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아 거대배아미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 from Germinated Giant Embryonic Rices 원문보기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47 no.3, 2004년, pp.293 - 299  

강미영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설이 (아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고희종 (서울대학교 농학과) ,  남석현 (아주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거대배아미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지질과산화 억제활성 및 활성산소종의 소거활성을 중심으로 일반미와 대조하여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발아처리는 전반적으로 환원력 및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superoxide radical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상승시켰으며, 발아처리에 의한 항산화 활성의 증가현상이 화청거대배아미에서 가장 뚜렷하였다. Superoxide radical 소거작용에 있어서는 남풍거대배아미가 전체적인 소거활성은 높았으나, 발아처리에 의한 활성의 상승률은 역시 화청거대배아미가 가장 높았고, 그 작용기작은 시료에 의한 직접적인 radical 소거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체 독성이 가장 큰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조사한 결과, 화청거대배아미가 전체적인 소거활성 뿐 아니라, 발아처리에 의한 소거활성의 증가율도 가장 높았으며, 그 작용기작도 $Fe^{2+}$의 포족이 아닌 직접적인 라디칼 소거임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in vitro에서 관찰된 시료의 ROS 소거활성은 TPA하여 유도된 HL-60 세포의 ROS 생산을 억제하는데 유효하게 작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 of two giant embryonic rices, Nampung giant embryonic rice and Hwachung giant embryonic rice, were investigated mainly focusing on their ability to inhibit lipid peroxidation and scavenge reactive oxygen specie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general rice.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실험 결과, 거대 배아미와 발아된 거대 배아미는 전반적으로 항산화 효과가 우수해지고 있음이 in vitro 실험계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가 생체 내에서도 발현되는가의 여부를 검토하기 위해서 이들 쌀 추출물이 세포 내 산화 수준을 저하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premyeloblastoma cell line인 HL-60 세포를 지시 세포로 사용하여 배양 세포계에서 ROS 소거 활성 측정계를 이용하였다.
  • 치료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풍 벼 및 화청벼에 각각 MNU(methylnitrosourea)를 처리하여 육종 개발한 남풍 거대 배아미 및 화청거대배아미를 3일간 발아처리 후, 항산화 활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함으로써 이들 발아거대배아미의 건강 기능성 식품 제조용 신소재로써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본 실험에서 superoxide radical 소거 활성은 HPX/XOD에서 발생하는 superoxide radical을 실험에 사용하였기 때문에, 관찰된 시료의 소거 활성이 xanthine oxidase의 활성 자체를 blocking 함으로써 원천적으로 radicale 생성을 불가능하게 만든 결과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서 쌀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Table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실험에서 사용한 쌀 시료들의 경우에는 낮은 농도에서는 xanthine oxidase의 활성을 20~30% 정도 억제하고 있으나, 고농도의 경우에는 오히려 억제 효과가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 산소호흡으로 세포에 너 지를 획득하는 생물에 있어서 호흡 과정의 부산물로 발생하는 유해 활성산소종(ROS; Reactive Oxygen Species)이 생체 고분 자의. 산화를 통하여 노화나 암발생 등 만성질환의 원인이 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거대배아미 추출물이 ROS를 소거할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실험 계는 HPX/XOD system으로서 hypoxanthine과 xanthine oxidase에 의해서 uric acid가 생성되는 과정에서 superoxide radical이 생성되는데, 반감기가 매우 짧은 이 superoxide radical(ROS)을 spin trapping agent와 반응 시 켜서 안정화시킨 다음, ESR spectroscopy로서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superoxide radical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가장 직접적이고 신 뢰성이 있는 방법이며, spectrogram에서 나타난 DMPO-O2 adduct의 peak가 시료처리로 변화된 높이를 측정함으로써 radical 소거효과를 계산하였다.
  • Fe2+ 이온에 대한 소거 활성 측정. 시료에서 측정된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이 Fenton 반응의 유발에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Fe2+을 시료가 포족함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인지, 또는 시료가 radical을 직접적으로 소거하는 현상인지에 대한 의문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쌀 추출물들이 Fe財을 특이적, 비특이적으로 chelation 하는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Table 6에서 알 수 있듯이 고농도의 처리조건에서도 Fe2+ 이온에 대한 chelation의 효과가 음의 수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거대 배아미 및 발아 거대 배아미 시료들은 Fe2+ 의 포족을 통해서가 아니라 hydroxyl radical에 대한 직접적인 소거작용을 통하여 hydroxyl radical 소거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거대 배아미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 성을 특히 지질 과산화 억제 활성 및 생체 고분자의 산화작용을 촉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각종 활성산소종의 소거 활성을 중심으로 일반미와 대조하여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발아처리는 특히 일반미에서 DPPH radical에 대한 전자공여능 및 지질과 산 화 억제 활성을 대폭 상승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ato, H. and Omura, T (1981) New endosperm mutations induced by chemical mutagens in rice, Oriza sativa, L. lap. 1. Breed. 31, 316-326 

