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시험 스트레스가 미각과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ademic Examination Stress on Taste Perception and Nutrient Intake in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2, 2004년, pp.349 - 355  

전예숙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미경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은 평소의 식품섭취를 통해 축적된 영양상태와 적절한 영양관리를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대처 방안에 적합한 영양관리 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2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험 전후 혈압, 미각 및 영양소 섭취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 신장, 체중 및 체질량지수는 각각 23.39$\pm$1.20세, 164.56$\pm$7.99 cm, 60.66$\pm$13.23 kg, 22.28$\pm$4.55 kg/$\textrm{cm}^2$이었다. 자기기입식에 의한 2가지 유형의 스트레스 검사결과, 첫 번째 유형 검사에서 시험 전 신체, 행동의 스트레스 점수와 스트레스 총 점수가 시험 후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1, p<0.05, p<0.01)두 번째 유형 검사에서는 시험 전 심리, 신체의 스트레스 점수 및 스트레스 총 점수모두 시험 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p<0.05, p<0.01).수축기, 이완기 혈압과 맥박수는 시험 전 118.97$\pm$11.87mmHg, 76.83$\pm$10.55 mmHg, 85.70$\pm$7.04/min이었으며, 시험 후에는 115.68$\pm$10.53 mmHg. 75.97$\pm$8.67 mmHg. 84.90$\pm$6.84회/min으로 시험 후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단맛과 짠맛의 한계농도는 시험 전 각각 0.80$\pm$0.28%와 0.08$\pm$ 0.03%였으며, 시험 후에 는 각각 0.70$\pm$0.23%, 0.08$\pm$0.04%였다. 단맛과 짠맛의 적정농도는 시험 전 5.33$\pm$3.55%와 0.25$\pm$0.22%였으며, 시험 후에는 각각 4.63$\pm$3.61%, 0.29$\pm$0.15%로 시험 스트레스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맛과 짠맛의 기호도 점수는 단맛과 짠맛의 농도 승가에 따라 유의한 증가를 보였지만(p < 0.001, p < 0.001) 스트레스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식품 섭취량과 에너지 섭취량은 시험 전에 1315.60$\pm$533.82 g/day와 2136.31$\pm$1612.29 ㎉/day이었으며, 시험 후에는 1236.22$\pm$244.06 g/day와 1696.85$\pm$453.28 ㎉/day로 시험 후 다소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B 유형의 스트레스 점수는 이완기 혈압과(p<0.05), 짠맛의 한계농도는 단맛의 한계농도,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과(p< 0.05, p< 0.05)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일부 대학생에 있어 시험 스트레스시 혈압 미각, 영양소 섭취량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스트레스 점수는 이완기 혈압과, 미각은 일부 영양소 섭취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앞으로 다양한 종류와 높은 강도의 스트레스 상태에서 미각과 영양소 섭취의 변화를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effect of academic examination stress on taste perception and nutrient intakes in university students. Physical status, blood pressure, stress score using stress test of 2 types, recognition threshold and preference for taste, nutrient intakes using diet r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은평소의 식품 섭취를통해 축 적된 영양상태를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지며, 따라서 효과적인 식품 영양 섭취는 사회 심리적인 스트레스 상황에 유효하 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해 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시험 스트레스가 미각의 변화와 영양소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스트레스에 의한 영양소 섭취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미각의 역할을 구명하고 스트레스 대 처방안에 적합한 영양관리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은 평소의 식품 섭취를 통해 축 적된 영양상태와 적절한 영양관리를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 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적합한 영 양 관리 자료를 제시 하기 위하여 20명 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험 전후 혈압, 미각 및 영양소 섭취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은 평소의 식품 섭취를 통해 축 적된 영양상태와 적절한 영양관리를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 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적합한 영 양 관리 자료를 제시 하기 위하여 20명 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험 전후 혈압, 미각 및 영양소 섭취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연령, 신장, 체중 및 체질량지수는 각각 2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dler N, Metthews K. 1994. Health psychology: why do some people get sick and some stay well? Ann Rev Psychol 45: 229-259. 

