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아 메밀 추출물의 항산화.항균활성 및 세포독성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ies of Fagopyrum esculentum $M{\\ddot{o}}ench$ Extract in Germinated Seeds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4 no.1, 2006년, pp.1 - 7  

황은주 ((주)식물보호기술) ,  이숙영 (동신대학교 산업용가속기이용생물연구센터) ,  권수정 (동신대학교 산업용가속기이용생물연구센터) ,  박민희 (동신대학교 산업용가속기이용생물연구센터) ,  부희옥 (동신대학교 산업용가속기이용생물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물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은 예로부터 건강증진 및 질병치료를 위하여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고, 실제로 morphine, ephedrine 등과 같이 천연물에서 유래한 의약품이 현재에도 질병치료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메밀 (Fagopyrum esculentum $M{\ddot{o}}ench$)의 proanghocyanidine, rutin, lignan 등은 항산화, 항균활성 및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으로 보고 (Cassidy, 1996; Rym of al., 1996)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메밀의 기능성 물질의 확보와 가공을 통한 원료 고부가가치 창출을 목표로 국내산 메밀을 발이 길이별로 추출물을 제조하여 식품성 성분의 생리활성 인자를 탐색할 목적으로 각 길이별 추출물로 항산화활성 및 항미생물 활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항산화 활성에서 DPPH의 50%를 환원 시키는데 필요한 시료의 양$(RC_{50})$은 무발아에서 $50.41\;{\mu}g/mL$, 발아길이 10 mm에서 $80.57\;{\mu}g/mL$, 발아길이 2 mm에서 $93.77\;{\mu}g/mL$, 발아길이 5 mm에서 $107.09\;{\mu}g/mL$순으로 천연항산화제인 Vit. C $5.98\;{\mu}g/mL$보다는 약하지만, 합성항산화제인 BHT $163.96\;{\mu}g/mL$보다는 월등히 뛰어난 라디칼 소거능이 확인되었다. 발아 길이별 각 추출물의 항미생물 활성은 최고농도 $40\;mg/mL$에서 그람양성균인 S. aureus의 투명저지대의 직경이 4{\sim}10\;mm$ 였고, 그람음성균인 P. aeruginosa는 $2{\sim}9\;mm$의 범위에서 증식이 억제되어 항균활성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그 외의 균주에서는 본 실험에서 사용한 첨가농도로는 완전한 증식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무발아 시료와 비교할 때 발아가 진행되면서 항균력이 떨어졌다.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는 최고농도 $800\;{\mu}g/mL$에서 Calu-6 세포의 경우 발아 길이 5 mm 시료에서 95.12%, 무발아 추출물은 87.15%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동일 농도에서 발아 길이 5 mm인 시료의 경우 SNU-601에 대하여 85.33%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유방암세포인 MCF-7과 대장암세포인 Caco-2의 경우 최대농도의 시료를 첨가한 경우에도 세포증식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메밀의 발아 길이별 $IC_{50}$값을 살펴보면, Calu-6에서 발아 길이 5 mm 추출물에서 $301.06\;{\mu}g/mL$, SNU-601에서 2 mm 추출물이 $510.20\;{\mu}g/mL$로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즉, Calu-6와 SNU-601 세포주에 대한 $IC_{50}$은 대조군에 비해 발아에 의하여 세포독성 효과를 증가되었지만, MCF-7와 Caco-2에 대한 항암효과는 없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of usage of germinated-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ddot{o}}ench$) by examining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cytotoxic effects of extracts from different germinated root length of buckwheat. Antioxidant activ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아길이별 메밀싹의 생리활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발아길이별 메탄{{= match }}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와 항미생물 활성 그리고 세포독성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이러한 생리활성을 구명함으로써 건강기능성 식품 제조용 신소재나 천연물질 생산원료 및 의약품 신소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발아메밀의 이용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검정하였다. 이러한 생리활성을 구명함으로써 건강기능성 식품 제조용 신소재나 천연물질 생산원료 및 의약품 신소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발아메밀의 이용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auer AW, Kibby MM, Sherris JC, Turck M (1996)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ing by standardized single disc method. AM J. Clin Pathol 45:493-496 

  2. Braud-Wiliams W, Cuvelier ME, Berset C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Technology. 28:25-30 

  3. Cassidy A (1996) Physiological effects of phytoestrogens in relation to cancer and other human health risks. Proc Sym On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in Plant Fo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ndon 

  4. Cho BM, Yoon SK, Kim WJ (1985) Changes in Amino Acid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during Germination of Rape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17(5):371-376 

  5. Choe M, Kim JD, Park KS, Oh SY, Lee SY (1991) Effect of Buckwheat Supplementation on Blood Glucose Levels and Blood Pressure in Rats. Korean J.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4):300-305 

  6. Colmenarse De Ruiz AS, Bressani R (1990) Effect of germina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 of amaranth grain. Cereal Chem. 67(6):519 

  7. Dnizot FD, Rita L (1986)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growth and survival: Modifications to the tetrazolium dye procedure giving improved sensitivity and reliability. J. Immunol Methods 22:271-277 

  8. Dorrell DG (1971) Fatty acid composition of buckwheat seed. J.A.O.C.S. 48, 693 

  9. Han WS (2005) Isol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Aralia cordata Thunb. Extrac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4):182-185 

