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미자 추출물의 혈당 강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poglycemic Effects of Crude Extracts of Schizandrae Fructus 원문보기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47 no.2, 2004년, pp.258 - 264  

고병섭 (한국한의학연구원) ,  박성규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  최수봉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  전동화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최미경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박선민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의학에서 당뇨병 (소갈) 처방으로 사용되는 옥천산 처방의 성분 중의 하나인 오미자의 포도당 이용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오미자를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메탄올과 물을 섞은 용액으로 단계별로 XAD-4 column 으로 분획하였다. 오미자를 복용한 후 혈당을 낮추기 위해서는 인슐린처럼 작용하는 인슐린성 물질이거나, 인슐린 작용을 향상시키는 인슐린 민감성 물질로 작용하거나, 또는 ${\alpha}-glucoamylase$ 활성을 억제하여 탄수화물의 소화를 방해 작용이 있어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섬유아세포와 지방세포 3T3-L1에서 각 분획층이 이러한 3가지 기전에 관여하는 지를 조사하였다. 오미자 분획물은 인슐린성 물질로 작용하거나 ${\alpha}-glucoamylase$의 활성을 저하시켜 탄수화물의 소화를 방해하지 않았다. 그러나 오미자 분획층은 인슐린의 작용을 향상시켜 포도당의 흡수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매우 컸다. 특히 오미자 분획층 중 Fr. 4(메탄올 60%)와 Fr. 5(메탄올 80%)는 지방세포 3T3-L1에서 포도당의 흡수를 현저하게 증가시켜 인슐린을 50 ng/ml를 처리한 것보다도 효과적으로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켰다. Fr. 4와 Fr. 5에서 포도당 흡수가 증가한 것은 Fr. 4와 5가 인슐린 작용을 향상시켜 세포막에 GLUT4양을 증가시진 결과이었다. 결론적으로 오미자 중 특히 Fr. 4와 Fr. 5에 인슐린 민감성 제제가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poglycemic effect of Schizandrae Fructus (SF) extract containing in Okchun-san was determined on 3T3-L1 fibroblasts and adipocytes by investigating insulin-like activity, insulin sensitizing activity and ${\alpha}-glucoamylase$ suppressing activity. SF were extracted by using 70% etha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또한, 둥굴레 뿌리에 함유되어 있는 steroidal glycosides가 90% 췌장 제거 백서에서 인슐린 민감성 물질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4)본 연구팀이 한약재가 혈당 강하에 대한 효과가 있는 지를 조사할 때 표적(target)으로 조사한 것은 인슐린의 작용을 향상시키는 인슐린 민감성 효과, 인슐린처럼 작용하는 인슐린 성 효과, 탄수화물의 소화 흡수를 방해하는 a-glucoamylase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는 지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 그러나 동의보감에 기록된 당뇨병(소갈) 처방의 하나인 옥천산의 주원료로 오미자가 사용되어 왔고 이는 오미자가 혈당 강하 능력이 있음을 잠재적으로 의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가 인슐린 작용을 향상시키는 인슐린 민감성 효과, 인슐린처럼 작용하는 인슐린성 물질로서의 효과 그리고 a-glucoamylase 의 억제제로의 효과가 있는 지 여부를 조사하여 오미자가 당뇨병 치료에 있어서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에 대한 연구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인슐린 민감성 물질을 탐색하는데 지방세포 3T3- L1 을 사용한 이유는 지방세포 3T3-L1은 in vivo에 존재하는 대사성 피이드백 루프에 관련된 복잡한 문제와 연루되어 있지 않으면서 인슐린 수용체와 GLUT4를 세포막에 가지고 있어 인슐린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인슐린을 처리하면 지방세포 3T3-L1 의 세포막에 인슐린이 결합하고 이것은 일련의 인슐린 신호전달체계인 insulin receptor substrate-1 (IRS 1 )-phosphatidy 1 inositol-3-phosphate(PI3 kinase)-Akt의 과정을 증폭시킨다.
  • 오미자 추출 분획물이 포도당 섭취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는 지방세포 3T3-L1에 소량의 인슐린인 lng/m/과 오미자의 분획물을 처리하였을 때 50 ng/ml 인슐린을 처리하였을 때와 마찬가지로 포도당의 흡수를 증가시키는 지를 조사하였다. 오미자 추출 분획물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DeFronzo, R.A., Bonadonna, R.C. and Ferrannini, E. (1992) Pathogenesis of NIDDM: A balanced overview. Diabetes Care 15, 318-353 

