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체만족도와 신체인지도에 따른 의복맞음성(Apparel Fit) 만족도
Apparel Fit by Body Perception and Body Satisfactio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4 no.1, 2004년, pp.69 - 81  

이경림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  박숙현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pparel fit satisfaction according to item(jacket, pants, skirt) by body perception and body satisfaction. This research was done by a survey metho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rosstab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

주제어

참고문헌 (36)

  1. 이옥희 (2000). 이상적인 인체미와 복식디자인의 착시효과-사적 연구를 중심으로- .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Davis. L. L. (1985). Perceived somatotype. body-cathexis. and attitudes toward clothing among college female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61. pp. 199-125 

  3. Kefgen, M.. & Touchie-Specht, P. (1986), Individuality in clothing selection and personal appearance(4th ed.). New York: Macmillan. pp, 167-180 

  4. Kwan, Y. H. & Parham, E. S. (1994). Effects of state of fatness perception on weight conscious women's clothing practic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2(4). pp. 16-21 

  5. Hom. M. J. (1975), The second skin: an interdisciplinary study of clothing(3rd ed.). Boston: Houghton Miffilin. pp. 135-200 

  6. 정재은. 남윤자 (1999), 20대 여성의 신체만족도 및 이상형에 관한 연구- 1992년도와 1997년도의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23(1) . pp. 159-169 

  7. Mable, H. M., Balance. W., & Galgan, R. (1986). Body image distortion and dis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63, pp. 907-911 

  8. Cash. T. F.. Winstead, B. M., & Janda, L. H. (1986). The great american shape up. Psychology Today, 20(4), pp, 30-37 

  9. 송정아 (2000). 패션 모델과 여대생들의 신체만족도 비교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4) , pp. 325-331 

  10. 김용숙 (1990). 전북지역 중년기 여성들의 신체만족도와 유행지향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8(4). pp. 177-189 

  11. 박우미 (1993), 우리나라 여성의 신체에 대한 의식구조 -광주 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1(1). pp.163-180 

  12. 구양숙, 추태귀 (1996),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신체 만족도와 의복관여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34(5). pp. 29-40 

  13. 정찬진, 김옥진 (1988), 의복의 유행스타일 수용과 선택기준 및 유행정보원의 활용과의 관계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2(3). pp. 351-362 

  14. 정재은 (1993), 20대 여성의 실제 체형과 이상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정옥인 (1993). 개인적 인식에 의한 인지 체형과 실제 체형과의 비교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1). p. 153 

  16. Douty, H. I., & Brannon. E .L. (1984), Figure attractiveness: male and female preference for female figure.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3(2), pp, 122-137 

  17. Lennon. S. J. (1988), Physical attractiveness, age and body type.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6(3), pp, 196-203 

  18. 박재경, 남윤자 (1999). 신체부위별 크기인식과 착의 행동과의 상관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 (8), pp. 1149-1160 

  19. 황진숙 (1997). 신체만족도와 기성복에 대한 만족의 상관관계 연구. 복식, 34, pp. 183-193 

  20. 황진숙 (1998). 신체만족도와 이상적인 신체상의 중요성이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 의류학회지, 22(3) , pp, 293-302 

  21. Fallon. A. E., & Rozin, P. (1990). Sex differences inperceptions of body shape.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4. pp. 102-105 

  22. Thomas F. C., Thomas P. (2000), 바디이미지-발전. 일탈. 변화-(임숙자. 이미현, 이승희. 신효정 역), 서울: 교문사, p. 106 

  23. Safire, W. (2001. 8. 27), Lookism: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August 1, 2003 

  24. Danielson. D. R. (1989). The changing figure ideal in fashion illustratio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1). pp. 35-48 

  25. Douty, H. I.. & Brannon, E. L. op. cit., pp. 122-137 

  26. LaBat. K. L.. Delong, M. R. (1990), Body Cathexis and satisfaction with fit of appar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pp, 43-48 

  27. Lennon. S. J.. Rudd. N. A. (1994), Linkages between attitudes toward gender roles. body satisfaction, self-esteen. and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s in women,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23(2). pp. 94-117 

  28. Lennon. S. J. (1997). Physical attractiveness. age and body type: further evidence.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5(1), pp. 60-64 

  29. Kefgen, M. & Touchie-Specht. P. (1976). Individuality: in clothing selection and personal appearance(2nd ed.), New York: Macmillan, pp. 129-139 

  30. Mclean. F. P. (1978). The process of aging related to body cathexis and to clothing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tah State University 

  31. Ryan. M. S. (1966). Clothing: a study in human behavior.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pp, 306-323 

  32. Tate, M, T., & Glisson, O, (1965). Family clothing.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pp, 327-336 

  33. LaBat. K. L.. Delong. M. R. op, cit., pp, 43-48 

  34. Wenger. J. (1969). Clothing fit and body attitud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olorado State University 

  35. Frederick. N. (1977).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athexis and clothing market satisfaction of overweight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Washington State University 

  36.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997). 산업제품의 표준치 설정을 위한 국민표준체위조사보고서. 과천: 국립기술품질원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