  2. Chin KK, Kim KH. 1991. Development of the life scale for college students: a control theory approach.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0: 137-159. 

  3. Song SW. 1999.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level of the stress percieved, coping style of stress of the college students. J Student Guidance 1: 167-198. 

  4. Choi WS, Oh MN. 1998. A study on the depression and stress of the university students. J Samaul and Regional Development 23: 103-124. 

  5. Greeno C, Wing RR. 1994. Stress-induced eating. Psychological Bulletin 115: 444-464. 

  6. Kim KH. 1999. A survey o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and nutrient intake in adults. Korean J Dietary Culture 14: 507-515. 

  7. Kim KH. 2000. The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nutrient intake statu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5: 387-397. 

  8. Michaud CI, Kahn JP, Musse N, Burlet C, Nicolas JP, Mejean J. 1990. Relationships between a critical life event and eating behavior in high school students. Stress Med 6: 57-64. 

  9. Pollard TM, Steptoe A, Canaan L, Davies GJ, Wardle J. 1995. The effects of academic examination stress on eating behaviors and blood lipid levels. Int J Behav Med 2: 299-320. 

  10. Oliver G, Wardle J. 1999. Percieved effects of stress on food choice. Physiol Behav 66: 511-515. 

  11. James CR, Gross J, Loew D, Ethan AH. 1985. Mood and appetite during minimal-carbohydrate and carbohydrate-supplemented hypocaloric diets. Am J Clin Nutr 42: 371-379. 

  12. Israel P, Lewis A, Leitner DL. 1994. Diet, cigarette smoking, stressful life event, and subjective feeling stress. Psychological Reports 74: 841-842. 

  13. Johnson EO, Kamilaris TC, Chrousos GP, Gold PW. 1992. Mechanisms of stress: a dynamic overview of hormonal and behavioral homeostasis. Neurosci Biobehav Rev 16: 115-130. 

  14. Selye H. 1972. History and present status of the stress concept. In Handbook of stress. Goldberger LB, ed. The Free Press, NY. p 7. 

  15. Holmes TH, Rahe RH. 1967. The social reajustment rating scale. J Psychosom Res 11: 213-218. 

  16. Kim JS. 1996. Effects of Na, K intake and stress level on blood pressure and urinary excretion of Na, K in third-grade lacto-ovo vegetarian male high school students.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7. Lee JB. 2000. Serum lipid and antioxidant status in persons with stress. J Korean Acad Fam Med 21: 514-522. 

  18. Harris RE, Sokolow M, Carpenter LG, Freedman M, Hunt SP. 1953. Responses to psychologic stress in persons who are potentially hypertensive. Circulation 7: 874-879. 

  19. Grunberg NE, Straub RO. 1992. The role of gender and taste class in the effects of stress on eating. Health Psychology 11: 97-100. 

  20. Weinstein SE, Shide DJ, Rolls BJ. 1997. Changes in food intake in responses to stress in men and women: psychological factors. Appetite 28: 7-18. 

  21. Wardle J, Steptoe A, Oliver G, Lipsey Z. 2000. Stress, dietary restraint and food intake. J Psychosom Res 48: 195-202. 

  22. Epel E, Lapidus R, McEwen B, Brownell K. 2001. Stress may add bite to appetite in women: a laboratory study of stress-induced cortisol and eating behavior. Psychoneuroendeocrinology 26: 37-49. 

  23. Nam HJ, Lee SM, Park HR. 2002. An ecological study on dietary behaviors by the degree of stres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in Suwon. J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9: 19-212. 

  24. Mattes RD. 1984. Salt taste and hypertension: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J Chron Dis 37: 195-208. 

  25. Kim WY, Won HS, Kim KO. 1997. Effect of age-related changes in taste perception on dietary intakes in Korean elderly. Korean J Nutr 30: 995-1008. 

  26. Mela DJ. 1996. Eating behavior, food preferences and dietary intake in relation to obesity and body-weight status. Proc Nutr Soc 55: 803-8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