  2. Kim, K. H., Park, S. Z., Koh, H. 1. and Heu, M. H. (1992) In Proc. of SABRAO Intern. Syrnp. on the Impact of Biological Research on Agricultura Productivity, New mutants for endosperm and embryo characters in rice: Two dull endosperm and giant embryo. pp. 125-131 

  3. Cho, B. M., Yoon, S. K. and Kim, W. 1. (1985) Changes in amino acid and fatty acids composition during germination of rapeseed. Korean l. Food Sci. Technol. 17, 371-376 

  4. Hsu, D., Leung, H. K., Finney, P. L. and Morad, M. M. (1980) Effect of germination on nutrative value and baking properties of dry peas, lentils and faba beans. l. Food Sci. 45, 87-91 

  5. Choi, K. S. and Kim, Z. U. (1985) Changes in lipid components during germination of mungbean. Korean 1. Food Sci. Technol. 17, 271-275 

  6. Colmenarse De Ruiz, A. S. and Bressani, R. (1990) Effect of germina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ative valus of amaranth grain. Cereal Chern. 67, 519-523 

  7. Lee, M. H., Son, H. S., Choi, O. K, Oh, S. K. and Kwon, T. B. (1994)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neral contents during buckwheat germination. Korean l. Food Nutri. 7, 267-273 

  8. Kim, I. S., Kwon, T. B. and Oh, S. K. (1985) Study on the chemical change of general composition fatty acids and minerals of rapeseed during germination. Korean 1. Food Sci. Technol. 17, 371-376 

  9. Ikeda, K., Arioka, K., Fujii, S., Kusano, T. and Oku, M. (1984) Effect on buckwheat protein quality of seed germination and changes in trypsin inhibitor content. Cereal Chern. 61, 236-240 

  10. Kim, W. I., Kim, N. M. and Sung, H. S. (1984) Effect of germinationon phytic acid and soluble minerals in soymilk.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358-362 

  11. Ahn, B. and Yang, C. B. (1985) Effects of soaking, germination, incubation and autoclaving on phytic acid in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516-521 

  12. Lee, M. H. and Shin, J. C. (1999) In Proc. Korean Society of Rice Research Conference, Rediscovering Korea Rice and Development Direction: New techniques for the cultivation of quality rice. pp. 239-263 

  13. Nakagawa, K. and Onota, A. (1996) Accumulation of yaminogutyric acid (GABA) in the rice germ. Food Processing 31, 43-46 

  14. Juliano, B. O. (1985) In Rice-Chemistry and Technology. AACC, New York 

  15. Droge, W (2002) Free radicals in the physiological control of cell function. Physiol. Rev. 82, 47-95 

  16. Lin, R. I. S. (1994) In functional Foods: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s. Chapman & Hall, New York 

  17. Troll, W, Lim, J. S. and Frenkel, K. (1994) In Food Phytochemicals for Cancer prevention: Prevention of cancer by agents that supress production of oxidants. ACS Symp. Series 547,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18. Yen, G. C. and Chen, H. Y (1995)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tea extracts in relation to their antimutagenicity. 1. Agric. Food Chern. 43, 27-32 

  19. Osawa, T and Namiki, M. (1981) A novel type antioxidant isolated from leaf wax of Eucalyptus leaves. Agric. BioI. Chern. 45, 735-740 

  20. Mitsuta, K., Mizuta, Y, Kohno, M. and Hiramatsu, M. (1990) The application of ESR spin-trapping technique to the evaluation of SOD-like activity of biological substances. Bull. Chern. Soc. lpn. 63, 187-190 

  21. Noro, T, Noro, K., Miyase, T, Kuroyanagi, M., Umehara, K.,Ueno, A and Fukushima, S. (1987)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by anthraquinones. Chern. Pharm. Bull. 35, 4314-4316 

  22. Feldberg, P. S., Carew, J. A, and Paradise, R. (1985) Probing $Cu(II)/H_2O_2$ damage in DNA with a damage-specific DNA binding protein. 1. Free Radic. BioI. Med. 1, 459-466 

  23. Rosen, G. M. and Rauckman, E. J. (1981) Spin trapping of free radicals during hepatic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Proc. Natl. Acad. Sci. USA 78, 7346-7349 

  24. Lin, J.-K., Chen, p-c., Ho, C.-T and Lin-Shiau, S.-Y (2000)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and suppress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in HL-60 cells by theaflavin-3,3'digallate, (-)-epigallocatechin-3-gallate, and propyl gallflte. l. Agric. Food Chern. 48, 2736-2743 

  25. Chang, S. M., Nam, S. H. and Kang, M. Y (2002) Screening of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timutagenicity and mutagenicity of the ethanolic extracts from legumes. Korean l. Food Sci. Technol. 34, 1115-1122 

  26. Nam, S. H. and Kang, M. Y (2003) Screening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legume species. l. Korean Soc. Agric. Chern. Biotechnol. 46, 32-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