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탄닌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장미과 식물 지유의 생리활성기능을 살펴 식품 및 화장품산업의 천연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각종 암세포에 대한 세포증식 억제율은 시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Staphylococcus aureus, S. epidermidis, E. coli와 같은 세균에 대한 clear zone 형성을 관찰한 결과 추출물 0.5 mg/disc, 1 mg/disc의 농도에서 모든균에서 clear zone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생균수측정의 결과 500 ppm및 1,000 ppm에서 균수가 서서히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탄닌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장미과 식물 지유의 생리활성기능을 살펴 식품 및 화장품산업의 천연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각종 암세포에 대한 세포증식 억제율은 시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Staphylococcus aureus, S. epidermidis, E. coli와 같은 세균에 대한 clear zone 형성을 관찰한 결과 추출물 0.5 mg/disc, 1 mg/disc의 농도에서 모든균에서 clear zone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생균수측정의 결과 500 ppm및 1,000 ppm에서 균수가 서서히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The cytotoxic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anguisorbae officinalis L., which is known as a major tannin source, were investigated to check the possible use of natural nutraceutics or cosmetics. The S. officinalis inhibited cancer cell growth in a dose-dependant manner. Also, the clear zone again...
The cytotoxic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anguisorbae officinalis L., which is known as a major tannin source, were investigated to check the possible use of natural nutraceutics or cosmetics. The S. officinalis inhibited cancer cell growth in a dose-dependant manner. Also, the clear zone against various bacteria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S. epidermidis, E. coli were evident at 0.5 and 1 mg/disc. When the concentrations were 500 and 1,000 ppm, growth of all aerobic bacteria increased at early stage but decrease afterwar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 officinalis had the anti-skin cancer activity as well a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kin-related bacteria.
The cytotoxic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anguisorbae officinalis L., which is known as a major tannin source, were investigated to check the possible use of natural nutraceutics or cosmetics. The S. officinalis inhibited cancer cell growth in a dose-dependant manner. Also, the clear zone against various bacteria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S. epidermidis, E. coli were evident at 0.5 and 1 mg/disc. When the concentrations were 500 and 1,000 ppm, growth of all aerobic bacteria increased at early stage but decrease afterwar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 officinalis had the anti-skin cancer activity as well as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kin-related bacteria.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지유를 이용하여 항암 및 항균효과를 살펴보아 식품 및 화장품의 소재로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즉, 암세포주를 96 well plate에 1X104 cells/well이 되게 180ul 분주하고 시료를 농도별로 조제하여 20ul 첨가한 후 37℃, 5% CO2 incubatoi에서 48시간 배양하였고, 대조군은 시료와 동량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여기에 5 mg/m/ 농도로 제조한 MTT 용액 20ul를 첨가하여 4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각 well 당 DMSO : EtOH(l: 1) 150 B를 가하여 30분간 교반한 뒤 ELISA reader로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암세포주의 성장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세균배양 및 생육 저해환(clear zone) 측정. 항균력 검색실험에서 전 배양 및 본 배양을 위한 액체 배지는 tryptic soy broth(TSB)를 사용하였으며, 생육 저해환 및 생균수 측정을 위한 고체배지는 tryptic soy agar(TSA)를 사용하였다. 균액의 희석액으로는 qJ% peptone수를 사용하였다.
추출물의 항균력 측정은 paper disc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평판 배지에 배양된 각 균주를 1백금이 취해서 tryptic soy broth 10ml에서 18~24시간 배양하여 활성화시킨 후 다시 TSB배지10 m/에 균액을 0.1m/ 접종하여 3~6시간 본 배양한 후 TSA 평판배지 1개당 균액을 약 IO, cells되게 접종하여 멸균 면봉으로 균일하게 도말하였다. 멸균된 8 mm filter paper disc (Whatman, Japan)를 평판배지에 올려놓은 다음 50|iZ/disc가 되도록 지유 추출물을 농도별로 흡수시켜 35℃에서 18~24시간 배양하여 disc주위의 clear zone(mm)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1m/ 접종하여 3~6시간 본 배양한 후 TSA 평판배지 1개당 균액을 약 IO, cells되게 접종하여 멸균 면봉으로 균일하게 도말하였다. 멸균된 8 mm filter paper disc (Whatman, Japan)를 평판배지에 올려놓은 다음 50|iZ/disc가 되도록 지유 추출물을 농도별로 흡수시켜 35℃에서 18~24시간 배양하여 disc주위의 clear zone(mm)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측정. 추출물의 항균력 검색은 생균수 측정으로 측정하였다. 즉, 평판 배지에 배양된 각 균주를 1백금이량 취해서 TSB배지 10 m/에서 18~24시간 배양시켰다.