  2. Kadowaki, T., Rara, K., Yamauchi, T., Terauchi, Y., Tobe, K. and Nagai, R (2003) Molecular mechanism of insulin resistance and obesity. Exp. BioI. Med. (Maywood) 228, 1111-1117 

  3. Min, R.K. (1992) Clin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diabetic patients. Kor. j. Diabetes 16, 163-170 

  4. Kim, J., Choi, S., Kong, B., Oh, Y. and Shinn, S. (2001) Insulin secretion and sensitivity durin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in Korean lean elderly women. J. Korean Med. Sci. 16, 592-597 

  5. Fineman, M. S., Bicsak, T. A., Shen, L. Z., Taylor, K., Gaines, E., Varns, A., Kim, D. and Baron, A. D. (2003) Effect on glycemic control of exenatide (synthetic exendin-4) additive to existing metformin and/or sulfonylurea treatment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6, 2370-2377 

  6. Tosi, F., Muggeo, M., Brun, E., Spiazzi, G., Perobelli, L., Zanolin, E., Gori, M., Coppini, A. and Moghetti, P. (2003) Combination treatment with metformin and glibenclamide versus single-drug therapies in type 2 diabetes mellitus: a randomized, double-blind, comparative study. Metabolism 52, 862-867 

  7. Oudjeriouat, N., Moreau, Y, Santimone, M., Svensson, B., Marchis-Mouren, G. and Desseaux, V. (2003) On the mechanism of alpha-amylase. Eur. J. Biochem. 270,3871-3879 

  8. Hae, J. (1990) DongEuBoGam, NamSanDang, Seoul, pp. 140-142 

  9. Takahashi, N., Kawada, T., Goto, T., Yamamoto, T., Taimatsu, A, Matsui, N., Kimura, K., Saito, M., Hosokawa, M., Miyashita, K .and Fushiki, T. (2002) Dual action of isoprenols from herbal medicines on both PPARgamma and PPARalpha in 3T3-L1 adipocytes and HepG2 hepatocytes. FEBS Lett. 514, 315-322 

  10. Kamei, R, Kadokura, M., Kitagawa, Y., Hazeki, O. and Oikawa, S. (2003) 2'-benzyloxychalcone derivatives stimulate glucose uptake in 3T3-L1 adipocytes. Life Sci. 73, 2091-2099 

  11. Ju, Y.S., Park, S. and Ko, B.S. (2002) Effect of Insulin-like Action and Insulin Signal Transduction on 3T3-Ll Adipocytes from Coisis Semen. Kor. J Chinese Med. 23, 103-114 

  12. Ko, B.S., Kim, H.K and Park, S. (2002) Insulin sensitizing and insulin-like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Kalopanax pictus NAKA fractions in 3T3-L1 adipocytes. Kor. J. Agri. Chem. Biotech. 45, 42-46 

  13. Choi, S. B. and Park, S. (2002) The effects of water extract of Polygonatum Odoratum (Mill) Druce on insulin resistance in 90% pancreatectomized rats. J. Food Sci. 67, 2375-2379 

  14. Choi, B. S. and Park, S. (2002) A steroidal glycoside from Polygonatum odoratum (Mill.) Druce. improves insulin resistance but does not alter insulin secretion in 90% pancreatectomized rats. Biosci. Biotech. Biochem. 66, 2036-2043 

  15. Bao, T. T., Liu, G. T., Song, Z. Y., Xu, G. F. and Sun, R .H. (1980) A comparison of the pharmacologic actions of 7 constituents isolated from Fructus schizandrae. Chin. Med. J. 93, 41-47 

  16. Members of Pharmacognosy. (1999) In HyundDai pharmacognosy, Hak ChangSa, pp. 434-438 

  17. Mimaki, Y., Watanabe, K., Ando, Y., Sakuma, C., Sashida, Y., Furuya, S. and Sakagarni, H. (2001) Flavonol glycosides and steroidal saponins from the leaves of Cestrum noctumum and their cytotoxicity. J. Nat. Prod. 64, 17-22 

