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주 전통곶감의 제조과정 중 이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angju Traditional Dried Persimmons during Drying Proces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2, 2004년, pp.386 - 391  

강우원 (상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종국 (상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오상룡 (상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준한 (상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한진희 (상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양진무 (상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종욱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상주 전통곶감의 고품질화를 위하여 곶감의 제조과정 중이 화학적인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건조기간 중 수분함량은 7∼14일 경에 감소 또는 완만하여 이 시기에 2차 표피의 형성을 예측할 수 있고, 이 표피가 곶감의 품질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반건시의 수분함량을 45∼55%로 본다면 건조시작으로부터 25일 경에 반건시 제품이 완성됨을 알 수 있었다. 수분활성도 변화는 수분의 감소가 둔화되는 시기에 저하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2차 표피의 형성이 수분활성도의 저하를 초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량변화는 21일경 가지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이후는 완만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곶감을 대량으로 제조하는 남장동 및 복룡동 곶감에서는 2차 표피가 형성되는 7∼14일 경 이후에는 표피의 경화현상에 의하여 수분증발 억제효과가 있어 중량감소가 완만하였다. 당도변화는 초기 감의 당도가 18∼27%이었으나, 건조7∼14일경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건조 21일경에는 40∼50%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경도는 곶감의 품질을 결정하는 물리적 인자중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건조시작 후 7∼14일경에 감과육의 수분감소에 따라 경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건조일수의 증가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감소되기 시작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곶감의 색, 단맛 및 조직감은 남장동곶감제품이 가장 좋은 점수를 얻었고, 떫은맛, 시큼한 맛 및 곰팡이 취는 복룡동 곶감제품이 가장 높았고, 전체적인 기호도는 남장동에서 제조한 곶감제품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hange of quality characteristics on traditional dried Persimmons from Sangju varity regions (sun-dried, Namjang and Bokryong). Moisture contents on drying were decreased and constant at from 7th to 14th days drying periods and its periods were recognized to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떫 은감은 당류와 비 타민, 무기 질 등이 풍부하고 고혈압이나 숙취제거, 설사, 이뇨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생과로 소비할 수 없는 과일상의 특성 때문에 주로 곶감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도 소비자의 기 호변화에 부합되는 제품개발이 미약한 상태이므로 기호성 이 높은 다양한 가공제품 개발 및 감과실의 소비확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적이면서 여러가지 특성을 함께 가진 곶감을 수출용 전통곶감으로 상품화 하기위한 일환으로 기존 농가나 가공업자들이 주로 행하고 있는 천일건조법에 의한 곶감 제조과정 중 이화학적 품질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Seong JH. 1994. Investigation on the condition of the removal of astringency during MA storage of astringent persimmon variety.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 Products 1: 15-20. 

  2. Seong JH, Han JP. 1999. The qualitative differences of persimmon tannin and the natural removal of astringency.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66-70. 

  3. Sugiura A, Taira S, Ryugo K, Tomana T. 1985. Effect of ethanol treatment on flesh darkening and polyphenoloxidase activity in Japanese persimmon, Hiratanenashi. Nippon Shokukin Kogyo Gakkaishi 32: 586-589. 

  4. Matsuo T, Shinohara J, Ito S. 1976. An improvement on removing astringency in persimmon fruits by carbon dioxide gas. Agric Biol Chem 40: 215-217. 

  5. Kato K. 1990. Astringency removal and ripening in persimmons treated with ethanol and ethylene. Hortscience 25: 205-207. 

  6. Sugiura A, Harada H, Tomana T. 1975. Studies on the removability of astringency in japanese persimmon fruits. J Japan Soc Hort Sci 44: 265-272. 

  7. Kang IK, Chang KH, Byun JK. 1998.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cell wall in persimmon fruits with ethylene treatment.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247-255. 

  8. Park HW, Koh HY, Park MH. 1989. Effect of packaging materials and methods on the storage quality of dried persimm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321-325. 

  9. Seo JH, Jeong YJ, Kim KS. 2000.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annins isolated from astringent persimmon frui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12-217. 

  10. Choi HJ, Son JH, Woo HS, An BJ, Bae MJ, Choi C. 1998. Changes of composition in the species of persimmon leaves (Diospyros kaki folium) during growth.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529-534. 

  1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1017-1978. 

  12. Joung SY, Lee SJ, Sung NJ, Jo JS, Kang SK. 1995.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mb) leaf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720-726. 

  13. Lee MH, Lee SH, Park SD, Choi BS. 1995. The effect of package material and moisture content on storage of dried persimmons at room temperatur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2: 285-291. 

  14. Deman TM. 1976. Rheology on texture in food guality. The AVI. publishing company Inc., New York. p 588. 

  15. Kim CB, Lee SH, Kim CY, Yoon JT. 1999. Comparison of fruit quality of various astringent persimmon cultivars during storage in atmosphere controlled with high $CO_2$ concentrat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380-385. 

  16. Byun HS, Park SH, Roh YK, Sung JJ. 1999. Changes in the quality of astringent persimmon during removal of astringency by carbon dioxid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392-3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