대상 데이터
시료 조제 및 실험재료. 본 실험에 사용된 지유(Sanguisorbae officinalis L.)는 대구 약령시장에서 구입하여 물로 세척하여 음건 후 사용하였고, 시료의 추출은 시료 100g에 80% EtOH 10 배의 양을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침지한 후,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상등액은 별도로 모아두고, 침전물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하여 분리된 상등액을 원심분리 및 여과, 농축하여 동결건조 후 냉동실에 보관하여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세포주는 피부암세포인 SK-MEL-2, SK-MEL- 31, G361 와 유선암세포인 MDA-MB-231 및 폐암세포인 A549 를 사용하였다.
)는 대구 약령시장에서 구입하여 물로 세척하여 음건 후 사용하였고, 시료의 추출은 시료 100g에 80% EtOH 10 배의 양을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침지한 후,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상등액은 별도로 모아두고, 침전물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하여 분리된 상등액을 원심분리 및 여과, 농축하여 동결건조 후 냉동실에 보관하여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세포주는 피부암세포인 SK-MEL-2, SK-MEL- 31, G361 와 유선암세포인 MDA-MB-231 및 폐암세포인 A549 를 사용하였다. 세포 배양을 위한 배지는 RPMI 1640 medium(Gibco BRL Co.
세포주는 피부암세포인 SK-MEL-2, SK-MEL- 31, G361 와 유선암세포인 MDA-MB-231 및 폐암세포인 A549 를 사용하였다. 세포 배양을 위한 배지는 RPMI 1640 medium(Gibco BRL Co., USA)과 fetal bovine serum(Gibco BRL Co., USA), penicillin/stheptoinycin(Gibco BRL Co., USA)을 사용하였으며, 암세포증식 억제 실험에서는 MTT(Sigma Chemical Co., Ltd. USA), Trypsin 250(Difco, USA), Trypan blue stain 0.4%(Gibco BRL Co., USA)와 Haemacytometer (Marienfeld, Germany)를 사용하였다. 항균력 검색실험에서 사용한 균주는 그람 양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 ATCC 13565, Staphylococcus epidertnidis ATCC 12228, 그람 음성균인 Escherichia coll ATCC 43895를 계대배양하여 사용하였다.
, USA)와 Haemacytometer (Marienfeld, Germany)를 사용하였다. 항균력 검색실험에서 사용한 균주는 그람 양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 ATCC 13565, Staphylococcus epidertnidis ATCC 12228, 그람 음성균인 Escherichia coll ATCC 43895를 계대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전배양 및 본 배양을 위한 액체 배지는 tryptic soy broth (Difco, USA)를 사용하였으며 생육 저해환 측정 및 생균수 측정을 위한 고체배지는 tryptic soy agar(Difco, USA)를 사용하였고, 균액의 희석액으로는 0.
본 실험에 이용한 세포 SK-MEL-2(malignant melanoma), SK-MEL-31 (malignant melanoma), G361(melanoma), MDA-MB-231 (breast cancer), A549(lung cancer)은 Korean Cell Line Bank(KCLB)로부터 구입하였다. 각 세포의 배양은 10% fetal bovine serum(FBS) 과 100 unit/mZ 의 penicillin/ streptomycin을 1%를 첨가한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7℃, 5% CO2 incubator게서 배양였다.
본 실험에 이용한 세포 SK-MEL-2(malignant melanoma), SK-MEL-31 (malignant melanoma), G361(melanoma), MDA-MB-231 (breast cancer), A549(lung cancer)은 Korean Cell Line Bank(KCLB)로부터 구입하였다. 각 세포의 배양은 10% fetal bovine serum(FBS) 과 100 unit/mZ 의 penicillin/ streptomycin을 1%를 첨가한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7℃, 5% CO2 incubator게서 배양였다.
이론/모형
MTT assay에 의한 항암 효과 측정. 추출물의 암세포 주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는 Charmicha이 등의 방법(2)에 따라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즉, 암세포주를 96 well plate에 1X104 cells/well이 되게 180ul 분주하고 시료를 농도별로 조제하여 20ul 첨가한 후 37℃, 5% CO2 incubatoi에서 48시간 배양하였고, 대조군은 시료와 동량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추출물의 항균력 측정은 paper disc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평판 배지에 배양된 각 균주를 1백금이 취해서 tryptic soy broth 10ml에서 18~24시간 배양하여 활성화시킨 후 다시 TSB배지10 m/에 균액을 0.
성능/효과
1~5와 같이 나타났다. 암세포 모두 시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세포증식 억제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0ppm에서 모두 50% 이상의 생장 저해가 나타났다. Kim 등은 솔잎 추출물이 폐암 세포인 A549에 대하여 85.