  18. Gray, A .M. and Flatt, P. R. (1999) Insulin-reasing and insulinlike activity of the traditional antidiabetic plant Coriandunn sativum (coriander). Brit. J. Nutr. 81, 203-209 

  19. McNeel, R. L. and Mersmann, H. J. (2003) Effects of isomer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porcine adipocyte growth and differentiation. J. Nutr. Biochem. 14, 266-274 

  20. Lakshrnanan, J., Elmendorf, J. S. and Ozcan, S. (2003) Analysis of insulin-stimulated glucose uptake in differentiated 3T3-L1 adipocytes. Methods Mol. Med. 83, 97-103 

  21. Shintani, M., Nishimura, H., Yonemitsu, S., Ogawa, Y., Hayashi, T., Hosoda, K., Inoue, G. and Nakao, K. (2001) Troglitazone not only increases GLUT4 but also induces its translocation in rat adipocytes. Diabetes 50, 2296-2300 

  22. Chou, S. C. and Goldatein, A. (1960) Chromogenic groupings in the Lowry protein determination. Biochem. J. 75, 109-115 

  23. Huo, H., Guo, X., Hong, S., Jiang, M., Liu, X. and Liao, K .(2003) Lipid rafts/caveolae are essential for insulin-like growth factor-1 receptor signaling during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induction. J. Bioi. Chem. 278, 11561-11569 

  24. Gerhold D. L., Liu F., Jiang G., Li Z., Xu J., Lu M., Sachs, J. R., Bagchi A., Fridman A, Holder D. J., Doebber T. W., Berger J., Elbrecht A., Moller D. E. and Zhang B. B. (2002) Gene expression profile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its regulation by peroxisome proliferation-activated receptorgamma agonists. Endocrinology 143, 2106-2118 

  25. Miki, H., Yamauchi, T., Suzuki, R., Komeda, K., Tsuchida, A., Kubota, N., Terauchi, Y., Kamon, J., Kaburagi, Y., Matsui, J., Akanuma, Y., Nagai, R., Kimura, S., Tobe, K .and Kadowaki, T. (2001) Essential role of insulin receptor substrate 1 (IRS-1) and IRS-2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Mol. Cell BioI. 21, 2521-2532 

  26. Yamamoto, H., Kurebayashi, S., Hirose, T., Kouhara, H. and Kasayama, S. (2002) Reduced IRS-2 and GLUT4 expression in PPAR gamma 2-induced adipocytes derived from C/EBPbetaand C/EBPdelta-deficient mouse embryonic fibroblasts. J. Cell Sci. 115, 3601-3607 

  27. Kameda, K., Chikaki, M., Morimoto, C., Jiang, M. and Okuda, H. (1996) Insulin like action of trans-10-hydroxy-2-decanoic acid and its related substance. J. Traditional Med. 13, 456-457 

  28. Ciaraldi, T. P., Kong, A .P., Chu, N. V., Kim, D. D., Baxi, S., Loviscach, M., Plodkowski, R., Reitz, R., Caulfield, M., Mudaliar, S. and Henry, R. R. (2002) Regulation of glucose transport and insulin signaling by troglitazone or metformin in adipose tissue of type 2 diabetic subjects. Diabetes 51, 30-36 

  29. Krenisky, J. M., Luo, J., and Carney, J. R .(1999) Isolation and antihyperglycemic activity of bakuchiol from Otholobium pubsecens (Fabaceae), a peruvian medicinal plant used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Biol. Pharm. Bull. 22, 1137-1140 

  30. Hong, S. J., Fong, J. C. and Hwang, J. H. (2000) Effect of crude drugs on glucose uptake in 3T3-Ll adipocyte. Gaxiong Yi Xue Ke Xue Za Zhi 16, 445-451 

  31. Herrmann, B. L., Schatz, H. and Pfeiffer, A .(1998)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the acute effect of acarbose on blood glucose variations. Med. Klin. 93, 651-655 

  32. Carrascosa, J. M., Molero,J. C., Fermin, Y., Martinez, C., Andres, A .and Satrustegui, J. (2001) Effects of chronic treatment with acarbose o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obese diabetic Wistar rats. Diabetes Obes. Metab. 3, 240-248 

  33. Scheen, A .J. (1998) Clinical efficacy of acarbose in diabetes mellitus: a critical review of controlled trials. Diabetes Metab. 24, 311-3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