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포도 품종을 달리한 한국산 포도주의 제조 및 기호도 분석
Development of Korean Red Wines Using Various Grape Varieties and Preference Measurement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6 no.6 = no.178, 2004년, pp.911 - 918  

이승주 (한국식품연구원) ,  이장은 (한국식품연구원) ,  김성수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산 거봉, 캠벨, 머스켓 베일리 A, 쉐레단 품종을 이용하여 일반 적포도주와 스위트 와인을 제조하였으며, 사이벨 품종을 이용하여 백포도주, 네오머스켓 품종의 화이트 스위트 와인을 제조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적포도주 제조에는 캠벨과 머스켓 베일리 A 품종이 타 품종과 비교해 적합한 산도 및 색도를 보였으나, 캠벨의 경우 당 함량이 다소 낮고 신 맛이 강한 결함이 있어 이를 위한 향후 가당 방법 및 포도재배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백포도주 제조용 품종인 사이벨의 경우 산도가 매우 높아 발효에 적합하지 않았으며, 신맛의 증가로 인해 기호도가 떨어져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감산 연구가 요구된다. 기호도 조사 결과 품종 별로는 캠벨, 머스켓 베일리 A로 제조된 포도주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향후 선별된 품종을 이용한 포도주의 고품질화 연구가 수행될 예정이며 축척된 제조 기술로 현지의 기술 지도를 통하여 제품의 산업화 및 상품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ee dry red, four sweet red, and two white wines were prepared with domestic grape varieties: Gerbong (G), Campbell Early (C), Muscat Bailey A (M), Seredan (Sd), Seibel (Sb), and Neo-muscat (N). Sample wines were analyzed for titratable acidity, ethanol, pH, sugar content, color intensity and hu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거봉, 캠벨, 머스켓 베일리 A, 쉐레단을 이용한 적포도주와 사이벨, 네오머스켓을 이용한 백포도주를 제조하여 각 품종간의 특색을 알아보며 기호도 분석을 통해 양조용으로 우수한 포도 품종을 선발하여 향후 고품질의 농가형 포도주를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Park ER, Kim KS.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varieties of grapes. Korean J. Postharv. Sci. Technol. 7: 366-372 (2000) 

  2. The Annual Report of Food Industry. The AF News Press, Seoul, Korea. pp. 200-205 (2002) 

  3. Bisson LF, Waterhouse AL, Ebeler SE, Walker MA, Lapsley JL.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international wine industry. Nature 418: 696-699 (2002) 

  4. Boulton RB, Singleton VL, Bisson LF, Kunkee R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Winemaking. Aspen Publishers, Inc., Gaithersburg, MD, USA (1996) 

  5. Ebeler SE. Analytical chemistry: Unlocking the secrets of wine flavor. Food Rev. Int. 17: 45-64 (2001) 

  6. Etievant PX. Wine. pp. 483-546. In Maarse H. (ed.), Volatile Compounds of Food and Beverages. Dekker, New York, NY, USA (1991) 

  7. Park YH. Studies on the grape variety and the selection of yeast strain for wine-making. Korea. J. Korean Agr. Chem. Soc. 18: 219-227 (1975) 

  8. Byun SS. A comparative 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es of red wine. Korean J. Nutr. 13: 139-144 (1980) 

  9. Yoo JY, Seog HM, Shin DH, Min BY. 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rape and quality evaluation of their wine. Korean J. Appl. Microbiol. Bioeng. 12: 185-190 (1984) 

  10. Kim JS, Kim SH, Han JS. Effect of sugar and yeast addition on red wine fermentation using Campbell Early.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16-521 (1999) 

  11. Lee SY, Lee KH, Chang KS, Lee SK. The changes of aroma in wine treated with reverse osmosis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7-24 (2000) 

  12. Kim JS, Sim JY, Yook C. Development of red wine using domestic grape Campbell Early.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19- 326 (2001) 

  13.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l., 13th ed. pp. 746.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0) 

  14. Che SK, Kang KS, Ma SJ, Bang KU, Oh MH. Standard Food Analysis. Ji-gu Publishing Co., Seoul, Korea (2000) 

  15. Ough CS, Amerine MA. Methods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es (2nd ed),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NY, USA (1988) 

  16. Zoecklein BW, Fugelsang KC, Gump BH, Nury FS. Production Wine Analysis.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NY, USA. pp. 129-168 (1990) 

  17. Lawless HT, Heymann H. Sensory Evaluation of Food: Principals and Practices. Chapman and Hall, San Francisco, CA, USA (1988) 

  18. Park WM, Park HG, Rhee, SJ, Lee CH, Yoon KE. Suitability of domestic grape, cultivar Campbell's Early for production of red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90-596 (2002) 

  19. Amerine MA, Singleton VL. Wine: An Introduction, (2nd e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CA, USA. pp. 117-133 (1996) 

  20. Lee SO, Park MY. Immobilaization of Leuconostoc oenos cells for wine deacidific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2: 299- 304 (1980) 

  21. Lee JE, Shin YS, Sim JK, Kim SS, Koh KH. Study 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 (II).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64-169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