  10. Havsteen B (1983) Flavonoids a class of natural products of high pharmacological potency. Biochem. Pharm. 32:1141 

  11. Hsu K, Leung HK, Finney PL, Morad MM (1980) Effect of germination on nutritive value and baking properties of dry peas, lentils, and faba beans. J. Food Sci. 45:87 

  12. Ikeda K, Kusano T (1983)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the trypsin inhibitors from buckwheat seed. Agric. Biol, Chem. 47(7):1481 

  13. Ikeda K, Arioka K, Kujii S, Kusano T, Oku M (1984) Effect on buckwheat protein quality of seed germination and changes in trypsin inhibitor content. Cereal Chem, 61(3):236 

  14. Kang DZ, Um JB, Lee SK, Lee JH (2003) Content of Rutin and Monacolin K in the Red Buckwheat Fermented with Monascus rub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2):242-245 

  15. Kim JS, Park YJ, Yang MH, Shim JW (1994) Variation of rutin content in seed and plant of buckwheat germplasms (Fagopyrum esculentnm Moench). Korean J. Breed. 26(4):384-388 

  16. Kim SJ (2005)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Mul-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2(3):263-266 

  17. Koh MS (2004) Antimicrobila activity of Saururus chinensis Baill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7):1098-1105 

  18. Ko MS, Park BH (1983) Changes of Sugar Contents of Mung Bean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ence and Nutrition. 12(3):236-239 

  19. Kwak CS, Lim SJ, Kim SA, Park SC, Lee MS (2004)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korean buckwheat, sorghum, millet and jpb's te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6):921-929 

  20. Kwon TB (1994) Changes in rutin and fatty acids of buckwheat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ence and Nutrition. 7(2): 124-127 

  21. Lee GD, Yoon SR, Kim JO, Hur SS, Seo KI (2004) Monitoring on the Tea with Steaming and Drying Process of Germinated Buckwheat. Korean J. Food Science and Nutrition. 33(1):212-217 

  22. Lee JH, Chang YI, Chang KS (2000) Effect of Gamma Irradiations on Physical Properties of Buckwheat Starch. Food Engineering Progress. 4(2): 110-119 

  23. Lee JS, Maeng YS, Ju JS (1992) The effect of buckwheat supplement on metabolic status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nnual Report of Korea Nutr. Hallym Univ. 9, 21 

  24. Lee JS, Park SJ, Sung KS, Han CK, Lee MH, Jung CW, Kwon TB (2000) Effects of germinated-buckwheat on blood pressure, plasma glucose and lipid levels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1):206-211 

  25. Lee MH, Son HS, Choi OK, Oh SK, Kwon TB (1994)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neral contents during buckwheat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ence and Nutrition. 7(4):267-273 

  26. Lee MH, Woo SJ, Oh SK, Kwon TB (1994) Changes in contents and composition of dietary fiber during buckwheat germination. Korean J. Food Science and Nutrition. 7(4):274-283 

  27. Lee OH, Jung SH, Son JY (2004) Antimicrobial activity of clove extract by extraction solv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3):494-499 

  28. Macrae R, Robinson RK, Sadler MJ (1993) Buckwheat, Encyclopaedia of food science, food technology and mutiation. 1:516 

  29. Maeng YS, Park HK, Kwon TB (1990) Analysis of Rutin Contents in Buckwheat and Buckwhea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7):732-737 

  30. Marshall HC, Proneranz Y (1982) Description, breeding, production and utilization. Adv. Cereal Sci. Technol., 5:127 

  31. Marshall HG, Pomeranz Y, Chapter G (1982) Buckwheat description, breeding, production and utilization. In Volume V, Advances in cereal and technology, Am. Ass. of Cereal Chem. 157 

  32. Mazza G (1988)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buckwheat seed. Cereal Chem. 65(2):122 

  33. Nakamura S, Kato A, Kobayashi K (1991) New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lysozyme-dextran conjugate. J. Agric Food Chem. 39:647-650 

  34. Oh DH, Lee MK, Park BK (1999) Antimicrobial activites of commercially available tea on the harmful foodborne organ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00-106 

  35. Ohara J, Ohinata H, Muramatsu N, Oike T, Matsuhashi T (1989) Enzymatic degradation of rutin in proressing of buckwheat noddles, Nippon Shakuhin Kogyo Gakkaishi. 36(2):121 

  36. Ohara T, Ohinata H, Muramatsu N, Matsuhashi T (1989) Determination of rutin in buckwheat food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Nippon Shakuhin Kogyo Gakkaishi. 36(2): 114 

  37. Park CG, Bang KH, Lee SE, Cha MS, Sung JS, Park HW, Seong NS (2001) Antibacterial activity from medicinal plant extracts on the Staphylococcus aureu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9(4):251-258 

  38. Rym KH, Eo SK, Kim YS, Lee CK, Han SS (1996) Antimicrobial activity and acute toxicity of natural rutin. Kor. J. Pharmacogn.27(4):309-315 

  39. Soda T, Kato J, Kiribuchi S, Aoki H (1981) Properties of buckwheat protein from the standpoint of food processing.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28(6):297 

  40. Wee JH, Moon JH, Park KH (2004)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ratension with Antimicrobial Activities from the Peanut Sh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4):643-647 

  41. 김영순 (2001) 메밀(Fagopyrum esculenturm Moench) 잎의 성장 단계별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 보건과학논집. 27(1):19-23 

  42. 홍문화 (1990) 허준의 동의보감, 도서출판. p. 4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