. Wagner, S. Lethagen and I.M. Nilsson, Effect of viscosity on particle size, deposition, and clearance of nasal delivery systems containing desmopressin, J. Pharm. Sci., 77, 405-408 (1988) 

  19. T.J. Aspden, J.D.T. Mason, N.S. Jones, J. Lowe, O. Skaugrud and L. Illlum, Chitosan as a nasal delivery system: the effect of chitosan solutions on in vitro and in vivo mucociliary transport rates in human turbinates and volunteers, J. Pharm. Sci., 86, 509-513 (1997) 

  20. C.R. Behl, H.K. Pirnplaskar, A.P. Sileno, W.J. Xia, W.J. Gries and J.C. deMeireles, Optimization of systemic nasal delivery with pharmaceutical excipients, Adv. Drug Del. Rev., 29, 117-133 (1998) 

  21. K. Matsubara, K. Abe, T. Irie and K. Uekama, Improvement of nasal bioavailability of 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agonist, buserelin, by cyclodextrin derivatives in rats, J. Pharm. Sci., 84, 1295-1300 (1995) 

  22. B.W. Barry and A.C. Williams, Terpenes as Skin Penetration Erihancers : In K.A. Waters and J. Hadgraft, Ed., Pharmaceutical Skin Penetration Enhancement, Marcel Dekker, Inc., 1993, pp. 95-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