지유의 항균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포도상구균인 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인 Escherichia coll 및 피부 상재균인 Staphylococcus epidermidis 에 대한 clear zone 형성을 관찰한 결과 Table 1과 같이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 0.5mg/disc, 1 mg/disc의 농도에서 모든 균에 대한 clear zone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시료농도 1 mg/ disc 에서 Staphylococcus aureuse] 경우 11.4 + 0.94 mm, Staphylococcus epidermidise} 경우 10.4+0.75 mm, Escherichia coli의 경우 8.9±041 mm의 clear zone을 관찰할 수 있었다. Kim 등⑹은 민들레 chloroform 분획물이 1.
5mg/disc의 농도에서 Staphylococcus aureuse] 경우 11 mm, Escherichia coli의 경우 9 mm의 저해환을 형성시켰다고 보고하였고, Kang 등은갓의 에탄올 추출물이 시료농도 2mg/disc에서 Staphylococcus aureuse}- Escherichia coli를 저해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들에 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지유추출물이 더 낮은 농도에서 이들의 증식을 억체함을 알 수 있었다.
6과 같이 나타났다. 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경우 모든 시료농도에서 균의 증식이 억제되었으며, 12시간 배양한 경우 대조구와 시료농도 lOOppm에서는 4 log cycle의 차이를 나타내었고, 36시간의 경우 l, 000ppm에서는 균이 사멸하여 8.5log cycle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Staphylococcus aureuse} 경우 사용한 시료농도 모두에서 생육이 저해되었으며, 100ppm의 경우 24시간까지 서서히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나, 500 ppm에서 48시간, 1,000 ppm에서 36시간 내에 균이 사멸되었다.
참고문헌 (17)
National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herbology professor association. (1994) Herbology, Yonglim Press, Seoul, pp. 392-393
Cheng, D.-L. and Cao, X.-P. (1992) Pomolic acid derivatives from the root of Saneuisorba officinalis. Planta Med. 59, 240-245
Bastow, K. R, Bori, I. D., Fukushima, Y, Kashiwada, Y, Tanaka, T., Nonaka, G., Nishioka, I. and Lee, K.-H. (1993) Inhibition of DNA topoisomerases by sanguiin H-6, a cytotoxic dimeric ellagitannin from Sanguisorba officinalis. Planta Med. 59, 240-245
Yokozawa, T., Chen, C. P., Tanaka, T. and Kitani, K. (2000) A study on the nitric oxide production-suppressing activity of Sanguisorbae Radix components. Biol. Pharm. Bull. 23, 717-722
Tanaka. T., Nonaka, G. and Nishioka, I. (1983) 7-0-Ga11oy1-(+)-catechm and 3-0-ga11oy1procyamdin B-3 from Sanguisorba officinalis. Phytochemistry 22, 2575-2578
Nonaka. G., Tanaka. T. and Nishioka, I. (1982) Taimins and related compounds. Part 3. A new phenolic acid, sanguisorbic acid dilactone and three new ellagitanins, sanguiins H-l, H-2, and H-3, from Sanguisorba officinals. J. Chem. Soc. Perkin Translation 4, 1067-1777
Biemond, P., Swaak, A. J., van Eijk, H. G. and Koster, J. F. (1988) Superoxide dependent iron release from fenitin in inflammatory diseases. Free Radic. Biol, Med. 4, 185-198
Yoshihiro, M., Masato, R, Akihito, Y, Yutaka, S., Shigenon, F. and Hiroshi, S. (2001) Tiiterpene glycosides from the roots Saneuisorba officinats. Phytochemistry 57, 773-779
Kokoska, L., Polesny, Z., Raba, V., Nepovim, A. and Vanek, T. (2002) Screening of some Siberian medicinal plants for antimicrobial activity. J. Ethnophamacol. 82, 51-53
Elena, A. G., Petnchenko, V. M., Solodnikov, S. U., Suhinina, T. V, Kline, M. A., Glenn, C., Chi, N. and Howard, M. (2002) Anticancer and antithrombin activity of Russian plants. J. Ethnophamacol. 81, 337-342
Charmichael, J., DearaS, W. G., Gazdar, A. F, Minna, J. D. and Michell, J. 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i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Park, J. G., Kramer, B. S., Steinber, S. M., Carmichael, J., Collins, J. M., Minna, J. D. and Gazdar, A. F. (1987) Chemosensitivity testing of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 lines using a tetrazolium-based colorimetnc assay. Cancer Res. 47, 5875-5879
Kim, E. J., Jung, S. W., Choi, K. P. and Ham, S. S. (1998) Cytotoxic effect of the pine needle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30, 213-217
Chung, K. S., Yoon, K. D., Kwon, D. J., Hong, S. S and Choi, S. Y. (1997) Cytotoxicity testing of fermented soybean products with various tumour cells using MTT assay.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477-482
Kim, H. K., Chun, H. J. and Han, Y. S. (1998)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dandelion extract. Kor. J. Soc, Food Sci. 14, 144-147
Kang, S. K. (1995) Isol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ntimicrobial substance obtained from leaf mustard. J. Kor. Soc. Food Nutr. 24, 695-701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